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경계 (nervous system)
요약
설명
뉴런
뉴런과 신경교(神經膠)
뉴런의 기능
시냅스와 흥분의 전달
신경계의 계통 발생
무척추동물의 신경계
척추동물의 신경계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뇌신경과 척수신경
감각신경섬유와 운동신경섬유
감각신경절과 감각신경섬유
운동신경심유-운동뉴런과 자율신경뉴런
척수신경의 신경총 형성
요약
설명
뉴런
뉴런과 신경교(神經膠)
뉴런의 기능
시냅스와 흥분의 전달
신경계의 계통 발생
무척추동물의 신경계
척추동물의 신경계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뇌신경과 척수신경
감각신경섬유와 운동신경섬유
감각신경절과 감각신경섬유
운동신경심유-운동뉴런과 자율신경뉴런
척수신경의 신경총 형성
본문내용
신경세포체는 천수와 뇌에 있다. 이 중 천수에서 시작되는 부교감신경계는 골반내장을 지배하기 때문에 이 계가 손상되면 방광·직장장애(배뇨장애·배변장애)가 일어나거나 임포텐츠(음위)가 된다. 뇌에 있는 부교감신경계의 절전뉴런의 축색돌기는 동안신경·안면신경·설인신경·미주신경 속을 달린다. 이들은 동공수축근·모양근(毛樣筋)을 지배하는 외에, 눈물샘·침샘 등의 분비를 지배하며, 특히 미주신경 속을 달리는 부교감신경섬유는 융강이나 복강까지 이르러 흉강내장(심장·폐 등)과 복강내장(위·소장·간 등)의 운동·분비를 지배한다.
척수신경의 신경총 형성
각각의 척수신경은 전근과 후근이 합일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척수신경은 척추관을 나오면 곧바로 전지(前枝)와 후지(後枝)로 나뉘어진다. 전근은 운동신경섬유, 후근은 감각신경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데 반해, 전지와 후지에는 운동신경섬유와 감각신경섬유가 다같이 포함되어 있다. 즉 각각의 척수신경의 전지와 후지에는 운동뉴런의 축색돌기, 자율신경뉴런의 축색돌기 및 감각신경절세포의 돌기, 즉 감각신경섬유가 갖가지 비율로 섞여 있다. 전지와 후지 중 후지가 체간(體幹)의 배측부에 분포하는 데 반해, 전지는 체간의 복측부와 팔다리에 분포한다. 이 경우 각각의 척수신경의 후지와 흉신경의 전지는 그대로 달려서 체간에 분포하는 데 반해, 경신경·요신경·천골신경·미골신경의 전지는 경부나 팔다리를 향해서 달리기에 앞서 각각 이웃하는 전지와의 사이에서 신경섬유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척수신경의 전지 사이에 신경섬유의 교차가 생겨 일종의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이것을 신경총 또는 신경집망이라 한다. 사람의 신경총에는 경신경총(제 1 경신경에서 제 4 경신경까지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완신경총(제 5 경신경에서 제 1 흉신경까지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요신경총(제12흉신경에서 제 4 요신경까지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천골신경총(제 4 요신경에서 제 3 천골신경까지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음부신경총(제 2 ∼제 4 까지의 천골신경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미골신경총(제 4 ·5천골신경과 미골신경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이 있다. 이상의 신경총 중 완신경총에는 팔을 지배하는 액와신경(腋窩神經)·근피신경·정중신경(正中神經)·척골신경·요골신경 등이 이어져 있다. 완신경총은 목의 기부 근처에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 등으로 목이 한쪽 방향으로 강하게 당기게 되면 완신경총을 형성하고 있는 신경섬유의 뿌리 쪽이 손상되기 쉽다. 액와신경이 손상되면 상완의 외전(外轉;상완을 외측을 향해서 수평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되지 않는다. 또 팔꿈치를 쳤을 때 새끼손가락 부근에서 <찌릿함>을 느낄 때가 있는 것은 팔꿈치의 후내측부를 달리는 척골신경이 타격을 받기 때문이다. 요골신경이 손상되면 손이 손목에서 아래로 드리워지고 손가락을 펼 수도 없다. 또 정중신경이 손상되면 엄지손가락 근처의 손바닥에 감각마비가 일어남과 함께 엄지손가락을 굽힐 수 없게 된다. 다리를 지배하는 말초신경은 요신경총과 천골신경총에 이어져 있다. 대퇴의 복측(전면)의 근육과 피부를 지배하는 대퇴신경은 요신경총에 이어지는 말초신경이다. 대퇴의 배측(후면) 및 하퇴, 발의 근육과 피부를 지배하는 좌골신경(座骨神經)은 천골신경총에 이어지는 말초신경이다. 이상과 같이 척수신경의 전지는 지배 부위에 분포하기 앞서 신경총을 형성하게 되는데, 전지 중에서 흉신경의 전지만은 일부만 완신경총이나 요신경총에 참가하고, 나머지는 신경총을 형성하는 일 없이 척수신경의 후지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달려서 체간의 복측부(전면)와 측면에 분포한다. 이와 같은 흉신경의 전지를 늑간신경(肋間神經)이라 하며, 사람의 늑간신경은 12쌍이다.
