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는 지역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그 기반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ㅇ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과 절차가 무리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의 임무를 위해 대통령 비서실 내에 청소년 관련 태스크 포스팀의 구성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이와 같은 새 정부에 요구되는 청소년정책의 전반적인 개혁은 출범 후 1년 동안의 의지와 노력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ㅇ 특히 새 정부 출범 후 처음 맞는 5월 청소년의 달까지의 3개월이 청소년 분야의 개혁을 위해 우선 중요한 시기이다.
□ 청소년이 참여하고 주도하는 그리고 기성세대가 함께 하는 젊은 한국(청소년의 꿈과 도전, 기회가 있는 사회)의 건설이 새 정부의 출범과 동시에 찬란하게 꽃 피울 수 있기를 간절한 마음으로 기원해 본다.
참 고 문 헌
고인수(2001), “Digital 시대, 기업의 인재양성전략과 과제”, 産政硏究, 제99호/100호(합병호), 한국산업정책연구소.
국무총리 청소년보호위원회(2002), 청소년보호백서, 서울: 청소년보호위원회.
권이종(1998), 내일에 사는 아이 어제에 사는 어른, 서울: 교육과학사.
이광호(2000), “국가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청소년육성의 새로운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1권 제2호, 한국청소년개발원.
이광호(2001a), “청소년 아르바이트(일)의 사회적 의미 이해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생활양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3권, 제2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이광호(2001b), “학교 주5일제의 청소년육성론적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2권, 제2호, 한국청소년개발원.
이철위 번역(1998), 아태 지역 청소년정책 비교연구(Ⅰ),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이철위 편역(1998), 아태 지역 청소년정책 비교연구(Ⅱ),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조영승(2002), “청소년육성정책의 탄생배경과 의의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논문집, 제46집.
최충옥(2000). 다원 시민사회에서의 청소년육성 방안. 문화관광정책연구협의회 주최. 21세기 문화국가 실현을 위한 대토론회 발표논문.
Angel, W. D.(2002), "국가 청소년정책의 원리", 글로벌시대: 청소년의 생활실태와 미래 전망, 한국청소년개발원 개원 13주년기념국제학술대회 발표 자료, 2002. 6. 19.
ICNYP(2002), Training Manual on the Fundamentals of a National Youth Policy, International Council on the National Youth Policy.
Kauffman, E. M. et. al.(1992), Fully Prepared Youth, http://www.emkt.org.
Landsman, M. J.(2002), "청소년의 위기 감소에서 잠재력 개발로", 글로벌시대: 청소년의 생활실태와 미래 전망, 한국청소년개발원 개원 13주년기념국제학술대회 발표 자료, 2002. 6. 19.
Ministry of Youth Affairs(2002), Youth Development Strategy Aotearoa : Action for Child and Youth Development, January 2002, http://www.youthaffairs.govt.nz.
Nagorski. M. T.(1999). Youth as Resources. New Designs for Youth Development. Vol.15-3. summer.
National Youth Commission(1995), Youth in Nation Building Act of 1995 : Republic Act No.8044, Manila: The National Youth Commission.
NYDIC(1999), Youth Development Project: Program and Coalitions, http://www.nydic.org/ projects.htm.
Pittman, K. J., Cahill, M. and Zeldin, S.(1994), Youth Employment Preparation Through the Youth Development Lens: Broad Recommendation for Sustaining Change, Washington D. C.: Academy for Educational Development.
Pittman. K. J.(2000). Balancing the Equation: Communities Supporting Youth. Youth Supporting Communities. CYD Journal. Vol.1. No.1. Winter 2000.
Search Institute(1999). Developmental Assets: An Overview. http://www.searchinstitute.org/
assets(검색일: 2000. 8. 30).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1996), Reconnecting Youth &Community : A Youth Development Approach,. Washington D. C.: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UN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1999), Youth Policy Formulation Manual, New York: United Nations.
UN Economic and Social Council(2002), World Youth Report 2003 :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Commission for Social Development, 12 December 2002.
野田耕一(2002), 敎育構造改革, 東京: 勉誠出版.
靑少年育成國民會議(2002), 社團法人 靑少年育成國民會議 のびのび ユスネツと,.
ㅇ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과 절차가 무리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의 임무를 위해 대통령 비서실 내에 청소년 관련 태스크 포스팀의 구성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이와 같은 새 정부에 요구되는 청소년정책의 전반적인 개혁은 출범 후 1년 동안의 의지와 노력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ㅇ 특히 새 정부 출범 후 처음 맞는 5월 청소년의 달까지의 3개월이 청소년 분야의 개혁을 위해 우선 중요한 시기이다.
