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균 방취에 관한 의류 소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균 방취에 관한 의류 소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 있다고 한다. 아울러 내의 제작공정에 정화 기능을 갖고 있는 참숯 가공제를 부분 첨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 시켜 질병에 대한 면역 기능을 높여준다.
성창화성은 맥섬석을 섞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합성 피혁 라이노를 개발하였다. 이 제품에서 나오는 원적외선 파장은 진동수가 인체 분자의 진동수와 거의 같은 범위여서 쏘였을 경우, 혈액순환과 자율신경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제품은 5㎛ 크기로 가늘게 분쇄된 맥섬석을 고열로 구운 후 인조 가죽에 합성한다. 아론섬유에서도 맥반석을 800∼1,200℃의 고열에 구운 다음에 5㎛(밀가루의 1/10 굵기) 정도의 가루로 만들어 폴리에스터 원료와 합성한 반영구적인 섬유이다. 이 섬유는 원적외선 5∼20㎛(방사율 90%) 이상의 극초단파로써 파장의 진동수가 인체의 진동수와 같아 체내에 투과되면 분자 내에 공명현상이 일어나 모세혈관의 확장, 피하심층 온도 상승, 혈액순환 촉진, 노폐물의 신진대사 촉진, 항균능력의 향상 등의 효능을 갖는 것으로 실험 결과 밝혀졌다. 의류용, 이불 등의 침장용으로 사용한다.
바이오 세라믹 처리에 의하면 항균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대장균에 대해서는 24시간 후에 84%의 세균 감소율을, 녹농균에 대해서는 82%의 감소율이 시험결과로 나타났다.
도요보는 스킨케어 항균방취가공 소재 알로마블을 개발하였다. 면 100% 및 면 혼방 원단으로 알로에 등의 천연성분 복합체를 피복시킨 소재로써 적당한 보습효과로 건조함을 방지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운모섬유로 일컬어지는 일라이테론은 선경, 삼양사, 효성 등에서 원사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는 광물의 일종인 운모를 원재료로 하여 섬유를 추출한 것인데 상온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함에 따라 축열, 탈취, 항균작용은 물론 정전기 방지, 이온교환 작용까지 하는 신소재이다. 이는 화학섬유와 친화성이 좋아 원사 제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고 유연성과 촉감이 좋다. 이와 유사한 기능성 섬유(예로 맥반석)가 있으나 보다 경도가 높고 활도가 떨어져 제직후 직물이 거칠고 단점이 많아 제조 원가가 비싸다. 용도로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혼방직물 등의 의류용, 부직포, 패딩, 메트리스 등에 상품화를 하고 있다.
광촉매가 첨가된 항균소취 폴리에스터를 일본의 소니 그룹에서 개발하였다. 이는 광촉매로 작용하는 산화티탄을 폴리에스터 섬유에 첨가한 것인데 광촉매를 첨가하면 쉽게 끊어지는 난점이 있었다. 그러나 폴리에스터의 용융 온도라던가 산화 티탄의 첨가량을 최적화하여 노즐에서 폴리에스터가 압출될 때 잘 끊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산화 티탄은 태양광이나 형광등의 빛에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를 발생 표면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이나 잡균, 냄새성분을 분해하는 광촉매 기능이 있다. 이러한 산화 티탄을 이용한 제품으로는 이미 항균 타일, 오염 방지 기능이 있는 형광등 등이 실용화되어 있으며 나일론 섬유에는 첨가한 경우가 있으나 산화티탄을 폴리에스터 섬유에 첨가할 수 있다면 병원 가운이나 시트 등의 광범위한 이용이 기대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3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