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해 가능한 입력을 통해 언어능력을 쌓아감으로써 그 스스로 생겨난다. 둘째, 만일 입력이 이해되면 그리고 그 입력이 충분하면 필요한 문법은 자동적으로 제시되어진다. 언어교사는 자연적 순서에 따른 다음 단계의 문법구조를 의도적으로 가르치려고 할 필요가 없다. 만일 어린아이가 충분한 양의 이해 가능한 입력을 받는다면 그 구조는 바로 적당한 양으로 제공될 것이고 자동적으로 살펴질 것이다.
좀 더 정확히 하자면, 입력은 본질적인 상황적 요소이다. 어린아이는 단순히 듣는 것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내분의 언어장치(Chomsky의 언어습득장치, LAD)의 중대한 기여가 있는 것이다. 그 습득하는 어린아이가 듣는 모든 입력이 습득을 위해 다 처리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 습득 장치 자체가 내부적 순서에 따라 가능한 규칙을 생성해낸다. 게다가 모든 이해된 입력들이 다 언어 습득 장치에 이르게 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Chomsky에 의해 제안된 언어습득 모형은 어린이 정신에 보편적인 원칙과 매개 변항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어린이는 선천적으로 다양한 원칙들과 이 원칙들의 상호작용을 알고 있으므로, 매개 변항의 가치와 그 이의 요소들을 학습해야 하는데, 그 외의 요소란 환경을 나타내며, 언어 환경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언어습득에 있어서 인지 과정은 어린이가 성장하면서 감지적, 불변성, 확인화 과정, 동등화 반응 등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언어습득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 Chomsky의 GB이론을 토대로 습득연구의 기저를 이루는 UG이론이 급속도로 팽창했으며 UG 언어습득이론의 위상이 괄목할 만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Hornstein, N and Lightfoot. D(eds). 1981 Explanation in Linguistics. The responsibility of grammatical theory to acquisitional data. White. L. Longman,
Krashen. S. 1985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nd Implication. Longman, pages 2-3
Long. M. 'Native speaker/non-native speaker conversation in the second-language classroom' in M. Clarke and J. Handscombe(eds).: On TESOL '82. TESOL 1983, pages 211-12
Eliot, A. J. 1981. Child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msky, N. 1975. Knowledge of Language. London: Prism Press, pages 18-19
Bowerman, M. 1987. Discussion: Mechanism of languages acquisition. in B. MacWhinney(ed.), Mechanism of Language Acquisition. Hillsdale, NJ: Erlbaum
Paul, B(ed). 1993. Language Acquisition: Core Reading. New York: Harvester Wheatsheaf
Helen, G. 1991. Language Acquisition. Oxford: Blackwell
김인덕. The cognitive Capacity and Child Language Acquisition. 응용언어학 제5호, 1992년 2월호
정동빈. 1996 언어습득이론: 영어학연구. 한신문화사, pages 17-61
좀 더 정확히 하자면, 입력은 본질적인 상황적 요소이다. 어린아이는 단순히 듣는 것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내분의 언어장치(Chomsky의 언어습득장치, LAD)의 중대한 기여가 있는 것이다. 그 습득하는 어린아이가 듣는 모든 입력이 습득을 위해 다 처리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 습득 장치 자체가 내부적 순서에 따라 가능한 규칙을 생성해낸다. 게다가 모든 이해된 입력들이 다 언어 습득 장치에 이르게 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Chomsky에 의해 제안된 언어습득 모형은 어린이 정신에 보편적인 원칙과 매개 변항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어린이는 선천적으로 다양한 원칙들과 이 원칙들의 상호작용을 알고 있으므로, 매개 변항의 가치와 그 이의 요소들을 학습해야 하는데, 그 외의 요소란 환경을 나타내며, 언어 환경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언어습득에 있어서 인지 과정은 어린이가 성장하면서 감지적, 불변성, 확인화 과정, 동등화 반응 등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언어습득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 Chomsky의 GB이론을 토대로 습득연구의 기저를 이루는 UG이론이 급속도로 팽창했으며 UG 언어습득이론의 위상이 괄목할 만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Hornstein, N and Lightfoot. D(eds). 1981 Explanation in Linguistics. The responsibility of grammatical theory to acquisitional data. White. L. Longman,
Krashen. S. 1985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nd Implication. Longman, pages 2-3
Long. M. 'Native speaker/non-native speaker conversation in the second-language classroom' in M. Clarke and J. Handscombe(eds).: On TESOL '82. TESOL 1983, pages 211-12
Eliot, A. J. 1981. Child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omsky, N. 1975. Knowledge of Language. London: Prism Press, pages 18-19
Bowerman, M. 1987. Discussion: Mechanism of languages acquisition. in B. MacWhinney(ed.), Mechanism of Language Acquisition. Hillsdale, NJ: Erlbaum
Paul, B(ed). 1993. Language Acquisition: Core Reading. New York: Harvester Wheatsheaf
Helen, G. 1991. Language Acquisition. Oxford: Blackwell
김인덕. The cognitive Capacity and Child Language Acquisition. 응용언어학 제5호, 1992년 2월호
정동빈. 1996 언어습득이론: 영어학연구. 한신문화사, pages 17-61
추천자료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 - 입력가설모형과 제2언어습득모형
Krashen의 감시자 모형에서 제시하는 5가지 가설
Krashen의 감시자모형에서 제시하는 5가지 가설
PLLT(영어교과교육론) KRASHEN 입력가설의 5가지 모형에 관한 레포트
자연교수법
외국어습득이론(크라센)의 적용, 외국어습득이론(크라센)의 자연순서가설, 외국어습득이론(크...
크라센 외국어습득이론의 원칙과 언어습득학습가설, 크라센 외국어습득이론의 감성여과장치가...
[Krashen][크라센][감시자모형][가설]Krashen(크라센) 감시자모형에서 제시하는 5가지 가설(K...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