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결과를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 내담자는 진전을 보이기 위해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 초보 상담자는 내담자가 진전을 보이는지, 또는 그의 성장에 자신이 도구로 쓰여지고 있는지 등과 같은 불확실성을 참고 견딜 필요가 있다. * 내담자들은 서서히 그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며, 그들의 생활에서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게 된다. 11)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는 문제 * 모든 내담자들에게 성공을 기대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인정할 만큼 상담자는 자신과 내담자에게 솔직해야 한다. (다른 사람에게 의뢰할 수도, 더 이상 상담을 계속할 수 없다고 말해야 할 경우도 있다) * 상담을 원치 않으면서도 내담자를 수용한다면 그 내담자에게 이롭지 못한 행동을 하는 것이다. 지나치게 이타적이고 사심이 없는 상담자의 이미지는 파기되어야 한다. 우리가 탐탁지 않게 느끼는 내담자는 점차로 우리의 그런 마음을 느낄 것이며 자신이 수용 받지 못한다는 것에 대해 상처받게 될 것이다. 12) 내담자 속에서 자신을 잃어버리는 문제 * 초보 상담자의 경우 상담 장면 밖에서도 내담자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는 경우가 있다. (다시 만날 때까지 그들을 놓아 주라) * 내담자는 충분히 책임 있고 자신의 문제를 감당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다. * 상담자 자신의 역전이 문제에 깨어 있어야 한다. <일반적인 유형의 역전이 문제> 내담자에게 사랑 받고 인정받고 존경받고 싶은 욕구 내담자가 상담자를 미숙하게 보고 떠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상담자의 옛날 감정을 환기시키는 내담자 자신의 경험에서 옛날의 상처나 의식하지 못했던 갈등이 나타나기 때문에 내담자의 고통이나 갈등을 줄이려는 상담자의 욕구 우월한 위치에서 내담자가 어떻게 살아야 하고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지배적인 충고를 주고 싶은 상담자의 충동 * 상담자의 욕구가 상담의 초기단계에서 침투될 수 있지만 우리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탐색해야 한다. 그러지 못할 경우 내담자 속에서 우리 자신을 잃어버리거나 그들을 충족되지 못한 우리의 욕구를 채우는데 이용하기 다. 13) 유머감각을 발달시키는 문제 * 상황을 후퇴시키는 유머와 상황을 향상시키는 유머를 구별해서 건설적으로 쓴다면 신뢰감 형성에 도움이 된다. 14)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는 문제 * 단기 위기 상담일 때 더 그러하며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했다면 기적을 이루지 못했다는 좌절감에서는 빠져 나올 수 있다. 15) 조언을 삼가는 문제 * 내담자는 상담자가 방향제시 이상의 것을 해주기를 원하거나 상담자가 현명한 결정을 해주거나 문제를 해결해 주기를 원한다. * 상담자의 임무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고 행동의 자유를 자각하도록 돕는 것 즉, 독립적으로 선택하고 스스로의 선택의 결과를 수용하는 용기를 갖도록 돕는데 있다. * 내담자가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입히려고 할 때는 직접적인 조언이 필요하다. 16) 제안과 설득을 사용하는 문제 * 내담자가 충분히 준비되어 있으면서 단지 두려움 때문에 망설이고 있을 경우 * 제안을 적절히 사용하면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 단지 상담자를 기쁘게 하기 위해 이 제안을 따른다면 자제해야 한다 17) 조심스럽게 진행시키는 문제 * 초보 상담자는 조심스럽게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내담자와 상담자 모두에게 안전하다. 18) 자신의 상담유형을 발달시키는 문제 * 다른 상담자의 유형을 모방하거나 어떤 학자의 이론에 우리의 행동을 억지로 맞추는 것은 우리의 독창성을 흐리게 한다. * 다른 사람들로부터 어떤 방법을 빌리지만 동시에 자기 자신을 구별해주는 방법을 발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인간으로서 그리고 전문인으로서 살아가기 * 상담자로서 우리가 사용해야 할 가장 중요한 도구는 우리자신의 인간성이며 가장 강력한 기법은 가장 생기 있고 진실한 모델인 우리의 능력이다. 그러므로 생기가 넘치도록 하기 위해 우리 자신을 돌보아야 한다. 만약 우리가 과로에 빠진다면 적극적으로 우리 자신을 풍요롭게 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 상담자는 광범위한 이론적, 실제적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그 지식을 내담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담 장면에서 인간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 상담자는 자신의 선택과 결정을 탐색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향상시키고 성장 가능성을 자각하도록 힘써야 한다. 내담자에게 안내하는 삶과 일치된 삶을 살려는 자발적인 시도는 내담자를 위한 긍정적인 모델이 되며 상담자를 '치료적인 인간'으로 만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