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구약 중간시대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대결
헬레니즘의 발생과 전파
(1) 그리스인과 로마인
(2) 70인역과 헬레니즘 문학
(3) 팔레스타인 지방의 그리스 문화
(4) 헬레니즘의 종교적영향
2. 헬레니즘 반대운동
(1) 예루살렘의 헬라주의자들
(2) 안티오쿠스의복수
(3) 마차비가와 마카비 저항운동
(4) 하스몬 왕조
(5) 헤롯과 로마인들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대결
헬레니즘의 발생과 전파
(1) 그리스인과 로마인
(2) 70인역과 헬레니즘 문학
(3) 팔레스타인 지방의 그리스 문화
(4) 헬레니즘의 종교적영향
2. 헬레니즘 반대운동
(1) 예루살렘의 헬라주의자들
(2) 안티오쿠스의복수
(3) 마차비가와 마카비 저항운동
(4) 하스몬 왕조
(5) 헤롯과 로마인들
본문내용
와이 돈 안티오쿠스4세 (187-175B.C) 때에 총리대신을 충동질하여 대제사장 오니아스 3세를 죄를 뒤집어 씌워 몰아내고 성전의 성금을 가로 채려고 하였다. 이 때문에 예루살렘에는 소동이 일어났으며 오니아스 3세는 셀류커스 궁정으로 달려가 이 소요를 평정해 줄 것을 왕에게 간청하였다. 친 이집트파인 합법적인대제사장 오니아스 3세가 그들에게는 장애물이었다. 그래서 그들은 오니아스3세가 잠깐 딴나라에 간 사이에 안티오쿠스 정부의 찬동을 얻고 왕에게 뇌물을 주어 그의 동생인 예수. 즉 여호수아이름을 그리스식으로 바꾼 것을 대제사장에 임명하였다. 정통유대인들 특히 핫 시딤(Hasidim) 이나 경건주의자들은 이러한 사실에 대하여 몹시 분노를 했으며 헤라주의의 영향이 커지는 것에 대하여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그 다음에도 마찬가지였다. 잇따라 일어나는 싸움들은 “유대인 대 시리아인”의 싸움이 아니라 “유대인 대유대인의 싸움이었다. 왜냐하면 예루사렘의 헬라주의자들에게 대항하여 대부분의 유대인들이 반대하여 일어섰고 모든 헬라화 정책에 항거하였기 때문이다.
(2) 안티오쿠스의복수
안티오쿠스는 예루살렘에 있는 헬라주의자들의 후원을 얻고 있기는 하였지만, 그의 헬라화 정책은 대부분의 유대민주의 강한 반발을 사게 되었다. 그는 유대교를 소탕하기로 작정하였다. 는 바빌론 포로 때부터 유대교 신아의 대표적인 요소로 간주되어온 유대교의 제도들을 파괴하기 시작하였다. 희생제사와 할례를 중지 시켰다. 그리고 안식일과 절기들을 지키지 못하게 했다. 이러한 명령에 불복 하는 자들은 사형에 처 하였다. 게다라 토라를
(2) 안티오쿠스의복수
안티오쿠스는 예루살렘에 있는 헬라주의자들의 후원을 얻고 있기는 하였지만, 그의 헬라화 정책은 대부분의 유대민주의 강한 반발을 사게 되었다. 그는 유대교를 소탕하기로 작정하였다. 는 바빌론 포로 때부터 유대교 신아의 대표적인 요소로 간주되어온 유대교의 제도들을 파괴하기 시작하였다. 희생제사와 할례를 중지 시켰다. 그리고 안식일과 절기들을 지키지 못하게 했다. 이러한 명령에 불복 하는 자들은 사형에 처 하였다. 게다라 토라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