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복의 최근 경향과 한복 입는 법
1. 한복의 최근 경향
2. 한복 입는 법
1) 겉옷
2) 속옷
3) 여자 한복 입는 순서
4) 남자 한복
5) 남자 한복 입는 순서
1. 한복의 최근 경향
2. 한복 입는 법
1) 겉옷
2) 속옷
3) 여자 한복 입는 순서
4) 남자 한복
5) 남자 한복 입는 순서
본문내용
에서는 언제나 동정니, 고름, 도련, 치마 길이 등을 눈여겨 살피고, 몸가짐을 단정히 해야만 멋이 더 살아 난다.
4) 남자 한복
겨울철에는 솜바지, 솜저고리와 같은 솜옷을 입었으나 요즘은 거의 겹옷을 입 으며, 가을에는 겹옷, 여름에는 홑옷을 입는다. 예복에는 대례복과 상복이 있고 평 상복으로는 외출복, 집에서 입는 가정복, 작업을 할 때 입는 작업복으로 구별된다.
평상복으로는 속옷으로 속고의, 적삼을 입고, 겉옷으로 바지, 저고리에 조끼와 마고자를 입으며, 여름에는 고의, 적삼, 홑조끼를 입는다. 작업복으로는 여름철에 입는 등거리, 잠방이가 있는데, 요즘은 농부들이 농사일을 할 때에 많이 입는다.
5) 남자 한복 입는 순서
① 내의나 속고의를 입는다.
② 바지를 입는데, 앞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 둘레를 조절 한다.
③ 저고리를 동정니가 잘 맞게 입는다.
④ 버선이나 양말을 신고 대님을 친다.
⑤ 조끼를 입는다. 이 때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⑥ 마고자를 입는다.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⑦ 두루마기를 입는다. 외출을 하거나 예를 갖추어야 할 때에는 두루마기를 입 어야 한다.
4) 남자 한복
겨울철에는 솜바지, 솜저고리와 같은 솜옷을 입었으나 요즘은 거의 겹옷을 입 으며, 가을에는 겹옷, 여름에는 홑옷을 입는다. 예복에는 대례복과 상복이 있고 평 상복으로는 외출복, 집에서 입는 가정복, 작업을 할 때 입는 작업복으로 구별된다.
평상복으로는 속옷으로 속고의, 적삼을 입고, 겉옷으로 바지, 저고리에 조끼와 마고자를 입으며, 여름에는 고의, 적삼, 홑조끼를 입는다. 작업복으로는 여름철에 입는 등거리, 잠방이가 있는데, 요즘은 농부들이 농사일을 할 때에 많이 입는다.
5) 남자 한복 입는 순서
① 내의나 속고의를 입는다.
② 바지를 입는데, 앞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 둘레를 조절 한다.
③ 저고리를 동정니가 잘 맞게 입는다.
④ 버선이나 양말을 신고 대님을 친다.
⑤ 조끼를 입는다. 이 때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⑥ 마고자를 입는다.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⑦ 두루마기를 입는다. 외출을 하거나 예를 갖추어야 할 때에는 두루마기를 입 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