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학교는 아동의 인지발달 뿐만 아니라 아동의 성격이나 자아개념의 형성 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학교에서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용하는 과정 은 ㉠ 직접적이 수업과 지도, ㉡ 상과벌에 의한 사회적 강화, ㉢ 사회적 비교 등이다. 수업이나 지도는 인지발달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강화는 특정 행동 을 장려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조치이다. 사회적 비교는 연령이 같고 지위구분이 없다는 학급구성의 특수성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능력과 성취에 입각한 비교를 통해 서로를 구분 케 만든다. 이러한 구분은 아동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게 되다.
* 사회적 규범의 학습: 학교는 가족과 직장 사이에 전환적 기관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학교는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사회적 규범을 학습시킴으로써 아동을 미래의 사회성원으로 길러낸다. ㉠ 학교에서 교사는 아동들에게 보편적인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모든 아동을 공평하게 대우하고 이를 통해 아동들을 보편주의적인 규범을 학습하게 된다,㉡ 매년 교사가 교체됨에 따라 아동은 영속적인 가족관계와 다른 성인의 사회관계를 이해하게 된다, ㉢ 학교생활을 통해 아동은 스스로 무언가를 하고 이에 대해 책임을 지는 자주성의 규범을 학습하게 된다,
㉣ 학교생활을 통해 아동은 일정기준 이상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성취의 규범을 학습하게 된다. 성취는 학교를 통해 배우는 가장 중요한 규범으로 아동은 학교에서 자신의 성취에 대해 계속 공식적인 평가를 받게 되며, 이러한 경험은 사회적 규범의 학습 뿐 아니라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② 친구관계의 경험: 친구관계는 아동이 학교라는 사회기관의 일원이 되면서 갖게 되는 새로운 경험이다. 가족과 달리 친구는 자의에 의해 선택이 가능하며, 또한 지위차별이 없이 동등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친구관계의 경험을 통해 아동들은, ㉠ 다양한 생활방식이 있음을 알게 되어 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게 되고, ㉡ 또래집단의 압력에 점차 민감해져 친구들로부터 인정받는 것을 매우 중시하게 되며(성인의 영향력은 점차 감소하기 시작한다), ㉢ 동성의 친구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③ 팀 스포츠의 경험: 운동은 여러 규칙을 한 번에 다룰 수 있는 인지발달에 영향을 준다. 팀 스포츠를 통해 ㉠ 집단목표를 개인목표의 상위에 놓은 것을 배우고, 팀 성원간의 상호의존과 협동의 중요성을 배우게 되며, ㉡ 분업의 원리와 ㉢ 승리와 패배의 경험을 통하여 경
쟁의 여러 측면에 대해 배우게 된다.
(4) 정서적 발달
① 아직 비현실적이고 초자연적인 것에 대한 공포감이 남아 있으며, 학교생활에 따르는 기대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를 예상한 불안감 등이 있을 수 있다.
② 학교생활을 하면서 사회관계의 범위가 넓어져 여기서 욕구의 좌절이나 친구로부터 놀림 등으로 인한 분노감이 표출되는 경우가 많다.
③ 동성의 친구에게 강한 애정을 느끼게 된다.
(5) 사회사업의 관심대상이 되는 문제
① 행동장애: 행동장애란 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에서 문제시되는 행위와 사회적 활동상 의 장애를 의미한다. 이러한 행동장애에는 불순종, 거짓말, 도벽, 파괴적 행동, 싸움질, 방화, 무단결석, 잔혹함, 여러 가지 성적 행위등이 있다. 이러한 행동은 두뇌손상이나 정신적 장애로 야기될 수 있다. 또한 행동장애는 가정에서 받지 못한 만족을 보상하려 하거나 이것을 대체하기 위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행동장애는 자신의 열등감을 은폐 하고 다른 사람에 대한 독립심과 우월감의 표현이기도 하다. 때로는 어머니나 아버지의 권위와 유사한 권위에 대한 도전이기도 하며 불안에 휩싸인 상황에 의한 도피이기도 하 다. 아동의 행위에 내재하는 부모들의 허용과 관계를 이해하고 이것을 치료하는데 노력 해야 한다.
② 학습장애 : 이는 뇌가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 사용하는 방식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즉 정상적인 지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습에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말한다. 언어문제, 시각과 관련된 문제, 시각적으로 인지한 것을 동작으로 전환하는데 관련된 문제, 운동능력의 문제 등으로 나타난다.
