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치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치료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과 병용되어 사용되는 수가 많다.
2) 체계적 둔감법
환자로 하여금 불안, 공포 등 병적인 행동을 일으키는 자극의 강도에 따라 약한 장면에서부터 심한 장면까지 여러 단계(대개 10-12장면)의 목록을 작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계작성이라 한다. 다음 긴장이완훈련을 시킨다. 그 다음 체계적 탈감작법을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예를 들어 고공공포증 같은 경우 처음에 긴장을 풀게 하고 다음 높은 곳에 대한 상상적인 연습을 한 후 실제로 조금씩 높은 곳으로 올라가면서 이완을 하게 함으로써 고공공포증을 극복해 가도록 한다. 이와같이 불안을 야기하는 요인을 분명히 알 수 있을 때가 가장 좋은 적응증이며 따라서 공포증에 가장 효과적이다. 기타 강박증, 성기능장애에도 사용된다.
3) 행동 수정기법
이는 재강화의 개념을 이용하여 원하는 행동을 만들어내고, 또는 원치 않는 행동을 제거하거나 다른 건강한 행동이나 습관으로 대치하는 기법이다. 즉 조작적 조건화 이론에 의하면 인간의 행동은 상벌의 균형에 따라 학습되거나 소멸된다. 보수나 칭찬 같은 양성강화는 학습된 행동을 조장해준다. 그러나 무시하면 그런 행동은 약화 내지 사라지는데 이를 소거라고 한다.
이 기법은 알코올 중독, 약물남용, 식사장애, 행동장애 등 충동조절장애에 효과가 있다. 치료프로그램은 환자에 따라 다르게 계획한다. 예를 들면 만성정신질환자에게 토큰활용법이나 학업능률이 저하된 문제소년을 대상으로 행동조절계획표를 작성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음성강화보다 양성강화가 효과적이고, 정기적 양성강화보다 예측 못한 불규칙적 강화가 더 효과적이다.
1) 강화에 의한 행동 수정
(1) 정적강화(positive reinforcement)
가치 있는 어떤 것을 제공함으로 행동의 발생 강도와 빈도를 증가 시키는 방법
ex: 자판기에 돈을 넣고 버튼을 눌렀을 때 커피가 나오지 않아 자판기를 발로 찼는데 커피가 나왔다면 다음에 그런 상황에서 발로 찰 확률이 높아짐
(2) 부적강화 = 도피조건형성(escape conditioning)
어떤 반응이 혐오 자극을 제거하면 그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증가함
ex:날씨가 매우 추움→ 옷을 더 입어 추위를 피함,
밖에서 도로를 보수함→ 창문을 닫아 소음을 피함
(3) 행동 연쇄법(chaining)
한 사람의 행동 레퍼토리에 이미 존재하는 단순한 행동을 적절한 방법으로 연결하여 보다 복잡한 행동을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
(4)소거(extinction)
전에 강화 받았던 특정 행동을 강화하지 않으면 행동 빈도,강도가 줌
ex: 남편이 퇴근길의 교통 체증에 대해 불평함-아내가 저녁 식사 준비를 하며 남편 말에 전혀 관심을 주지 않음- 다음에 같은 상황 시 같은 불평을 할 가능성이 감소함
2) 혐오자극에 의한 행동 수정
(1) 벌 :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약화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①신체적(혐오적) 벌칙 ex: 체벌, 습관 적 구토 시 레몬즙
②책망-부적절 행동에 이어지는 강한 부정적 언어자극 ex: 안돼! 그건 나쁜 짓이야
(2) 타임아웃
특정 행동 후 강화가 많은 상황에서 적은 상황으로 이동 ex: 수업 시간 중 리본
(3 ) 반응대가(response coat)
특정한 행동 뒤에 특수한 강화물을 제거하는 것 ex: 대여물 연체료, 마이너스 통장 이자
(4) 과잉교정(overcorrection) : 잘못된 행동이 지나치게 일어날 때, 강화로 제공될 대안 행동이 거의 없거나 효과적인 강화인자가 없을 때 효과적 예)화가 나서 음식을 던진 아동-음식이 떨어진 바닥뿐만 아니라 주위의 모든 바닥을 깨끗이 치우고 닦게 함
4) 혐오자극법
Pavlov식 혐오법을 응용한 것이다. 조작적 혐오법은 잘못된 행동에 대하여 처벌을 가하는 방법인데 음성강화라 한다. 예를 들어 술을 마신 후에 손가락에 전기자극으로 고통을 주어 술을 뱉어낼 때까지 이를 계속하는 것이다. 기타 욕하거나 경멸하기 등도 사용한다.
5) 자기주장 및 사회기술훈련
환자가 자신의 판단을 신뢰하고 자신감을 갖도록 하여 사회적 상황에 적절히 반응하고 자신의 의견을 사회가 용납하는 방법으로 표시하여 목적을 달성하도록 지도훈련하는 것이다. 기술적으로 역할 닮기, 탈감작 및 양성강화의 기법을 이용하여 대화하기, 시장 보기, 직장 구하기 등등 사회생활을 실제 해 보게 함으로써 소극성이나 부끄러움을 이기도록 하는 것이다.
6) 노출치료
공포의 대상 또는 상황에 실제 노출시키되 환자가 거기에 적응할 때까지 노출시킨다. 단계적 노출은 점차 조금씩 노출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Flooding은 한꺼번에 대량 노출시키는 것이다. 뱀공포 환자에게 갑자기 뱀을 쥐어주는 것을 Counterphobic treatment라 한다. 그 이론적 근거는 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을 피하기만 해서는 조건화에 의해 불안이 더 심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가 피하지 못하도록 하면 결국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체계적 탈감작이나 단계적 노출이나 이완훈련을 동반하지 않는다. 직접 직면하지 않고 심한 불안이 동반된 상상을 하도록 하는 노출방법을 implosion이라 한다. 또는 불안상태를 의도적으로 일으키거나 요구하는 역설의도도 이에 속한다.
6. 평가
1) 공헌
- 상담을 과학으로 발전시킨 점이다. 정신분석적 접근이나 인간중심적 접근 등 대부분 의 접근에서는 상담의 목표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진술되지 않기 때문에 상담의 결과로 나타난 효과에 대해서도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 그러나 행동주의적 접근에서는 겉으 로 드러나는 구체적인 행동을 소멸시키거나 새로운 행동을 획득하도록 상담 목표를 정한 다. 객관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담을 과학으로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 구체적인 행동기법의 폭넓은 다양성이다.
- 심리상담/치료성과에 대한 연구와 평가에 대한 강조이다.
2) 행동치료의 한계
① 행동은 변화시킬 수 있을지 모르지만 감정은 변화시키지 못한다.
② 상담/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관계적 요인들을 무시한다.
③ 통찰을 제공하지 않는다.
④ 원인보다는 증상을 다룬다.
⑤ 상담/치료자에 의한 통제와 조작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2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