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예방접종에서 백신의 종류
○ 결핵예방백신 (BCG)
○ B형 간염
○ DPT (Diphtheria, Pertussis, Tetanus) 혼합 백신
○ 폴리오 (소아마비) 백신
○ 홍역, 볼거리, 풍진 백신 (MMR : Measles. Mumps, Rubella)
○ 일본뇌염
○ 장티푸스 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 결핵예방백신 (BCG)
○ B형 간염
○ DPT (Diphtheria, Pertussis, Tetanus) 혼합 백신
○ 폴리오 (소아마비) 백신
○ 홍역, 볼거리, 풍진 백신 (MMR : Measles. Mumps, Rubella)
○ 일본뇌염
○ 장티푸스 백신
○ 인플루엔자 백신
본문내용
를 원칙으로 권하고 있다). 복용회수에 따라 예방효과의 지속기간이 달라지므로 순응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약제는 투약 직전까지 반드시 냉장보관 해야 하며, 복용시 씹거나 깨물지 말고 그대로 삼켜야 한다. 찬물로 마시고 37℃ 보다 높은 온도의 물과 마시지 않는다.
추가 접종 : 아직 확실히 정해지지 않았지만 3년마다 추가 접종하는 것을 추천한다.
복용 방법은 기본 접종과 동일하다.
금기사항
: 경구용 생백신은 면역기능저하자, 임산부, 수유부, 급성대장염 환자는 금한다.
○ 인플루엔자 백신
: 세계적으로 1940년대 말부터 인플루엔자 백신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초기의 백신은 계
란의 요막강 내에 바이러스를 증식시킨 후 원침 또는 염투석법으로 바이러스를 정제한 뒤 포르말린으로 처리한 비활성화한 전세포 백신이었으며, 한 가지 아형의 바이러스만 포함 하였다. 초기 백신은 피접종자의 발열, 경련등 부작용이 많았으나, 1972년부터는 바이러스 구성 성분 중에 열성 발열물질이 있음을 알고 이를 에테르로 처리하여 발열성 물질을 제거한 소위 HA백신이라고 하는 아단위급 백신이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접종 대상 및 시기
생후 6개월 이상인 사람 중에서 다음의 순서대로 권장한다.
: 접종은 늦어도 인플루엔자 유행 2주 전에 받아야 하는데 9~10월의 사이에 접종을 시작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1) 폐 질환자, 심장 질환자
(2)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 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사람
(3) 병원에 다닐 정도의 다음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 대사질환, 당뇨병자, 신장 질환자, 만성 간 질환자, 악성 종양자, 면역 저하 환자, 아스피린 복용 중인 6개월~18세 소아, 혈색소 병증(hemoglobinopathy)환자
(4) 65세 이상의 노인
(5) 의료인, 환자 가족
금기사항
(1) 이전에 인플루엔자 백신을 받고 심한 과민반응을 보인 사람
(2) 계란에 심한 과민반응을 보인 사람
(3) 이전 인플루엔자 백신을 받고 6주 이내에 Guillain-Barre 증후군이나 다른 신경 이상이 생긴 사람
(4) 발열이 있는 사람은 열이 없어지기 전까지는 접종하지 않는 것이 좋다.
(5) 임신부도 인플루엔자 합병증의 위험인자가 있으면 접종이 필요하다. 그러나, 위험인자가 없는 임신 초기의 임신부는 태아 이상이 생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접종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접종 : 아직 확실히 정해지지 않았지만 3년마다 추가 접종하는 것을 추천한다.
복용 방법은 기본 접종과 동일하다.
금기사항
: 경구용 생백신은 면역기능저하자, 임산부, 수유부, 급성대장염 환자는 금한다.
○ 인플루엔자 백신
: 세계적으로 1940년대 말부터 인플루엔자 백신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초기의 백신은 계
란의 요막강 내에 바이러스를 증식시킨 후 원침 또는 염투석법으로 바이러스를 정제한 뒤 포르말린으로 처리한 비활성화한 전세포 백신이었으며, 한 가지 아형의 바이러스만 포함 하였다. 초기 백신은 피접종자의 발열, 경련등 부작용이 많았으나, 1972년부터는 바이러스 구성 성분 중에 열성 발열물질이 있음을 알고 이를 에테르로 처리하여 발열성 물질을 제거한 소위 HA백신이라고 하는 아단위급 백신이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접종 대상 및 시기
생후 6개월 이상인 사람 중에서 다음의 순서대로 권장한다.
: 접종은 늦어도 인플루엔자 유행 2주 전에 받아야 하는데 9~10월의 사이에 접종을 시작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1) 폐 질환자, 심장 질환자
(2)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 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사람
(3) 병원에 다닐 정도의 다음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 대사질환, 당뇨병자, 신장 질환자, 만성 간 질환자, 악성 종양자, 면역 저하 환자, 아스피린 복용 중인 6개월~18세 소아, 혈색소 병증(hemoglobinopathy)환자
(4) 65세 이상의 노인
(5) 의료인, 환자 가족
금기사항
(1) 이전에 인플루엔자 백신을 받고 심한 과민반응을 보인 사람
(2) 계란에 심한 과민반응을 보인 사람
(3) 이전 인플루엔자 백신을 받고 6주 이내에 Guillain-Barre 증후군이나 다른 신경 이상이 생긴 사람
(4) 발열이 있는 사람은 열이 없어지기 전까지는 접종하지 않는 것이 좋다.
(5) 임신부도 인플루엔자 합병증의 위험인자가 있으면 접종이 필요하다. 그러나, 위험인자가 없는 임신 초기의 임신부는 태아 이상이 생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접종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