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월별 수리대수 분포
4. 맺음말
농기계 수리기사의 감소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절대부족 현상을 초래하기 전에 수리기사의 안정적 확보를 위하여 농기계 관련 정책부서 및 교육기관, 생산회사가 역할분담을 통한 대책마련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산업기능요원을 포함한 우수한 농기계 수리업무 희망자를 선발한 다음, 수리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6개월)과 의무근무 기간을 두어 수리 업무에 종사하게 하며, 산업기능요원 외의 수리기사에 대해서는 의무 근무기간 동안에는 보수의 일정액을 지원하여 신규 수리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한 가지 예로, 여성가족부의 영?유아 보육교사 지원(영아 80%/인, 유아 30%/인), 영아반 운영비(0세 15만원/인×3인, 1세 9만원/인×5인, 2세 6만원/인×7인)지원 정책은 목적은 다소 상이하지만 농기계 수리요원 양성을 위해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계절이용 기종인 이앙기, 콤바인 등은 작업이 끝난 후 장기 보관한 다음 영농철이 시작되기 전에 수리함으로써 수리물량이 일시에 집중되어 대리점의 수리부하 및 수리기사의 계절별 업무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농기계를 사용한 후 장기간 방치할 경우 베어링, 체인 등이 녹슬어 수리비도 많이 들고, 수명도 단축되기 때문에 농기계의 이용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수리기사 확보도 중요하지만 농기계의 철저한 점검정비와 수리물량 분산에 의한 농기계 수리인력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교육?홍보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제공 신승엽 / 농업공학부 농업재해예방과
4. 맺음말
농기계 수리기사의 감소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절대부족 현상을 초래하기 전에 수리기사의 안정적 확보를 위하여 농기계 관련 정책부서 및 교육기관, 생산회사가 역할분담을 통한 대책마련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산업기능요원을 포함한 우수한 농기계 수리업무 희망자를 선발한 다음, 수리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6개월)과 의무근무 기간을 두어 수리 업무에 종사하게 하며, 산업기능요원 외의 수리기사에 대해서는 의무 근무기간 동안에는 보수의 일정액을 지원하여 신규 수리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한 가지 예로, 여성가족부의 영?유아 보육교사 지원(영아 80%/인, 유아 30%/인), 영아반 운영비(0세 15만원/인×3인, 1세 9만원/인×5인, 2세 6만원/인×7인)지원 정책은 목적은 다소 상이하지만 농기계 수리요원 양성을 위해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계절이용 기종인 이앙기, 콤바인 등은 작업이 끝난 후 장기 보관한 다음 영농철이 시작되기 전에 수리함으로써 수리물량이 일시에 집중되어 대리점의 수리부하 및 수리기사의 계절별 업무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농기계를 사용한 후 장기간 방치할 경우 베어링, 체인 등이 녹슬어 수리비도 많이 들고, 수명도 단축되기 때문에 농기계의 이용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수리기사 확보도 중요하지만 농기계의 철저한 점검정비와 수리물량 분산에 의한 농기계 수리인력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교육?홍보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제공 신승엽 / 농업공학부 농업재해예방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