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및 놀이유형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piaget의 놀이 발달 단계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piaget의 놀이 발달 단계
본문내용
쪽이 더 높기 때문에 다른 쪽이 더 넓기 때문에 같다.
가역성의 논리: 다시 부을 수 있기 때문에 같다
② 탈중심화
전조작기의 자아중심적인 아동들은 함께 있으면서도 사실은 따로 논다.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또래들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아중심성을 극복해간다. 어떤 규칙을 정하고 협동적으로 하는 놀이가 가능해진다.
③ 자율적 도덕성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아동들은 규칙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협동을 위해서 사람들이 만든 것이며 서로 합의만 된다면 규칙을 바꿀 수도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④ 관련성의 이해
대상을 크기, 무게, 밝기 등의 특징에 따라 나열하는 능력을 서열화라고 하는데 구체적 조작기가 되면 아동은 서열화의 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것은 사물간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유목화(분류) 능력도 획득된다.
4) 형식적 조작기
12세 이후를 형식적 조작기라고 하는데, 이 시기에는 현실적 시계를 넘어 추상적이고 가상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사고를 하게 된다. 이 시기에 비로소 가능해지는 사고 중 중요한 것이 조합적 사고(combinational thinking)이다. 이것은 문제에 직면했을 때 있을 수 있는 모든 해결책을 모색함으로써 문제해결에 이르게 되는 사고방식이다. 실험: 투명한 액체를 1,2,3,4 번호가 붙은 유리병에 넣고 다른 유리병에는 g라는 이름을 붙여 액체를 넣었다. 위의 액체를 마음대로 섞어서 노란액체가 되도록 해보라는 과제를 주었다. 전조작기 아동은 마음내키는 대로 아무렇게나 섞다가 안되면 포기했다. 구체적 조작기 아동은 g병을 1,2,3,4 병에 넣어도 노란액체가 안생기자 포기했다. 세가지를 섞어보라고 힌트를 주었더니 여기서부터는 체계적으로 섞지 못하고 이리저리 섞는 데 그쳤다. 형식적 조작기 청소년은 모든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시도했다.
또한 연역적 사고도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경험이 없어도 일반적인 사실에서 출발하여 특정한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만일 ~라면, ~이다’같은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인지능력의 향상으로 이상향의 개념도 생기게 된다. 현재 사회와는 다른 이상적인 사회를 꿈꾸기도 하고 자유나 정의 등과 같은 추상적인 이념에도 집중하게 된다.
piaget의 놀이 발달 단계
연령 단계
인지발달단계
놀이유형
0~2세
감각 운동
연습놀이
2~7세
전 조작기
상징놀이
7~11세
구체적 조작기
규칙이 있는 게임
가역성의 논리: 다시 부을 수 있기 때문에 같다
② 탈중심화
전조작기의 자아중심적인 아동들은 함께 있으면서도 사실은 따로 논다.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또래들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아중심성을 극복해간다. 어떤 규칙을 정하고 협동적으로 하는 놀이가 가능해진다.
③ 자율적 도덕성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아동들은 규칙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협동을 위해서 사람들이 만든 것이며 서로 합의만 된다면 규칙을 바꿀 수도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④ 관련성의 이해
대상을 크기, 무게, 밝기 등의 특징에 따라 나열하는 능력을 서열화라고 하는데 구체적 조작기가 되면 아동은 서열화의 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것은 사물간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유목화(분류) 능력도 획득된다.
4) 형식적 조작기
12세 이후를 형식적 조작기라고 하는데, 이 시기에는 현실적 시계를 넘어 추상적이고 가상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사고를 하게 된다. 이 시기에 비로소 가능해지는 사고 중 중요한 것이 조합적 사고(combinational thinking)이다. 이것은 문제에 직면했을 때 있을 수 있는 모든 해결책을 모색함으로써 문제해결에 이르게 되는 사고방식이다. 실험: 투명한 액체를 1,2,3,4 번호가 붙은 유리병에 넣고 다른 유리병에는 g라는 이름을 붙여 액체를 넣었다. 위의 액체를 마음대로 섞어서 노란액체가 되도록 해보라는 과제를 주었다. 전조작기 아동은 마음내키는 대로 아무렇게나 섞다가 안되면 포기했다. 구체적 조작기 아동은 g병을 1,2,3,4 병에 넣어도 노란액체가 안생기자 포기했다. 세가지를 섞어보라고 힌트를 주었더니 여기서부터는 체계적으로 섞지 못하고 이리저리 섞는 데 그쳤다. 형식적 조작기 청소년은 모든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시도했다.
또한 연역적 사고도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경험이 없어도 일반적인 사실에서 출발하여 특정한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만일 ~라면, ~이다’같은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인지능력의 향상으로 이상향의 개념도 생기게 된다. 현재 사회와는 다른 이상적인 사회를 꿈꾸기도 하고 자유나 정의 등과 같은 추상적인 이념에도 집중하게 된다.
piaget의 놀이 발달 단계
연령 단계
인지발달단계
놀이유형
0~2세
감각 운동
연습놀이
2~7세
전 조작기
상징놀이
7~11세
구체적 조작기
규칙이 있는 게임
추천자료
[아동발달 A형(A+완성형)]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의 비교 및 두 이론의 시사점 및...
[피아제][Piaget][인지발달이론]피아제(Piaget) 인지발달이론의 적용, 비판, 교육에의 적용과...
[피아제][피아제이론][인지발달이론]피아제이론의 주요개념, 피아제이론의 발달단계, 피아제 ...
[인지발달][피아제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 인지발달이론]인지발달의 배경, 인지발달의 단계...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에 따른 놀이유형에 대해 설명하시오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의 정의 및 주요개념과 특징, 피아제(Piaget)의 인지발...
성격발달이론중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조사 정리 및 인지발달이론 선정이유
[인지이론]놀이이론 중 인지이론의 내용 이해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의 목표와 인지발달 단계 분석 및 의의와 비판 [A+추천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