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요한 것임을 보였다.
- 연상의 유창성은 동의어를 몇 개나 답할 수 있는가 하는 Test에 의하여 측정되는 기능으로서 작문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표현의 유창성이란 문장을 만드는 Test 등에 의해서 조사되며 이 득점은 타의방법에 의한 창의성의 측정치와 높은 상관을 나타낸다고 한다.
- 관념의 유창성은 예를 들면 "단단하고, 희고, 먹는 것은 무엇인가"하는 질문에 답하도록 한다든지 이야기의 제목을 생각해내도록 하는 Test에 의해서 조사된다. 이는 질보다는 양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독창성 : 통계적으로 다수인의 회답과 상의한 회답을 하는 것과 그리고 다음과 같은 회답의 성질에 의해서 채점되는 기능이다.
- 비범성 : 예를 들면 언어 연상 Test에서 table에 대해 '다리'라고 답하는 것이 평범이며 '골동품'이라고 말하는 것은 비범인 것이다.
- 먼 연상 : 두 개의 낱말을 주고서 그 관계를 나타내도록 했을 때 아주 멀리 떨어진 두 낱말을 나타내 주면 이 능력이 조사되어진다.
- 교묘성 : 이야기의 줄거리를 주고 제목을 붙이게 하는 Test에 의해서 답의 내용에 대하여 흡사한 정도를 채점한다. 이러한 창의성은 흡사 언어적인 문제에 관해서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서 다음에서 말한 적응의 유연성과 평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길포드 자신도 비판을 가하고 있다.
사고의 유연성 : 이것은 낡고 오래된 생각을 버리고 새로운 생각을 채용하는 능력으로 다음의 2요인을 포함한다.
- 자발적 유연성 : 여러가지 idea를 자유로이 끄집어 내는 능력이다. 예를 들면 벽돌의 용도를 말하도록 하였을 때 건축재료로서만이 아니고 무거우며 빨간분의 원료, 던지는 무기로서 생각하는 능력이 있는 경향을 말한다. 자발적인 유연성이 현저한 사람은 반전도형을 보였을 때 반전이 빠르다.
- 적응의 유연성 : 성냥개비를 사용해서 game 등을 시켜 조사한다.
치밀성 : 이는 idea가 대상의 기능, 위치, 그것에 대한 행동, 목표 안에 어느 정도로 명확하게 포착하고 있는 가에 관계한다.
재정의성 : 어떤 문제를 주었을 때 답을 얻은 후 그것이 정답인지 재확인하는 것을 의미.
창의력 검사(J.W.Getzels & P.W.Jackson)
단어 연상 검사 :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단어를 제시하고 각 단어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에 되도록 많은 정의를 내리게 하는 검사이다.
용도 검사 : 일정한 용도를 가지고 있는 사물을 제시하고 각 사물의 본래 용도 이외의 용도를 가능한 많이 찾도록 하는 검사이다.
도형찾기 검사 : 복잡한 도형 속에 숨겨져 있는 다른 도형들을 찾아 내게 하는 검사이다.
이야기 완성 검사 : 뒷부분이 생략된 짤막한 이야기를 도덕적이고, 유머스럽게 그리고 슬프게 종결 짓도록 하는 검사이다.
문제작성 검사 : 여러 가지 수적인 진술이 포함되어 있는 4개의 복잡한 문장으로 수리적 문제를 많이 만들게 하는 검사이다.
창의력 개발방법
브레인 스토오밍(Brain Storming) : 뇌에 폭풍을 일으키는 방법이라는 뜻인데 오즈번(A.F.Osborn)에 의해 개발되어 매도우(Meadow), 피네스(S.L.Parnes), 앤더슨(Anderson) 등에 의해서 관심을 끌었던 창의력 개발을 위한 특수기법이다.
- 비판의 금지(criticism is ruled out) : 이 원리는 자신이나 타인의 의견을 성급하게 판단하지 말라는 것이다. 비판을 가하면 의식적으로 그들이 갖고 있는 창의력을 발휘하지 않기 때문이다.
- 자유분방(free wheeling) : 어떤 생각이라도 자유롭게 하고 그 발표의 자유도 허용된다는 원리이다.
- 양산 : 많은 아이디어의 양을 산출하면 그만큼 질적으로도 우수한 아이디어가 나올 확률이 크다는 데서 나온 원리이다.
- 결합과 개선 : 자신의 것이든 타인의 것이든 두 개 이상의 아이디어를 결합시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는다든가 또는 어떤 특정한 아이디어의 일부를 달리 해본다는 원칙이다.
