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상담의 원리와 기법
본문내용
주입시키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상담은 인지적, 행동적이며 사고, 판단, 분석, 행동, 재결정을 중시한다.
②주요개념
-신경증은 비합리적 사고와 행동의 결과이다.
-정서장애는 아동기에 뿌리를 두지만 현재의 계속적인 자기주입의 결과이다.
-개인의 신념체계는 정서장애의 원인이다. 따라서 내담자는 자신의 신념체계의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
-과학적인 방법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다.
③상담목표: 내담자의 삶에 대한 자기패배적 관점을 제거하고 보다 참을성있고 합리적인 관점을 얻도록 돕고 내담자가 과학적인 방법을 일상적인 정서적 문제나 행동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하도록 돕는다.
④상담과정
-상담자는 교사로, 내담자는 학생으로서 기능한다.
-인간관계는 필수적이지 않다.
-내담자는 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어서 그것을 자기패배적인 행동을 바꾸는 데 이용해야 한다.
⑤상담기법: RET상담자들은 다양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기법을 쓴다. 이러한 다양한 기법들은 내담자 개인에 맞도록 고안한다. 인지적 기법들로는 비합리적 신념의 논박, 인지적 과제의 이행, 언어와 사고의 유형을 변화시키기 등이 있다.
⑥적용과 공헌: 이 상담은 특히 내담자의 인지를 수정하는 데 유용하며, 성문제 상담, 교육, 집단상담, 주장훈련, 우울증, 아동상담 그리고 개인상담에 적합한 모든 문제들의 상담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주요 공헌점은 정서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과거사건을 강조하지 않으며 다른 접근법에 적용될 수 있다.
6. 상담을 마친 후 자기평가 질문
- 나는 전화상담을 정중하게 받았는가?
- 내담자는 내가 자신을 진실한 인간으로 대하고 있다고 느끼는가?
- 나는 내담자의 불안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다루었는가?
- 내담자는 상담과정에 대해서 안심하고 있는가?
- 내담자는 어떤 이야기라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다고 느끼고 있는가?
- 내담자가 말한 것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 내담자가 말한 것을 정확하게 알고 있음을 전달하였는가?
- 전화상담을 끝내고 난 후 상담자의 느낌이 어떤가?
[연습문제]
1. 40대부인이 전화를 하여 남편이 노래방에서 만난 도우미와 외도를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함...
- 신뢰감 형성을 위한 시작을 해볼까요?
- 목표세우기에서 부인과 남편 중 누구에게 초점을 맞추어 풀어갈까요?
- 경청하기, 공감하기, 반영하기 연습을 해봅시다.
참고문헌: 김충기강봉규 「현대상담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2001)
상담은 인지적, 행동적이며 사고, 판단, 분석, 행동, 재결정을 중시한다.
②주요개념
-신경증은 비합리적 사고와 행동의 결과이다.
-정서장애는 아동기에 뿌리를 두지만 현재의 계속적인 자기주입의 결과이다.
-개인의 신념체계는 정서장애의 원인이다. 따라서 내담자는 자신의 신념체계의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
-과학적인 방법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다.
③상담목표: 내담자의 삶에 대한 자기패배적 관점을 제거하고 보다 참을성있고 합리적인 관점을 얻도록 돕고 내담자가 과학적인 방법을 일상적인 정서적 문제나 행동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하도록 돕는다.
④상담과정
-상담자는 교사로, 내담자는 학생으로서 기능한다.
-인간관계는 필수적이지 않다.
-내담자는 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어서 그것을 자기패배적인 행동을 바꾸는 데 이용해야 한다.
⑤상담기법: RET상담자들은 다양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기법을 쓴다. 이러한 다양한 기법들은 내담자 개인에 맞도록 고안한다. 인지적 기법들로는 비합리적 신념의 논박, 인지적 과제의 이행, 언어와 사고의 유형을 변화시키기 등이 있다.
⑥적용과 공헌: 이 상담은 특히 내담자의 인지를 수정하는 데 유용하며, 성문제 상담, 교육, 집단상담, 주장훈련, 우울증, 아동상담 그리고 개인상담에 적합한 모든 문제들의 상담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주요 공헌점은 정서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과거사건을 강조하지 않으며 다른 접근법에 적용될 수 있다.
6. 상담을 마친 후 자기평가 질문
- 나는 전화상담을 정중하게 받았는가?
- 내담자는 내가 자신을 진실한 인간으로 대하고 있다고 느끼는가?
- 나는 내담자의 불안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다루었는가?
- 내담자는 상담과정에 대해서 안심하고 있는가?
- 내담자는 어떤 이야기라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다고 느끼고 있는가?
- 내담자가 말한 것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 내담자가 말한 것을 정확하게 알고 있음을 전달하였는가?
- 전화상담을 끝내고 난 후 상담자의 느낌이 어떤가?
[연습문제]
1. 40대부인이 전화를 하여 남편이 노래방에서 만난 도우미와 외도를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함...
- 신뢰감 형성을 위한 시작을 해볼까요?
- 목표세우기에서 부인과 남편 중 누구에게 초점을 맞추어 풀어갈까요?
- 경청하기, 공감하기, 반영하기 연습을 해봅시다.
참고문헌: 김충기강봉규 「현대상담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20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