③ 학교 공포증 : 어머니로부터의 분리를 두려워하는, 즉 분리불안의 한형태로서 학교에 가는 것을 두려워하게 된 현상이다. 나이 든 아동의 학교공포증은 가족 사이에서 부모가 자신의 공격성에 대한 불안을 통제할 수 없는 경우에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아동과 부모의 관계에 대한 치료개입이 필요하다.
④ 사회성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방과후 프로그램 등이다.
* 사회적 규범의 학습: 학교는 가족과 직장 사이에 전환적 기관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학교는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사회적 규범을 학습시킴으로써 아동을 미래의 사회성원으로 길러낸다. ㉠ 학교에서 교사는 아동들에게 보편적인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모든 아동을 공평하게 대우하고 이를 통해 아동들을 보편주의적인 규범을 학습하게 된다,㉡ 매년 교사가 교체됨에 따라 아동은 영속적인 가족관계와 다른 성인의 사회관계를 이해하게 된다, ㉢ 학교생활을 통해 아동은 스스로 무언가를 하고 이에 대해 책임을 지는 자주성의 규범을 학습하게 된다,
㉣ 학교생활을 통해 아동은 일정기준 이상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성취의 규범을 학습하게 된다. 성취는 학교를 통해 배우는 가장 중요한 규범으로 아동은 학교에서 자신의 성취에 대해 계속 공식적인 평가를 받게 되며, 이러한 경험은 사회적 규범의 학습 뿐 아니라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② 친구관계의 경험: 친구관계는 아동이 학교라는 사회기관의 일원이 되면서 갖게 되는 새로운 경험이다. 가족과 달리 친구는 자의에 의해 선택이 가능하며, 또한 지위차별이 없이 동등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친구관계의 경험을 통해 아동들은, ㉠ 다양한 생활방식이 있음을 알게 되어 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게 되고, ㉡ 또래집단의 압력에 점차 민감해져 친구들로부터 인정받는 것을 매우 중시하게 되며(성인의 영향력은 점차 감소하기 시작한다), ㉢ 동성의 친구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③ 팀 스포츠의 경험: 운동은 여러 규칙을 한 번에 다룰 수 있는 인지발달에 영향을 준다. 팀 스포츠를 통해 ㉠ 집단목표를 개인목표의 상위에 놓은 것을 배우고, 팀 성원간의 상호의존과 협동의 중요성을 배우게 되며, ㉡ 분업의 원리와 ㉢ 승리와 패배의 경험을 통하여 경
쟁의 여러 측면에 대해 배우게 된다.
(4) 정서적 발달
① 아직 비현실적이고 초자연적인 것에 대한 공포감이 남아 있으며, 학교생활에 따르는 기대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를 예상한 불안감 등이 있을 수 있다.
② 학교생활을 하면서 사회관계의 범위가 넓어져 여기서 욕구의 좌절이나 친구로부터 놀림 등으로 인한 분노감이 표출되는 경우가 많다.
③ 동성의 친구에게 강한 애정을 느끼게 된다.
(5) 사회사업의 관심대상이 되는 문제
① 행동장애: 행동장애란 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에서 문제시되는 행위와 사회적 활동상 의 장애를 의미한다. 이러한 행동장애에는 불순종, 거짓말, 도벽, 파괴적 행동, 싸움질, 방화, 무단결석, 잔혹함, 여러 가지 성적 행위등이 있다. 이러한 행동은 두뇌손상이나 정신적 장애로 야기될 수 있다. 또한 행동장애는 가정에서 받지 못한 만족을 보상하려 하거나 이것을 대체하기 위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행동장애는 자신의 열등감을 은폐 하고 다른 사람에 대한 독립심과 우월감의 표현이기도 하다. 때로는 어머니나 아버지의 권위와 유사한 권위에 대한 도전이기도 하며 불안에 휩싸인 상황에 의한 도피이기도 하 다. 아동의 행위에 내재하는 부모들의 허용과 관계를 이해하고 이것을 치료하는데 노력 해야 한다.
② 학습장애 : 이는 뇌가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 사용하는 방식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즉 정상적인 지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습에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말한다. 언어문제, 시각과 관련된 문제, 시각적으로 인지한 것을 동작으로 전환하는데 관련된 문제, 운동능력의 문제 등으로 나타난다.
③ 학교 공포증 : 어머니로부터의 분리를 두려워하는, 즉 분리불안의 한형태로서 학교에 가는 것을 두려워하게 된 현상이다. 나이 든 아동의 학교공포증은 가족 사이에서 부모가 자신의 공격성에 대한 불안을 통제할 수 없는 경우에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아동과 부모의 관계에 대한 치료개입이 필요하다.
④ 사회성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방과후 프로그램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