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십자군에 대하여
2. 십자군 전쟁에 대하여
3. 르네상스의 조각 1
4. 르네상스 조각 2
5. 르네상스 그림
2. 십자군 전쟁에 대하여
3. 르네상스의 조각 1
4. 르네상스 조각 2
5. 르네상스 그림
본문내용
이며, 그의 조각은 재료의 물질적 속성을 초월하여 그 속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교황 율리우스 2세의 부탁으로 시스티나성당의 천장화를 완성한 후 미켈란젤로는 곧장 《죽어가는 노예》를 제작했으며, 그 작품은 죽음 앞에 체념하고 있는 한 청년의 격렬한 동세를 확고하고 단순하며 안정된 형태로 표현하였다.
일반적으로 미켈란젤로는 ‘미완성’(non-finito)의 아름다움을 개척한 조각가로 평가받는데, 몇몇 작품이 비록 미완성인 채로 남겨져 있으나 마치 돌덩어리 속에서 생명체가 꿈틀거리고 있는 것과 같은 심리적 긴장은 후에 나타나는 매너리즘 조각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미켈란젤로 이후 전성기 르네상스의 호사스러운 민족취향을 반영한 것이 첼리니(Benvenuto Cellini:1500~71)가 프랑수아 1세를 위해 제작한 《황금의 소금상자》로 이 뛰어난 세공품이 르네상스 조각의 활력과 이상미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16세기 매너리즘으로 이행되는 과도기의 유럽인들이 지니고 있던 미적 취향을 반영한 것임에는 분명하다. 16세기의 매너리즘적 징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조각가가 볼로냐(Giovanni da Bologna:1529~1608)로서 그의 조각은 파르미자니노의 회화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기존의 규범에 대한 도전에서 획득된 놀라운 효과를 만들어내고 있어 주목된다.
아래는 르네상스의 대표적인 조각들의 사진입니다.
(1) 피에타
미켈란젤로 1498~1499년 작. 대리석 높이 175cm. 로마 산피에트로대성당 입구에 있다. 피에타란 이탈리아어로 '자비를 베푸소서'라는 뜻으로 성모 마리아가 죽은 그리스도를 안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그림이나 조각상을 말한다. 이 피에타 상은 미켈란젤로가 로마에 머물던 시절인 25세 때 프랑스인 추기경의 주문으로 제작
(2) 다비드
미켈란젤로의 작품으로 피아차 델라 시뇨리아에 있으며, 안전상의 문제로 현재 복제품이 놓여져 있다.
(3) 도나텔로
이탈리아 피렌체 우피치미술관
(4) 벨베데레궁전 조각상
르네상스의 조각품으로 오스트리아 빈에 있다.
5. 르네상스 그림
[회화]
중세말기와 초기 르네상스의 그림의 변화 비교해보기
<십자가에 못박힌 예수>
베를링기에리, 준타 피사노, 치마부에, 지오토 (Z자 방향 순서)
베를링기에 <십자가에 못박힌 예수>(1220-1230) 당당한 예수님의 모습 신으로서의 모습
준타 피사노(1230-1250) 점차 사람의 형상의 띔(이후 성프란체스코의 활동)
치마부에(1280) 고통스런 표정과 사람의 형상
지오토(1290) 거의 완전한 사람의 형상
시대 순으로 점차 사실적인 성향이 띄기 시작한다.
<성모 마리아 시리즈>
마에스트로 디 트레사<눈이큰 성모>13C 예수의 도구로서의 마리아, 심판자로서의 예수
지오토<옥좌의 성모자>14C 어머니로서의 마리아 사실적 비례적용
지오반니 다 볼로냐<겸손한 마리아>14C후반 어머니의 미덕을 중요시함을 반영
니콜로 디 세냐<자비로운 마리아>14C 인간을 보호해주는 마리아의 모습
시대 순으로 점차 사실적인 성향이 띄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미켈란젤로는 ‘미완성’(non-finito)의 아름다움을 개척한 조각가로 평가받는데, 몇몇 작품이 비록 미완성인 채로 남겨져 있으나 마치 돌덩어리 속에서 생명체가 꿈틀거리고 있는 것과 같은 심리적 긴장은 후에 나타나는 매너리즘 조각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미켈란젤로 이후 전성기 르네상스의 호사스러운 민족취향을 반영한 것이 첼리니(Benvenuto Cellini:1500~71)가 프랑수아 1세를 위해 제작한 《황금의 소금상자》로 이 뛰어난 세공품이 르네상스 조각의 활력과 이상미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16세기 매너리즘으로 이행되는 과도기의 유럽인들이 지니고 있던 미적 취향을 반영한 것임에는 분명하다. 16세기의 매너리즘적 징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조각가가 볼로냐(Giovanni da Bologna:1529~1608)로서 그의 조각은 파르미자니노의 회화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기존의 규범에 대한 도전에서 획득된 놀라운 효과를 만들어내고 있어 주목된다.
아래는 르네상스의 대표적인 조각들의 사진입니다.
(1) 피에타
미켈란젤로 1498~1499년 작. 대리석 높이 175cm. 로마 산피에트로대성당 입구에 있다. 피에타란 이탈리아어로 '자비를 베푸소서'라는 뜻으로 성모 마리아가 죽은 그리스도를 안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그림이나 조각상을 말한다. 이 피에타 상은 미켈란젤로가 로마에 머물던 시절인 25세 때 프랑스인 추기경의 주문으로 제작
(2) 다비드
미켈란젤로의 작품으로 피아차 델라 시뇨리아에 있으며, 안전상의 문제로 현재 복제품이 놓여져 있다.
(3) 도나텔로
이탈리아 피렌체 우피치미술관
(4) 벨베데레궁전 조각상
르네상스의 조각품으로 오스트리아 빈에 있다.
5. 르네상스 그림
[회화]
중세말기와 초기 르네상스의 그림의 변화 비교해보기
<십자가에 못박힌 예수>
베를링기에리, 준타 피사노, 치마부에, 지오토 (Z자 방향 순서)
베를링기에 <십자가에 못박힌 예수>(1220-1230) 당당한 예수님의 모습 신으로서의 모습
준타 피사노(1230-1250) 점차 사람의 형상의 띔(이후 성프란체스코의 활동)
치마부에(1280) 고통스런 표정과 사람의 형상
지오토(1290) 거의 완전한 사람의 형상
시대 순으로 점차 사실적인 성향이 띄기 시작한다.
<성모 마리아 시리즈>
마에스트로 디 트레사<눈이큰 성모>13C 예수의 도구로서의 마리아, 심판자로서의 예수
지오토<옥좌의 성모자>14C 어머니로서의 마리아 사실적 비례적용
지오반니 다 볼로냐<겸손한 마리아>14C후반 어머니의 미덕을 중요시함을 반영
니콜로 디 세냐<자비로운 마리아>14C 인간을 보호해주는 마리아의 모습
시대 순으로 점차 사실적인 성향이 띄기 시작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