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작한 이래, 어떤 형태의 수직운송에 대해 고려를 해왔다. 최초의 형태로는, 사다리, 계단, 동물의 힘을 이용한 도르래, 그리고 수동으로 돌리는 권양기가 있었다.
고대 로마 유물은 일종의 견인식 플랫폼타입의 도르래가 설치되었던 승강로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 가이드 또는 수직 레일은 모든 현대식 엘리베이터의 특성이다. 티베트에서는 도르래와 로프로 구성된 권양기를 인력으로 구동하여 산위까지 바구니로 사람을 운송하였다.
19세기의 초반에는 증기로 구동하는 도르래가 주로 자재의 수직 운송을 위해 쓰였지만, 가끔은 사람을 위해서도 사용되었다. 종종 재난이 있었는데 로프가 섬유질이었고 그것이 끊겼을 경우 운송 장치를 멈출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현대적 의미로 볼 때, 엘리베이터는 사람 또는 수직으로 올리기 위해 고안된 한 운송장치로서 정의된다. 그 운송장치에는 올리는 수단이나 연결장치가 고장날 경우, 추락을 막는 장치가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한 안전 장치를 지닌 엘리베이터는 엘리사 그레이브스 오티스가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를 발명했던 1853년까지는 없었다. 이 장치는 도르래 로프가 끊겼을 경우, 들어올리는 플랫폼이 자유낙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안되었다. 당시에는 가이드된 감아올리는 플랫폼이 흔했다. 그런 가운데 오티스는 감아올리는 로프(권상로프)의 장력이 풀렸을 때, 스프링이 장착된 돌리개(DOGS)가 가이드레일의 치차(COG)장치에 물리도록 작동되는 안전장치를 한 플랫폼에 설치하였다.
■ 승강기 종류
구분
용도
승강기종류
분류기준
엘리베이터
승객용
승객용엘리베이터
시람의 운송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침대용 엘리베이터
병원의 병상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로, 평상시에는 승객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승객·화물용엘리베이터
승객 및 화물 겸용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로, 필요에 따라 승객 또는 화물 위주로 사용이 가능하다.
비상용 엘리베이터
화재시 소화 및 구조활동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장애인용엘리베이터
장애인(휠체어 사용자 포함)이 이용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전망용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안에서 외부를 전망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화물용
화물용 엘리베이터
화물운반 전용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조작자 또는 화물취급자 1인은 탑승할 수 있음) 다만, 적재용량이 1톤 미만으로서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것은 제외한다.
자동차용엘리베이터
주차장의 자동차 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덤웨이터
사람이 탑승하지 않으면서 적재용량 1톤 미만의 소형화물(서적,음식물등) 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에스컬레이터
승객및화물용
에스컬레이터
계단형의 디딤판을 동력으로 오르내리게 한 것이다.
수평보행기
평면의 디딤판을 동력으로 이동시키게 한 것으로, 경사도가 15도 이하이어야 한다.
참고문헌
- www.승강기.kr/
- 최신 건축설비 l 최영식 | 도서출판건기원
- 건축법규 (2008) l 현정기 | 한솔아카데미
- 최신 철골구조실무 l 심종석 | 일광
고대 로마 유물은 일종의 견인식 플랫폼타입의 도르래가 설치되었던 승강로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 가이드 또는 수직 레일은 모든 현대식 엘리베이터의 특성이다. 티베트에서는 도르래와 로프로 구성된 권양기를 인력으로 구동하여 산위까지 바구니로 사람을 운송하였다.
19세기의 초반에는 증기로 구동하는 도르래가 주로 자재의 수직 운송을 위해 쓰였지만, 가끔은 사람을 위해서도 사용되었다. 종종 재난이 있었는데 로프가 섬유질이었고 그것이 끊겼을 경우 운송 장치를 멈출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현대적 의미로 볼 때, 엘리베이터는 사람 또는 수직으로 올리기 위해 고안된 한 운송장치로서 정의된다. 그 운송장치에는 올리는 수단이나 연결장치가 고장날 경우, 추락을 막는 장치가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한 안전 장치를 지닌 엘리베이터는 엘리사 그레이브스 오티스가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를 발명했던 1853년까지는 없었다. 이 장치는 도르래 로프가 끊겼을 경우, 들어올리는 플랫폼이 자유낙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고안되었다. 당시에는 가이드된 감아올리는 플랫폼이 흔했다. 그런 가운데 오티스는 감아올리는 로프(권상로프)의 장력이 풀렸을 때, 스프링이 장착된 돌리개(DOGS)가 가이드레일의 치차(COG)장치에 물리도록 작동되는 안전장치를 한 플랫폼에 설치하였다.
■ 승강기 종류
구분
용도
승강기종류
분류기준
엘리베이터
승객용
승객용엘리베이터
시람의 운송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침대용 엘리베이터
병원의 병상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로, 평상시에는 승객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승객·화물용엘리베이터
승객 및 화물 겸용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로, 필요에 따라 승객 또는 화물 위주로 사용이 가능하다.
비상용 엘리베이터
화재시 소화 및 구조활동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장애인용엘리베이터
장애인(휠체어 사용자 포함)이 이용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전망용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안에서 외부를 전망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화물용
화물용 엘리베이터
화물운반 전용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조작자 또는 화물취급자 1인은 탑승할 수 있음) 다만, 적재용량이 1톤 미만으로서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것은 제외한다.
자동차용엘리베이터
주차장의 자동차 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덤웨이터
사람이 탑승하지 않으면서 적재용량 1톤 미만의 소형화물(서적,음식물등) 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엘리베이터이다.
에스컬레이터
승객및화물용
에스컬레이터
계단형의 디딤판을 동력으로 오르내리게 한 것이다.
수평보행기
평면의 디딤판을 동력으로 이동시키게 한 것으로, 경사도가 15도 이하이어야 한다.
참고문헌
- www.승강기.kr/
- 최신 건축설비 l 최영식 | 도서출판건기원
- 건축법규 (2008) l 현정기 | 한솔아카데미
- 최신 철골구조실무 l 심종석 | 일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