□ 청소년이 참여하고 주도하는 그리고 기성세대가 함께 하는 젊은 한국(청소년의 꿈과 도전, 기회가 있는 사회)의 건설이 새 정부의 출범과 동시에 찬란하게 꽃 피울 수 있기를 간절한 마음으로 기원해 본다.
참 고 문 헌
고인수(2001), “Digital 시대, 기업의 인재양성전략과 과제”, 産政硏究, 제99호/100호(합병호), 한국산업정책연구소.
국무총리 청소년보호위원회(2002), 청소년보호백서, 서울: 청소년보호위원회.
권이종(1998), 내일에 사는 아이 어제에 사는 어른, 서울: 교육과학사.
이광호(2000), “국가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청소년육성의 새로운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1권 제2호, 한국청소년개발원.
이광호(2001a), “청소년 아르바이트(일)의 사회적 의미 이해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생활양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3권, 제2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이광호(2001b), “학교 주5일제의 청소년육성론적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2권, 제2호, 한국청소년개발원.
이철위 번역(1998), 아태 지역 청소년정책 비교연구(Ⅰ),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이철위 편역(1998), 아태 지역 청소년정책 비교연구(Ⅱ),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조영승(2002), “청소년육성정책의 탄생배경과 의의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논문집, 제46집.
최충옥(2000). 다원 시민사회에서의 청소년육성 방안. 문화관광정책연구협의회 주최. 21세기 문화국가 실현을 위한 대토론회 발표논문.
Angel, W. D.(2002), "국가 청소년정책의 원리", 글로벌시대: 청소년의 생활실태와 미래 전망, 한국청소년개발원 개원 13주년기념국제학술대회 발표 자료, 2002. 6. 19.
ICNYP(2002), Training Manual on the Fundamentals of a National Youth Policy, International Council on the National Youth Policy.
Kauffman, E. M. et. al.(1992), Fully Prepared Youth, http://www.emkt.org.
Landsman, M. J.(2002), "청소년의 위기 감소에서 잠재력 개발로", 글로벌시대: 청소년의 생활실태와 미래 전망, 한국청소년개발원 개원 13주년기념국제학술대회 발표 자료, 2002. 6. 19.
Ministry of Youth Affairs(2002), Youth Development Strategy Aotearoa : Action for Child and Youth Development, January 2002, http://www.youthaffairs.govt.nz.
Nagorski. M. T.(1999). Youth as Resources. New Designs for Youth Development. Vol.15-3. summer.
National Youth Commission(1995), Youth in Nation Building Act of 1995 : Republic Act No.8044, Manila: The National Youth Commission.
NYDIC(1999), Youth Development Project: Program and Coalitions, http://www.nydic.org/ projects.htm.
Pittman, K. J., Cahill, M. and Zeldin, S.(1994), Youth Employment Preparation Through the Youth Development Lens: Broad Recommendation for Sustaining Change, Washington D. C.: Academy for Educational Development.
Pittman. K. J.(2000). Balancing the Equation: Communities Supporting Youth. Youth Supporting Communities. CYD Journal. Vol.1. No.1. Winter 2000.
Search Institute(1999). Developmental Assets: An Overview. http://www.searchinstitute.org/
assets(검색일: 2000. 8. 30).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1996), Reconnecting Youth &Community : A Youth Development Approach,. Washington D. C.: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UN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1999), Youth Policy Formulation Manual, New York: United Nations.
UN Economic and Social Council(2002), World Youth Report 2003 :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Commission for Social Development, 12 December 2002.
野田耕一(2002), 敎育構造改革, 東京: 勉誠出版.
靑少年育成國民會議(2002), 社團法人 靑少年育成國民會議 のびのび ユスネツと,.
추천자료
군복무 청소년의 복지 신장을 위한 폭력 근절 방안
[사회복지학]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학교밖 청소년의 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 및 향후대책
청소년 문제 개념, 특성, 배경 및 개선 방안
정신장애 청소년의 학교사회사업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 집단과정 문제점 및 개선방안
가정폭력 [청소년 학대의 실태와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학습동기를 분석한 후 학습지도자로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지속할 수 있는 방안 제시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의 정의, 원인, 유형을 정리하고, 집단따돌림의 해결방안과 자신의 의...
소셜네트워크와 소셜미디어의 활용이 청소년 복지의 미치는 영향과 활동방안에 대해 기술하시오.
날로 늘어나는 청소년 비행을 대상으로 재범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쓰시오.
청소년 여가활동의 실태를 파악한 후, 여가활동 활성화방안을 세 가지 제시하시오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에 대해 기술하고, 현 시스템의 단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개인...
우리지역의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안전망 사업의 현황을 점검해보고 장점과 개선방안을 제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