체크리스트법(check-list) : 이것도 오즈번(A.F.Osborn)에 의하여 개발된 창의력 개발의 특수기법인데 타인의 창의적 사고를 유발시키는 질문형태로 검목표를 만든 것이다. 이 검목표는 사고의 출발 또는 문제해결의 착안점을 미리 정해 놓고 다양한 사고를 능률적으로 전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꾸며진다.
형태학적 분석 평가 :파네스(S.L.Parnes)가 개발한 기법으로 문제의 구조를 분석해서 변인을 발견하고 발견된 변인들을 강제로 조합시킴으로써 잠정적인 아이디어를 손쉽게 대량 생산해서 그 중에서 질적으로 우수한 것과 가능성이 있는 것을 개발하려는 방법이다. 그 진행방법은 문제의 정의, 독립 변인의 세분, 표현 및 언어화, 평가, 발전, 개선 순이다.
고든(Gordon)법 : 고든(W.J.Gordon)이 만든 것으로 진행과정이 보다 비구조적이어서 참여자의 적극적인 태도가 요청된다. 이 방법은 주로 특수기계의 발명에 사용되는 것으로 해당분야 전문가들의 조작적 창의력(operational creativity)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창의력과 지능
대부분의 지능검사가 수렴적 사고를 강조하는 데 반해, 창의력 검사는 확산적 사고력과 관련된다.
창의력과 지능의 검사 결과는 어느 정도 상관 있게 나타나다가, I.Q 120 이상을 넘어가면 그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게 된다. 발라하(M.A.Wallach)와 코간(N.Kogan)의 연구에 의하면 지능과 창의력의 상관은 높지 않다.
창의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J.W.Getzels & P.W.Jackson)
창의력 검사가 측정하고 있는 능력은 학교 학습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학교 학습은 지능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창의력에 의해서도 좌우된다(높은 I.Q 집단과 높은 창의력 집단간의 I.Q 차는 현저하나 그들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이 거의 동등하며, 이것은 학교 전체 평균에 비해 월등히 높다).
높은 I.Q 집단과 높은 창의력 집단은 그들의 성취동기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
교사는 일반적으로 창의력이 높은 학생보다 I.Q가 높은 학생을 더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 연상의 유창성은 동의어를 몇 개나 답할 수 있는가 하는 Test에 의하여 측정되는 기능으로서 작문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표현의 유창성이란 문장을 만드는 Test 등에 의해서 조사되며 이 득점은 타의방법에 의한 창의성의 측정치와 높은 상관을 나타낸다고 한다.
- 관념의 유창성은 예를 들면 "단단하고, 희고, 먹는 것은 무엇인가"하는 질문에 답하도록 한다든지 이야기의 제목을 생각해내도록 하는 Test에 의해서 조사된다. 이는 질보다는 양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독창성 : 통계적으로 다수인의 회답과 상의한 회답을 하는 것과 그리고 다음과 같은 회답의 성질에 의해서 채점되는 기능이다.
- 비범성 : 예를 들면 언어 연상 Test에서 table에 대해 '다리'라고 답하는 것이 평범이며 '골동품'이라고 말하는 것은 비범인 것이다.
- 먼 연상 : 두 개의 낱말을 주고서 그 관계를 나타내도록 했을 때 아주 멀리 떨어진 두 낱말을 나타내 주면 이 능력이 조사되어진다.
- 교묘성 : 이야기의 줄거리를 주고 제목을 붙이게 하는 Test에 의해서 답의 내용에 대하여 흡사한 정도를 채점한다. 이러한 창의성은 흡사 언어적인 문제에 관해서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서 다음에서 말한 적응의 유연성과 평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길포드 자신도 비판을 가하고 있다.
사고의 유연성 : 이것은 낡고 오래된 생각을 버리고 새로운 생각을 채용하는 능력으로 다음의 2요인을 포함한다.
- 자발적 유연성 : 여러가지 idea를 자유로이 끄집어 내는 능력이다. 예를 들면 벽돌의 용도를 말하도록 하였을 때 건축재료로서만이 아니고 무거우며 빨간분의 원료, 던지는 무기로서 생각하는 능력이 있는 경향을 말한다. 자발적인 유연성이 현저한 사람은 반전도형을 보였을 때 반전이 빠르다.
- 적응의 유연성 : 성냥개비를 사용해서 game 등을 시켜 조사한다.
치밀성 : 이는 idea가 대상의 기능, 위치, 그것에 대한 행동, 목표 안에 어느 정도로 명확하게 포착하고 있는 가에 관계한다.
재정의성 : 어떤 문제를 주었을 때 답을 얻은 후 그것이 정답인지 재확인하는 것을 의미.
