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선교신학 7가지
1).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동향
2). 모더니즘 시대의 선교신학
3). 포스트모더니티 시대에서의 선교신학의 전개
4). 총체적 복음전도 - 로쟌 II 이후의 동향
5). 복음주의 선교신학에서 신학적 상황화의 가능성
6). 오순절 선교의 부흥에 대한 복음주의적 관점
7). 포스트모더니티와 한국교회 - 나아갈 방향
8). 참고문헌
1).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동향
2). 모더니즘 시대의 선교신학
3). 포스트모더니티 시대에서의 선교신학의 전개
4). 총체적 복음전도 - 로쟌 II 이후의 동향
5). 복음주의 선교신학에서 신학적 상황화의 가능성
6). 오순절 선교의 부흥에 대한 복음주의적 관점
7). 포스트모더니티와 한국교회 - 나아갈 방향
8).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의 사조에만 영향을 끼치는 서구적 현상이냐 아니면 이미 제2/3세계에도 깊이 침투된 사조냐 라는 것도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다. 일부에서는 모더니티나 포스트모더니티의 현상은 모두 서구에서만 저희들끼리 논란이 되었던 것이지 비서구지역에서는 그저 모든 것이 자신의 현 위치대로 줄곧 있었을 뿐이고 현재의 사조는 오히려 탈서구화하면서 비서구 지역의 원 사조들을 재인정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 수도 있다.
8). 참고문헌
김욱동. 1991.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서울: 현암사.
김명혁. 1987. 『현대교회의 동향』 서울: 성광문화사.
도정일. 1991. "포스트모더니즘-무엇이 문제인가." 『창작과 비평』 (19권 1호).
배국원. 1992. "포스트모더니즘 소묘 II." 『복음과 실천』.
8). 참고문헌
김욱동. 1991.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서울: 현암사.
김명혁. 1987. 『현대교회의 동향』 서울: 성광문화사.
도정일. 1991. "포스트모더니즘-무엇이 문제인가." 『창작과 비평』 (19권 1호).
배국원. 1992. "포스트모더니즘 소묘 II." 『복음과 실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