척수신경의 신경총 형성
각각의 척수신경은 전근과 후근이 합일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척수신경은 척추관을 나오면 곧바로 전지(前枝)와 후지(後枝)로 나뉘어진다. 전근은 운동신경섬유, 후근은 감각신경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데 반해, 전지와 후지에는 운동신경섬유와 감각신경섬유가 다같이 포함되어 있다. 즉 각각의 척수신경의 전지와 후지에는 운동뉴런의 축색돌기, 자율신경뉴런의 축색돌기 및 감각신경절세포의 돌기, 즉 감각신경섬유가 갖가지 비율로 섞여 있다. 전지와 후지 중 후지가 체간(體幹)의 배측부에 분포하는 데 반해, 전지는 체간의 복측부와 팔다리에 분포한다. 이 경우 각각의 척수신경의 후지와 흉신경의 전지는 그대로 달려서 체간에 분포하는 데 반해, 경신경·요신경·천골신경·미골신경의 전지는 경부나 팔다리를 향해서 달리기에 앞서 각각 이웃하는 전지와의 사이에서 신경섬유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척수신경의 전지 사이에 신경섬유의 교차가 생겨 일종의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이것을 신경총 또는 신경집망이라 한다. 사람의 신경총에는 경신경총(제 1 경신경에서 제 4 경신경까지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완신경총(제 5 경신경에서 제 1 흉신경까지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요신경총(제12흉신경에서 제 4 요신경까지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천골신경총(제 4 요신경에서 제 3 천골신경까지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음부신경총(제 2 ∼제 4 까지의 천골신경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미골신경총(제 4 ·5천골신경과 미골신경의 전지에 의해서 형성)이 있다. 이상의 신경총 중 완신경총에는 팔을 지배하는 액와신경(腋窩神經)·근피신경·정중신경(正中神經)·척골신경·요골신경 등이 이어져 있다. 완신경총은 목의 기부 근처에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 등으로 목이 한쪽 방향으로 강하게 당기게 되면 완신경총을 형성하고 있는 신경섬유의 뿌리 쪽이 손상되기 쉽다. 액와신경이 손상되면 상완의 외전(外轉;상완을 외측을 향해서 수평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되지 않는다. 또 팔꿈치를 쳤을 때 새끼손가락 부근에서 <찌릿함>을 느낄 때가 있는 것은 팔꿈치의 후내측부를 달리는 척골신경이 타격을 받기 때문이다. 요골신경이 손상되면 손이 손목에서 아래로 드리워지고 손가락을 펼 수도 없다. 또 정중신경이 손상되면 엄지손가락 근처의 손바닥에 감각마비가 일어남과 함께 엄지손가락을 굽힐 수 없게 된다. 다리를 지배하는 말초신경은 요신경총과 천골신경총에 이어져 있다. 대퇴의 복측(전면)의 근육과 피부를 지배하는 대퇴신경은 요신경총에 이어지는 말초신경이다. 대퇴의 배측(후면) 및 하퇴, 발의 근육과 피부를 지배하는 좌골신경(座骨神經)은 천골신경총에 이어지는 말초신경이다. 이상과 같이 척수신경의 전지는 지배 부위에 분포하기 앞서 신경총을 형성하게 되는데, 전지 중에서 흉신경의 전지만은 일부만 완신경총이나 요신경총에 참가하고, 나머지는 신경총을 형성하는 일 없이 척수신경의 후지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달려서 체간의 복측부(전면)와 측면에 분포한다. 이와 같은 흉신경의 전지를 늑간신경(肋間神經)이라 하며, 사람의 늑간신경은 12쌍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