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독교 강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지털 기독교 강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앙 도서이다. 칼빈은 총 4번에 걸쳐 기독교 강요를 개정하였다. 1536년 칼빈의 나이 26세 때 『기독교 강요』 초판을 발행했다. 여기에는 십계명, 사도신경, 주기도문, 세례와 성찬, 천주교의 다섯 성례, 성도의 자유와 교회, 징계 등의 내용이 포함된 총 6장으로 쓰여진 책이었다. 1539년에 『기독교 강요』 2판이 개정증보 되었다. 2판은 6장이었던 초판의 내용을 17장으로 늘렸다. 그리고 1543년에 다시 새로운 『기독교 강요』를 발행했다. 제 3판인 것이다. 17장이었던 것을 21장으로 확장했다. 그리고 1559년 칼빈의 『기독교 강요』 최종판이 나오게 되었다. 전체 21장이었던 책을 80장으로 대폭 늘렸고 좀 더 체계적인 구조로 구성하였다. 최종판은 전체 4부로 나뉘었는데 1부는 창조주이신 하나님, 2부는 구세주 예수님, 3부는 성령 하나님, 4부는 교회의 순서로 다루었다. 이 『기독교 강요』의 내용은 종교 개혁이 성공될 수 있었던 큰 밑거름의 하나이다. 신앙의 틀을 형성시키는 놀라운 신학적 이해가 있는 책이었다. 이 책은 라틴어와 프랑스어로 기록되었기에 우리 나라 사람들이 직접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고 그 분량도 방대하여 읽기가 쉬운 책이 아니다. 그러나 믿음 생활을 하면서 『기독교 강요』를 읽게 되면 많은 부분에서 통찰력과 신앙의 깊이를 제시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에 『디지털 기독교 강요』는 이러한 시대적, 학문적 갭을 최소화하면서 쉽게 『기독교 강요』에 접근하도록 정리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II. 본론
『디지털 기독교 강요』를 읽음으로 느껴졌던 것이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 몇 가지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기독교 강요』는 칼빈의 『기독교 강요』의 핵심 내용을 잘 정리해 주고 있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가 총 80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그 각 장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핵심적인 것을 정리하여서 『기독교 강요』에서 무엇을 강조하고 나타내려고 했는지 파악하기가 쉬웠다. 물론 분량이 많다보니 약간 겹치는 부분도 있었고 어려웠던 내용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칼빈의 『기독교 강요』의 내용을 알기 쉬운 우리 말로 정리한 점은 매우 유익하다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김준수 목사님이 정말 대단한 분이라고 생각했다. 『기독교 강요』를 많이 읽은 것도 놀라웠지만 그것은 쉬운 현대 언어로 정리한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둘째, 칼빈이 저술한 『기독교 강요』 최종판을 직접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왜냐하면 김준수 목사님께서 핵심 내용을 잘 정리해 주고 있지만 칼빈이 기록한 한 문장, 한 문장을 직접 읽어보고 생각해 보고 싶은 부분이 많이 있었다. 그리고 읽으면서 가슴에 와 닿았던 문장이 칼빈이 쓴 글의 내용인지 아니면 김준수 목사님이 정리한 내용인지 비교해 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더군다나 3주전에 신대원 특강 "21세기와 칼빈의 기독교 강요"라는 주제로 학술 세미나가 개최되었었다. 세미나를 통하여 칼빈의 『기독교 강요』가 현시대 목회자에게 초대교회 교부들의 사상을 집대성한 책이며 어거스틴의 사상을 정리했고, 당시 종교 개혁의 사상을 집대성한 책이며 현재에도 성경 다음으로 신학적 통찰을 주는 책 중의 하나라는 것을 듣게 되었다. 그리고 『디지털 기독교 강요』읽게 되었을 때 책의 내용에 대해서 기대감을 갖게 되었다. 계속적으로 독서를 하다보니 실제로 쓰여진 『기독교 강요』를 읽어보고 되새기면서 의미를 파악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셋째, 『디지털 기독교 강요』를 읽으면서 새로웠던 것은 각 장마다 김준수 목사님이 그 장의 핵심 내용에 맞는 '비유적 언어'를 사용하여 독자의 이해를 쉽게 했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자기가 읽고 배운 것을 비유로 설명하지 못하면 아직 그 내용을 제대로 파악한 것이 아니라고 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김준수 목사님이 어떤 분인지는 모르지만 칼빈의 『기독교 강요』를 무척 좋아했고 그 내용을 잘 파악했고 파악된 내용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데 있어서 수많은 고민과 연구가 있었던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적절한 비유를 들어서 설명한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그 중에서도 율법과 복음의 관계를 영화의 예고편과 본편 이라는 비유가 인상적이었고,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을 설명하기 위해 2인 3각의 경기를 비유로 들었던 것은 참 대단한 관찰력과 생각이었다고 느껴진다. 예수님도 비유로 알아듣기 쉽게 하나님의 나라를 소개했고 김준수 목사님도 기독교 강요를 알아듣기 쉽게 비유로 한 것을 보면서 내 자신도 사람들에게 쉬우면서도 핵심을 말할 수 있도록 연구하며 고민하고 노력해야겠다는 마음을 다짐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기독교 강요』는 독자들을 매우 배려한 점이 인상적이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의 내용이 쉬운 내용이 아니고 분량도 방대하며 번역이 매끄럽지 못해 신학생들도 어려워하는 부분이 있다. 그런데 이런 내용을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심리적, 문화적 수준을 고려하여 설명하려고 한 점이 매우 인상적이다. 과거의 책들은 저자가 가진 사상이나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어서 지은이의 주관성이 많이 포함되어 독자들은 저자가 그 책을 통하여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 『디지털 기독교 강요』는 현대적 감각을 가진 독자들을 위한 배려가 너무 좋았고 그에 합당한 신학적인 메시지로 전달해 줌으로 많은 크리스찬에게 신학적 사고를 하며 신학적 정립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책을 읽으면서 현대적 감각과 그 안의 메시지가 잘 어우러져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부담감 없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신대원 학생들 중에 『디지털 기독교』를 구입해서 읽는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그 이유를 물어보니 핵심 내용이 잘 정리되었고 읽는데 큰 부담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말을 들었다.
III. 결론
『디지털 기독교 강요』읽으면서 가장 큰 도전을 받은 것은 칼빈이라는 종교 개혁자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 점이다. 짧은 글이었지만 왜 칼빈이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는지 조금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 칼빈에 대해 잘 몰랐지만 앞으로 칼빈의 저술들을 많이 읽어보며 도전을 받고 싶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2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