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웬펠드의 평면표현 발달단계와 입체표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웬펠드의 평면표현 발달단계와 입체표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미를 보이고 그렇지 못하
면 흥미를 상실한다.
- 이와 같이 색과 명암 등에 관심을 갖고 표현하는 한편 자신의 주관적 정서의 표현에 더욱 관심을
쏟는 경우도 있는데 로웬펠드는 이를 각각 시각형과 촉각형으로 구분했다.
- 이 시기의 학생들은 한 사건이나 대상에 대해 다양하고 개성적으로 표현해 낸다.
로웬펠드(V. Lowenfeld)의 아동 입체표현 발달단계
발달단계
표 현 특 성
2~4세
(난화기)
무질서한 난화기-어떤 시각적 목적 없이 찰흙을 두드리고 치는 행위
조절하는 난화기-어떤 목적을 추구하지 않은 막대와 둥근 모양 제작
명명하는 난화기-자신의 난화(찰흙 덩어리)에 사물의 이름을 붙임.
운동지각적 사고가 상징적 사고로 변화하는 과정.
3차원 재료의 취급은 어린이에게 손가락과 근육을 이용하는 기회를 제공.
4~7세
(전도식기)
그림으로 의사소통하는 첫 단계
여러 형태를 찰흙으로 표현하면서 끊임없이 표현양식을 변화시킴.
부분을 만들어 결합, 연결시켜 원하는 형태를 만들지만 세부적 표현은 없음.
재료를 숙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회 제공 필요.
7~9세
(도식기)
분석적 방법-전체로부터 세부로 들어가며 표현
종합적 방법-하나하나의 부분들로 전체를 구성하여 표현
도식적 사고의 발달, 협동 놀이 가능한 시기
재료 탐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제공 필요
너무 많은 재료의 제공은 혼란스럽게 할 수 있음.
평면적 상징기, 부분적인 표현에 더 관심 보임.
9~11세
(또래 집단기)
형태와 공간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시작
표현 대상을 점차 주변으로 넓혀가는 시기
도식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 세부 표현이 나타남.
재료의 특성에 민감해지는 시기
자유롭고 즉흥적으로 재료 결합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함.
11~13세
(의사실기)
무의식적으로 소조하는 단계에서 의식적으로 조각하는 단계로 넘어가는 시기
시각형-객관적, 모델을 관찰하여 전체에서 세부로 가는 분석적 방법 사용
비시각형-주관적, 모델을 자극 정도로만 여기고 주관적 표현, 종합적 방법
소조하는 작업에서 조소하는 작업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감.
13~17세
(결정기)
시각형-주로 눈에 의해 사물의 외형으로부터 접근.
전체를 먼저 보고 전체적인 인상에 견주어 부분적인 인상 표현.
촉각형-눈 보다는 근육감각이나 촉각적인 인상에 의한 사물 접근(촉각형)
자신의 정서적인 가치로 부분의 크기와 중요도를 결정.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1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