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이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발달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이를 대상으로 하여 커다란 소음에 의한 반사적 반응인 공포가 다른 중성적 자극에 의해서도 일으켜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처음엔 흰쥐에 대한 공포가 전혀 없던 아이가 흰쥐를 만질 때마다 커다란 소음을 내어 그가 깜짝 놀라 울게 하였다. 그러자 아이에게 원래 무서워하지 않던 흰쥐를 무서워하도록 조건형성이 이루어진 것이다.

Thorndike

그에 따르면 동물이 학습하는 것은 우연히 성공이 반복되기 때문이며 성공에 의한 만족감을 느끼는데서 성립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동물의 모방에 의한 학습을 설명하지 않고 있으며 또 효과의 법칙이나 연습의 법칙으로 설명될 수 없는 또 반대되는 현상이 인간에게 수없이 나타나는데 대해 설명이 배제되어 있어 이론의 한계를 느끼고 있다. 또한 동물과 어린이를 기계적으로 행동하는 속성을 지녔다는 "기계적 인간"으로서의 신조를 가지게 할 수도 있어 비판받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B.F.Skinner

그는 행동의 실험적 분석(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을 통하여 정밀과학을 발전시켰으며 교육의 발전을 위한 학습기술 또는 정신질환이나 문제행동 등의 행동수정(behavior modification)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가 밝힌 행동습득의 이론, 즉 학습이론을 조작적 조건화라고 부른다. Skinner는 고전적 조건형성에서는 유기체가 외적자극(종소리나 고기)의 영향을 받지만 도구적 조건형성에서는 외적자극보다는 유기체내부의 수의적인 경향성에 의하여 환경을 반응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문제상자에서 고양이가 고리를 나꿔채거나 발판을 누르는 것은 외적자극의 영향보다는 수의적이고 능동적인 행동으로 이러한 반응을 조작행동(operant behavior) 혹은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이라고 하였다. 그는 Thorndike의 효과의 법칙을 믿고 조작행동의 경향성은 그 행동의 결과 즉 반응 후에 보상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조작행동은 강해지거나 혹은 약화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하여 Skinner는 자신의 이름을 딴 실험상자(Skinner box)를 고안하였다. 문제상자 속의 쥐를 하루에 한번 먹이를 먹게 순응시킨 후 우연히 지렛대를 누름으로서 먹이라는 보상을 받게되면 쥐는 계속적으로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습득하게 된다. 이대 먹이는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강화시켜주게 되는 역할을 한다. 또 고전적 조건형성에서의 소거와 자발적 회복현상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실험자가 불이 켜져 있을 때만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를 줌으로써 쥐로 하여금 이를 학습케 하는 변별자극도 관찰하게 된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조작적 조건화는 반응에 대하여 강화를 시켜줌으로써 그러한 반응이 나타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게된다.

Albert Bandura

사람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반응(행동)을 학습할 수 있기도 하고 특정의 행동을 억제하거나 회피하게되기도 하고 때로는 새로운 행동의 형성이나 억제를 촉진하게 된다. 한 model에 대한 관찰자의 행동모방 등을 연구한 학자가 Albert Bandura이다. 관찰은 인간의 행동과 그것을 관찰한 사람간의 관계를 밝히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 그래서 관찰학습이론을 사회적 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이라 하기도 한다.

Carl R. Rogers

인본주의 심리학을 대표하는 그의 이론은 학습과정에 포함되는 역동성보다는 인간 전체적인 기능으로서의 학습이라는 점에 유의하고 있다. 학습이라는 것은 학습자의 지적, 정서적 측면에서의 변화보다는 그의 내면으로부터의 학습을 위한 동기유발이 보다 중요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Rogers는 "Freedom to Learn"에서 학습을 무의미한 학습과 유의미한 학습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들은 여러 가지 방면에서 진정한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학습하려는 생리적 욕구와 호기심, 또 이 세계와 새로운 경험을 탐색하고 거기에 동화하려는 열망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학습과제가 학습자와 관련되어 있어서 학습효과가 더 잘 나타난다고 하였다. 따라서 학습은 자발적이며 학습자에 의해 평가되어야 하고 의미 있는 요소로서 경험에 누적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한다.

생태학적 이론

인간발달생태학(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은 적극적으로 성장해 가고 있는 인간과 그 발달하고 있는 개인이 살고 있는 즉각적인 장면(immediate setting)의 변호하는 속성이 발전적으로 상호조절(mutual accommodation)하는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이 발전적 상호조절 과정은 즉각적인 장면과 장면 사이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또한 그 장면들은 더 큰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정의는 첫째, 개인을 단순히 환경의 영향을 받는 백지상태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는 역동적 실체로 간주한다. 둘째, 개인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은 상호호혜성의 특징을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 셋째, 환경의 개념이 단일하고 즉각적인 장면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더 넓은 환경에서 전달되는 외적영향까지도 포함된다.
미시체계는 발달하는 개인이 독특한 물리적·물질적인 특성을 가진 환경내에서 경험하는 활동, 역할 및 대인관계의 유형이다. 중간체계(mesosystem)는 발달하는 개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둘 이상의 환경들간의 상호관계(interaction)로 이루어진다. 예로서, 아동의 경우는 가정, 학교와 이웃, 동료 집단 사이의 관계들이며, 성인의 경우는 가족, 직장, 사회생활 사이의 관계이다. 외체계(exosystem)는 발달하는 개인이 적극적인 참여자로 관여하지는 않으나 발달하는 개인이 속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일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는 사건이 발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환경을 의미한다. 거시체계(macrosystem)는 기본적인 신념체계가 이념과 함께 하위체계들(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의 형태와 내용에서 나타나는 일관성(consistencies)으로서 하위문화 수준이나 문화전반의 수준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수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31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