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강화계획(FR : 반응 횟수에 기초한 간헐 강화)
반응자가 일정한 횟수의 행동을 보인 후에 강화하는 것
과수원에서 사과 한 바구니를 딸 때마다 10,000원씩 지급하는 것
강화를 받은 즉시 얼마동안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단점이 있다.
② 고정간격 강화계획(FI : 강화 시간에 기초한 간헐 강화)
정해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한 번씩 강화하는 것을 말한다.
「5분 고정 간격」의 경우 5분이 지난 후에 첫 번째 발생한 행동을 강화한다.
강화할 시간이 임박한 때에만 부지런히 반응하고 그 시간이 지나면 다음 주기의 시간이 올 때까지 반응을 중단하는 현상이 발생한다.(예: 중간, 기말고사 도서관 이용률)
③ 변동비율 강화계획(VR : 고정비율 강화계획의 보완책)
일정 수의 행동을 한 다음에 강화하지만 그 비율이 고정된 것이 아니고 그 때마다 변경하는 강화계획이다.
변동비율 강화계획은 강화 후 중단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가장 높은 반응률을 얻을 수 있는 강화계획이다.(예: 낚시꾼, 놀음)
④ 변동간격 강화계획(VI : 고정간격 강화계획의 보완책)
일정한 평균시간을 중심으로 그때마다 시간 간격을 변경하여 강화하는 것
학기 중에 수시 퀴즈를 실시하는 것
반응자가 일정한 횟수의 행동을 보인 후에 강화하는 것
과수원에서 사과 한 바구니를 딸 때마다 10,000원씩 지급하는 것
강화를 받은 즉시 얼마동안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단점이 있다.
② 고정간격 강화계획(FI : 강화 시간에 기초한 간헐 강화)
정해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한 번씩 강화하는 것을 말한다.
「5분 고정 간격」의 경우 5분이 지난 후에 첫 번째 발생한 행동을 강화한다.
강화할 시간이 임박한 때에만 부지런히 반응하고 그 시간이 지나면 다음 주기의 시간이 올 때까지 반응을 중단하는 현상이 발생한다.(예: 중간, 기말고사 도서관 이용률)
③ 변동비율 강화계획(VR : 고정비율 강화계획의 보완책)
일정 수의 행동을 한 다음에 강화하지만 그 비율이 고정된 것이 아니고 그 때마다 변경하는 강화계획이다.
변동비율 강화계획은 강화 후 중단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가장 높은 반응률을 얻을 수 있는 강화계획이다.(예: 낚시꾼, 놀음)
④ 변동간격 강화계획(VI : 고정간격 강화계획의 보완책)
일정한 평균시간을 중심으로 그때마다 시간 간격을 변경하여 강화하는 것
학기 중에 수시 퀴즈를 실시하는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