본문내용
John Weakland, Richard Fisch에 의해 개발된 상호작용적 접근법을 보급하였다. 특히 MRI의 단기치료 프로젝트는 에릭슨에 의해 개발되고 주창된 방법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었다.
(3) 해결중심 치료
위스콘신의 밀워키에 있는 Stephen de Shazer와 그의 동료들은 소위 해결중심치료를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환자의 결점보다는 그의 장점에 초점을 강조하는 치료법으로 아주 적극적인 에릭슨의 방법에 해당하였다. 이것은 정신병리학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환자의 장점을 되살려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4) Ernest Rossi의 심리생물학적 치료
로시는 에릭슨의 충실한 전기작가이다. 그는 에릭슨과 가까이에서 연구하였으며 그에 관한 책들을 여러권 공저 또는 편집으로 출판하였다. 그 중의 대표적인 것이 Collected Papers of Milton H. Erickson이다. 에릭슨과 로시가 공저한 최면에 관한 네 권의 책들은 주로 에릭슨이 로시에게 가르친 내용을 대표하는데 그것은 최면적 기법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관한 것이었다. 로시는 에릭슨의 세미나 내용을 녹음하여 여러 권의 책으로 편찬해내기도 했다. 로시는 이 책들속에서 에릭슨이 자신의 심리치료에서 활용했던 다양한 전략적이며 언어적인 접근들들을 묘사하고 있다. 이 후에 로시는 자신의 정신-신체 의사소통 이론을 개발하였으며 정신신경면역학의 권위자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5) NLP
Richard Bandler와 John Brinder는 그들의 책 Patterns of the Hypnotic Techniques of Milton H. Erickson (1975)에서 에릭슨의 치료방법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언어적이며 의미론적인 요소를 찾아내어 NLP를 개발하였다.
(6) 신에릭슨학파 신에릭슨파에는 Stephen & Carol Lankton, Michael Yapko, Stephen Gilligan, Jeffrey Zeig가 포함된다. 이들은 에릭슨의 말년 시기에 그와 함께 최면을 연구한 신세대들이다. 이들은 다른 학파에서는 강조되지 않는 에릭슨의 최면법에 초점을 두고 있다.
(7) 자기 관계 (self-relations) 이론
보다 최근에는 Gilligan (1977)은 자기 관계 (self-relations) 이론을 개발했는데 이것은 에릭슨 학파의 일곱 번째 가지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3) 해결중심 치료
위스콘신의 밀워키에 있는 Stephen de Shazer와 그의 동료들은 소위 해결중심치료를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환자의 결점보다는 그의 장점에 초점을 강조하는 치료법으로 아주 적극적인 에릭슨의 방법에 해당하였다. 이것은 정신병리학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환자의 장점을 되살려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4) Ernest Rossi의 심리생물학적 치료
로시는 에릭슨의 충실한 전기작가이다. 그는 에릭슨과 가까이에서 연구하였으며 그에 관한 책들을 여러권 공저 또는 편집으로 출판하였다. 그 중의 대표적인 것이 Collected Papers of Milton H. Erickson이다. 에릭슨과 로시가 공저한 최면에 관한 네 권의 책들은 주로 에릭슨이 로시에게 가르친 내용을 대표하는데 그것은 최면적 기법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관한 것이었다. 로시는 에릭슨의 세미나 내용을 녹음하여 여러 권의 책으로 편찬해내기도 했다. 로시는 이 책들속에서 에릭슨이 자신의 심리치료에서 활용했던 다양한 전략적이며 언어적인 접근들들을 묘사하고 있다. 이 후에 로시는 자신의 정신-신체 의사소통 이론을 개발하였으며 정신신경면역학의 권위자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5) NLP
Richard Bandler와 John Brinder는 그들의 책 Patterns of the Hypnotic Techniques of Milton H. Erickson (1975)에서 에릭슨의 치료방법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언어적이며 의미론적인 요소를 찾아내어 NLP를 개발하였다.
(6) 신에릭슨학파 신에릭슨파에는 Stephen & Carol Lankton, Michael Yapko, Stephen Gilligan, Jeffrey Zeig가 포함된다. 이들은 에릭슨의 말년 시기에 그와 함께 최면을 연구한 신세대들이다. 이들은 다른 학파에서는 강조되지 않는 에릭슨의 최면법에 초점을 두고 있다.
(7) 자기 관계 (self-relations) 이론
보다 최근에는 Gilligan (1977)은 자기 관계 (self-relations) 이론을 개발했는데 이것은 에릭슨 학파의 일곱 번째 가지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프로이드(Sigmund Freud)의 생애및업적(원서번역)
코페르니쿠스의 생애와 업적
Erikson의_생애_&_에릭슨의_심리사회적_발달이론_&_프로이드와_에릭슨_이론의_비교
인간행동과사회환경_프로이트와에릭슨의생애
르네상스인 미켈란젤로 생애와 업적, 대표작품, 그림의 의미, 업적에 대한 분석과 평가, 감상...
바츨라프 하벨(Vaclav Havel) 업적과 생애, 대표작품, 작품의 의미, 업적에 대한 분석과 평가...
[A+] 바흐의 생애와 업적 - 탄생, 생애, 학습시대, 아른시타트 뮐하우젠시대, 바이마르시대, ...
가장 성공한 리더십 이순신 장군, 관리자관점, 행동이론, 생애업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