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봉합에 흔히 쓰이나 가끔 염증 반응과 함께 피부 표면으로 밀고 나오는 수가 있으며 흉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반흔 성형 수술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polyglycolic acid
가수 분해에 의해서 90-120일에 흡수되며비교적 조직반응이 적다. 긴장강도의 반감기가 2주밖에 되지 않으므로 반흔 성형수술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polydioxanone
가수 분해에 의해 120-180일에 흡수되며 조직 반응이 매우 적으며 6주까지 상당한 정도의 파열 강도를 유지한다. 반흔 성형술 시에 진피층의 봉합사로 사용하면 세균에 대한 친화성이 낮고, 서서히 흡수되며, 오랜동안 긴장 강도를 유지하여 흉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나 간혹 표면으로 밀고 올라오는 단점이 있다.
-polyglyconate
180일 이후에 흡수되며 PDS와 같은 장점들이 있으나 긴장 강도가 3주밖에 유지되지 않는 것이 흠이다.
2)봉합방법
피부의 봉합 전에 절단면 하부를 약간 박리하여 봉합침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봉합 후 피부 단면이 외반 되도록 한다.
봉합중 매듭을 지을 때에는 절단면이 서로 살짝 맞다을정도만 당겨 주어야 한다.봉합 부위는 술 후 부종르로 인하여 장력이 증가 되므로 조직이 짓눌리고 허혈상태에 빠져서 괴사될 수 있으므로 피하 봉합에서도 조직이 눌리지 않도록 느슨하게 매듭지어야 한다.
a. 단순 단속 봉합법
모든 외과 의사들이 가장흔히 사용하는 봉합 방법이다.
절단면으로부터 피부의 두께만큼 떨어진 곳에 봉합침을 삽입하고 피하층을 향해 들어가면서 표층보다 심층을 더 넣ㅂ게 포함하여 봉합이 끝나면 절단면이 외반되도록 한다. 봉합사의 매듭은 절단면에서 이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풀리지 않도록 세 번 정도 매듭을 지은후 다음 봉합에 걸리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잘라준다.
일반적으로 봉합 수가 많을수록, 간격이 작을수록 창상의 단면을 정확히 접합할 수 있으나 RSTL에 맞는 창상은 RSTL에 가로지르는 창상에 비해 봉합 수를 적게 하더라도 정확한 접합이 가능하다. 봉합을 단단히 하기 위하여 굵은 실을 쓰기 보다는 봉합의 수를 늘리는 것이 좋으며 봉합 수가 많을 수록 절단면에 걸리는 긴장을 나누어 가지게 되어 실이 피부를 파고들어 실밥 자국을 남기는 일이 생기지 않게 된다.
심층복합은 이물 반응의 원인이 되므로 긴장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하고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다.
단속 봉합의 장점은 연속 봉합에 비해 창상의 각 분절마다 봉합의 긴장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b.매트리스 봉합
비교적 자주 쓰이는 봉합법 중 하나로써 수평매트리스 봉합와 수직 매트리스 봉합이 있으며 절단면을 외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마나 등 같이 딱딱하고 두꺼운 피부에서는 단면이 바늘에 의해 잘려 나거나 외반이 어려우므로 잘 쓰이지 않는다.
수직 매트리스 봉합은 피하 박리를 넓게하고 심층 봉합을 않을 경우 심층의 접촉을 충분히 하기위해 사용된다.
이 방법은 심층의 접합이 주목적이므로 봉합사의 결찰시 표층을 완전히 근접시키기 위해 너무 단
-polyglycolic acid
가수 분해에 의해서 90-120일에 흡수되며비교적 조직반응이 적다. 긴장강도의 반감기가 2주밖에 되지 않으므로 반흔 성형수술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polydioxanone
가수 분해에 의해 120-180일에 흡수되며 조직 반응이 매우 적으며 6주까지 상당한 정도의 파열 강도를 유지한다. 반흔 성형술 시에 진피층의 봉합사로 사용하면 세균에 대한 친화성이 낮고, 서서히 흡수되며, 오랜동안 긴장 강도를 유지하여 흉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나 간혹 표면으로 밀고 올라오는 단점이 있다.
-polyglyconate
180일 이후에 흡수되며 PDS와 같은 장점들이 있으나 긴장 강도가 3주밖에 유지되지 않는 것이 흠이다.
2)봉합방법
피부의 봉합 전에 절단면 하부를 약간 박리하여 봉합침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봉합 후 피부 단면이 외반 되도록 한다.
봉합중 매듭을 지을 때에는 절단면이 서로 살짝 맞다을정도만 당겨 주어야 한다.봉합 부위는 술 후 부종르로 인하여 장력이 증가 되므로 조직이 짓눌리고 허혈상태에 빠져서 괴사될 수 있으므로 피하 봉합에서도 조직이 눌리지 않도록 느슨하게 매듭지어야 한다.
a. 단순 단속 봉합법
모든 외과 의사들이 가장흔히 사용하는 봉합 방법이다.
절단면으로부터 피부의 두께만큼 떨어진 곳에 봉합침을 삽입하고 피하층을 향해 들어가면서 표층보다 심층을 더 넣ㅂ게 포함하여 봉합이 끝나면 절단면이 외반되도록 한다. 봉합사의 매듭은 절단면에서 이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풀리지 않도록 세 번 정도 매듭을 지은후 다음 봉합에 걸리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잘라준다.
일반적으로 봉합 수가 많을수록, 간격이 작을수록 창상의 단면을 정확히 접합할 수 있으나 RSTL에 맞는 창상은 RSTL에 가로지르는 창상에 비해 봉합 수를 적게 하더라도 정확한 접합이 가능하다. 봉합을 단단히 하기 위하여 굵은 실을 쓰기 보다는 봉합의 수를 늘리는 것이 좋으며 봉합 수가 많을 수록 절단면에 걸리는 긴장을 나누어 가지게 되어 실이 피부를 파고들어 실밥 자국을 남기는 일이 생기지 않게 된다.
심층복합은 이물 반응의 원인이 되므로 긴장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하고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다.
단속 봉합의 장점은 연속 봉합에 비해 창상의 각 분절마다 봉합의 긴장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b.매트리스 봉합
비교적 자주 쓰이는 봉합법 중 하나로써 수평매트리스 봉합와 수직 매트리스 봉합이 있으며 절단면을 외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마나 등 같이 딱딱하고 두꺼운 피부에서는 단면이 바늘에 의해 잘려 나거나 외반이 어려우므로 잘 쓰이지 않는다.
수직 매트리스 봉합은 피하 박리를 넓게하고 심층 봉합을 않을 경우 심층의 접촉을 충분히 하기위해 사용된다.
이 방법은 심층의 접합이 주목적이므로 봉합사의 결찰시 표층을 완전히 근접시키기 위해 너무 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