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날로그 신호의 구성요소는 진폭, 주파수, 위상 세가지
진폭 (Amplitute) :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에서 신호값이 가장 큰 곳과 가장 작은 것의 차이 값 단위는 볼트(volt)를 사용
한쪽 끝 부분이 고정이 되어 매달려 있는 용수철의 다른 쪽 끝부분을 길게 늘였다가 놓아보자. 고정되지 않은 용수철의 다른 쪽 끝부분이 처음 멈춰있었을 때의 위치를 진동 중심이라고 할 때
진폭 (Amplitute) :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에서 신호값이 가장 큰 곳과 가장 작은 것의 차이 값 단위는 볼트(volt)를 사용
한쪽 끝 부분이 고정이 되어 매달려 있는 용수철의 다른 쪽 끝부분을 길게 늘였다가 놓아보자. 고정되지 않은 용수철의 다른 쪽 끝부분이 처음 멈춰있었을 때의 위치를 진동 중심이라고 할 때
본문내용
2π만큼 증가해도 같은 값을 가진다고 했으므로
ω(t + T) = ωt +2π가 된다.
따라서 ωT = 2π이므로 각진동수 ω = 2π/T가 된다.
y(x,t) = A sin (kx - ωt)
위 식은 파동방정식이다. 역시 괄호안의 값(kx - ωt)을 파동의 위상이라 하며, A는 진폭, k는 각파동수(wave number), x는 위치, ω는 각진동수, t는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파장 λ(람다)는 파동의 모양이 계속 반복될 때 파동의 진행방향으로 생긴 같은 모양의 길이이다. 즉 x-y 평면에 사인함수를 그려보면 인접한 골과 골 사이 또는 마루와 마루 사이를 파장λ라고 한다.
A sin k(x + λ) = A sin(kx + kλ)에서 kλ = 2π가 된다.
따라서 k = 2π/λ가 된다.
ω(t + T) = ωt +2π가 된다.
따라서 ωT = 2π이므로 각진동수 ω = 2π/T가 된다.
y(x,t) = A sin (kx - ωt)
위 식은 파동방정식이다. 역시 괄호안의 값(kx - ωt)을 파동의 위상이라 하며, A는 진폭, k는 각파동수(wave number), x는 위치, ω는 각진동수, t는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파장 λ(람다)는 파동의 모양이 계속 반복될 때 파동의 진행방향으로 생긴 같은 모양의 길이이다. 즉 x-y 평면에 사인함수를 그려보면 인접한 골과 골 사이 또는 마루와 마루 사이를 파장λ라고 한다.
A sin k(x + λ) = A sin(kx + kλ)에서 kλ = 2π가 된다.
따라서 k = 2π/λ가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