창의력 검사(J.W.Getzels & P.W.Jackson)
단어 연상 검사 :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단어를 제시하고 각 단어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에 되도록 많은 정의를 내리게 하는 검사이다.
용도 검사 : 일정한 용도를 가지고 있는 사물을 제시하고 각 사물의 본래 용도 이외의 용도를 가능한 많이 찾도록 하는 검사이다.
도형찾기 검사 : 복잡한 도형 속에 숨겨져 있는 다른 도형들을 찾아 내게 하는 검사이다.
이야기 완성 검사 : 뒷부분이 생략된 짤막한 이야기를 도덕적이고, 유머스럽게 그리고 슬프게 종결 짓도록 하는 검사이다.
문제작성 검사 : 여러 가지 수적인 진술이 포함되어 있는 4개의 복잡한 문장으로 수리적 문제를 많이 만들게 하는 검사이다.
창의력 개발방법
브레인 스토오밍(Brain Storming) : 뇌에 폭풍을 일으키는 방법이라는 뜻인데 오즈번(A.F.Osborn)에 의해 개발되어 매도우(Meadow), 피네스(S.L.Parnes), 앤더슨(Anderson) 등에 의해서 관심을 끌었던 창의력 개발을 위한 특수기법이다.
- 비판의 금지(criticism is ruled out) : 이 원리는 자신이나 타인의 의견을 성급하게 판단하지 말라는 것이다. 비판을 가하면 의식적으로 그들이 갖고 있는 창의력을 발휘하지 않기 때문이다.
- 자유분방(free wheeling) : 어떤 생각이라도 자유롭게 하고 그 발표의 자유도 허용된다는 원리이다.
- 양산 : 많은 아이디어의 양을 산출하면 그만큼 질적으로도 우수한 아이디어가 나올 확률이 크다는 데서 나온 원리이다.
- 결합과 개선 : 자신의 것이든 타인의 것이든 두 개 이상의 아이디어를 결합시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는다든가 또는 어떤 특정한 아이디어의 일부를 달리 해본다는 원칙이다.
체크리스트법(check-list) : 이것도 오즈번(A.F.Osborn)에 의하여 개발된 창의력 개발의 특수기법인데 타인의 창의적 사고를 유발시키는 질문형태로 검목표를 만든 것이다. 이 검목표는 사고의 출발 또는 문제해결의 착안점을 미리 정해 놓고 다양한 사고를 능률적으로 전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꾸며진다.
형태학적 분석 평가 :파네스(S.L.Parnes)가 개발한 기법으로 문제의 구조를 분석해서 변인을 발견하고 발견된 변인들을 강제로 조합시킴으로써 잠정적인 아이디어를 손쉽게 대량 생산해서 그 중에서 질적으로 우수한 것과 가능성이 있는 것을 개발하려는 방법이다. 그 진행방법은 문제의 정의, 독립 변인의 세분, 표현 및 언어화, 평가, 발전, 개선 순이다.
고든(Gordon)법 : 고든(W.J.Gordon)이 만든 것으로 진행과정이 보다 비구조적이어서 참여자의 적극적인 태도가 요청된다. 이 방법은 주로 특수기계의 발명에 사용되는 것으로 해당분야 전문가들의 조작적 창의력(operational creativity)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창의력과 지능
대부분의 지능검사가 수렴적 사고를 강조하는 데 반해, 창의력 검사는 확산적 사고력과 관련된다.
창의력과 지능의 검사 결과는 어느 정도 상관 있게 나타나다가, I.Q 120 이상을 넘어가면 그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게 된다. 발라하(M.A.Wallach)와 코간(N.Kogan)의 연구에 의하면 지능과 창의력의 상관은 높지 않다.
창의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J.W.Getzels & P.W.Jackson)
창의력 검사가 측정하고 있는 능력은 학교 학습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학교 학습은 지능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창의력에 의해서도 좌우된다(높은 I.Q 집단과 높은 창의력 집단간의 I.Q 차는 현저하나 그들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이 거의 동등하며, 이것은 학교 전체 평균에 비해 월등히 높다).
높은 I.Q 집단과 높은 창의력 집단은 그들의 성취동기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
교사는 일반적으로 창의력이 높은 학생보다 I.Q가 높은 학생을 더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추천자료
[건강한 성격][자아실현][성격][성격장애][인간발달][인격][인성]건강한 성격에 관한 고찰(성...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영화 ‘집으로’ 등장인물 할머니 인간발달이론에 관한 고찰
2017 인간과교육]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종래의...
인간과교육) 1.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의 특징, 과학적인간...
인간과교육)1.후기현대철학적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 특징, 과학적인간관 ...
인간과교육 1.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의 특징, 과학적인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