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인구 특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인구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년)까지 늘어나 노인인구 비율이 15.1%에 도달하여 고령사회에 진입 전망
▷노인인구비율
2002년 6.0%
2010년 9.2%
2020년 15.1%

- 인구의 고령화로 노인의 빈곤, 질병, 소외, 고용, 부양 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될 전망
*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 증가
- 시민건강 증진 욕구와 고령화로 인한 보건의료 수요 증가
▷ 인구 100명당 2주간 의료기관 외래의료 이용자수
- 평균 18.89명, 70세 이상 44.8명
-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물질적인 부에서 건강 등 질적 가치 중심으로 변화되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시책 필요
* 가족의 형태 및 기능변화에 따른 복지서비스 수요 증가
- 핵가족의 보편화와 편부모 가족의 지속적 증가 등 가족구조가 급격히 변화하고, 가족의 자녀양육기능과 노부모장애인 부양기능 약화 전망
▷ 평균 가족원수 :
2000년 3.1명
2010년 2.9명
▷ 노인과 자녀의 별거율 :
2001년 46%
2010년 60%

- 노인, 장애인, 여성, 아동 등에 대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수요 증가
정책
독거노인 상시모니터링 체계 구축
실태 :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보호체계 미흡
- 생계곤란 독거노인 현황 및 추계 : 24,387명(2002) → 29,200명(2006)
- 질병 등으로 인한 긴급상황 발생시 비상 연락체계 미흡
추진계획 : 가정방문을 통해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
- 건강음료 배달원을 통한 독거노인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모니터링 수혜인원 확대 : 7,357명 → 2006년 29,200명
- 방문간호사, 가정도우미, 가정봉사원을 통한 독거노인 생활편의 서비스 제공
▷ 가정봉사원 확충 : 1,406명(2002) → 2,200명(2006)
연차별 추진계획

단 위 사 업
사 업 내 용
2003
2004
2005
2006
1-1

치매노인 보호시설 확충
치매가족 상담소 운영
29개소
35개소
36개소
37개소
치매예방교육 및 실습교육장
건립운영
시설건립
시설건립
운영
운영
주간단기보호소 확충
6개소
6개소
8개소
6개소
무료요양시설 확충
3개소
-
-
1개소
실비 요양시설 확충
-
-
1개소
8개소
치매병실 확충
290병상
-
200병상
-
1-2

실버테마파크
(노인공원)조성
노인공원 조성
1개소
-
1개소
1개소
1-3

지역별 거점 노인복지관 확충
1구 1노인복지관 확충
19개소
22개소
24개소
25개소
1-4

경로당
운영 활성화
시범 경로당 확대
335개소
400개소
450개소
570개소
모범경로당 선정운영
75개소
75개소
75개소
75개소
1-5

독거노인 상시
모니터링 체계구축
독거노인 상시모니터링
7,357명
20,536명
24,387명
29,191명
1-6

고령자취업알선센터 확충 및 운영 활성화
취업알선센타 운영
14개소
15개소
16개소
17개소
1-7

장묘행정중장기
계획수립운영
계획 수립운영









서울시 독거노인 현황자료
▶ 독거노인(65세 이상) 현황
구분

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저소득노인
일반노인
2000
79,420명
20,778명
3,585명
55,057명
2001.7.31 현재
83,875명
22,672명
3,058명
58,145명

▶ 독거노인 지원금액(2001년)
구 분
지 원 금 액
비 고
국민기초
생활보장
수급권자

80세이상
380,000

80세미만
370,000
생계비
241,000

주거비
20,000

의료비
47,000

경로연금
80세이상
50,000

80세미만
40,000
위생비
10,000

교통수당
12,000

저소득노인
경로연금
30,000

일반노인
교통수당
12,000

▶ 기타 지원 프로그램
무료경로식당 이용, 지하철 무임승차, 경로우대(고궁, 박물관, 공원 등), 노인의 집 입소, 재가노인 도우미서비스(저소득자), 노인종합복지관 시설이용, 양로 요양시설 입소(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능역이 없는 노인) 등
인구의 노령화가 진행되면 노인의 절대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중에는 국가의 경제발전과 함께 경제력이 있는 노인의 수도 크게 증가할 것이다. 그리고 의학의 발전은 평균수명의 꾸준한 향상을 가져와 1960년에 남자 51세 여자 54세의 평균수명이 1990년에는 각각 68세와 76세로 되었고, 2000년에는 71세와 79세로, 2020년에는 75세와 82세로 증가될 전망이다. 〈표3-4 참조〉

〈표 3-4〉 노인의 평균수명
(단위: 천명)
연도별
구분
’60
’70
’80
’90
’95
2000
2020
평 균
52.4
63.2
65.8
71.6
73.5
74.9
78.1


51.1
53.7
59.8
66.7
62.7
69.1
67.7
75.7
69.6
77.4
71.0
78.6
74.5
81.7
* 자료: 통계청,「장래인구 추계」, 1997.


이와같은 평균수명의 연장은 동시에 만성질환, 특히 만성퇴행성질환1)을 가지고 있는 노인인구의 증가를 가져왔다
앞으로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이러한 질환을 가진 노인, 즉 유병장수노인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급속한 인구노령화에 따른 노인인구의 증가는 전반적인 노인복지수요의 증가로 이어져 사회전체의 노인부양지수(노인인구/생산인구*100)을 증가시키게 되는 데 이는 노인부양에 대한 사회적 부담의 증가를 의미한다. 65세 이상의 노인은 2000년에는 생산인구(15-64세) 10명이 노인 1명을, 2010년에는 1.4명을, 2020년에는 2명을 부양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표 3-6, 표 3-7 참조〉

〈표 3-6〉 노인인구의 주요 지표
(단위: %)


1970
1980
1990
1995
2000
2010
2020
인구비
65세이상
수(천명)
1,039
1,456
2,144
2,657
3,371
5,032
6,899
비율
3.3
3.8
5.0
5.9
7.1
9.9
13.2
부양지수
6.1
6.2
7.2
8.0
9.4
13.5
18.4
* 자료: 통계청,「장래인구 추계」, 1997.

〈표 3-7〉 60세이상 ADL제한 노인의 부양수혜 여부(1994년)
(단위: %, 명)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04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