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 셈, 함, 야벳 이후의 언어 변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우리 중 대부분은 살기는 고사하고 여행을 위해서도 이와 같이 살기 어려운 기후 지대를 택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상한 사실은 사람들이 위 지역 모두에 살고 있고 그 곳에서 살기를 택하였다는 점이다. 왜 그런가? 인간은 왜 메소포타미아의 비옥한 평지를 떠나서 거의 지구의 모든 끝으로 흩어지게 되었는가? 인류학자들은 여러 추측을 했다.
첫째, 어떤 사람들(예, 에스키모인들)은 보다 나은 수렵지를 찾기 위해 북쪽으로 갔다.
둘째, 어떤 사람들은 이웃과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이주했다.
셋째, 이라크에 갑작스런 기근이 있었을 것이다.
넷째, 인구밀도가 너무 높았다 등...
그러나 이제까지의 가장 합리적인 설명은 언어의 혼란이다. 노아의 후손들은 ‘땅에 충만하라’(창9:1)는 하나님의 명령 순종하기를 거부해 버렸기 때문에 이런 갑작스런 사건에 의해 그들은 흩어져야만 했다. 마치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타의에 의해서 전 세계로 흩어지는 디아스포라(diaspora)의 현상이 일어난 것과 같이...
<2> 쓰는 기술이 바벨탑에서 상실되어 버릴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명석한 부족들은 그들의 새 언어에 적절한 문자를 만들어 냈으며, 수학, 천문학, 공학 등에 굉장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다른 부족들은 정글에 방치된 채 아마도 문자를 기록하는 법을 한 번도 배우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까지도 그들의 고대 구음을 보유했었으며, 오늘날까지도 보유하고 있다.
<3> 따라서 지구 위에 있는 3000 여종이나 되는 언어들의 다양성은 인간의 현명함의 소산이 아니라 인간 범죄의 결과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5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