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사회복지서비스, 기초연금외의 개인연금 등)
그러나 국민의 삶의 질과 연관하여 생각할 때 이러한 서비스의 경계는 모호.
2. 사회복지정책의 객체
전통적: 사회적으로 불행한 자나 낙오자
현대사회: 사회적 욕구와 사회문제.
1) 사회적 욕구와 사회문제
(1) 사회적 욕구
Maslow : 생리, 안전, 사랑, 존경, 자아실현의 욕구.
욕구가 만족되지 못하면 역기능이 발생.
개인적 욕구 / 사회적 욕구.
사회적 욕구 - 요구자의 집단적 행동이 사회적으로 나타나게 될 때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2) 사회문제
역사적으로 사회복지정책의 출현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필요성에 의해 발달.
예: 독일 / 영국
사회복지정책이 발전하는 첫번째 과정은 문제의 인식으로부터 시작.
2) 사회문제의 성격
(1) 사회문제의 원인이 사회적.
사회구조나 제도의 결함으로부터 발생한 사회적 현상.
예: 경제불황에 따른 가난, 자살 또는 알콜중독.
사회적 결함에 의해 발생한 문제를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사회적 규정을 내려야 한다.
(2) 사회의 규범이나 가치에 위배:
사회의 대다수가 가지는 공통된 가치의 합의를 바탕으로 하는 규범에 위배.
예: 마약, 매춘 등의 문제
(3) 영향력이 사회성원 다수에 영향을 끼친다.
밀 즈 - 개인적 곤란이란 개인의 성격 때문에 야기되거나 그를 둘러싼 가까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사적인 문제를 말하고 그것이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사회가 그 문제를 많은 사람들 또는 전체 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할 때 사회문제.
마리스(R. W. Maris. 1988) - 다수의 사회성원, 영향력 있는 집단, 또는 카리스마를 지닌 개인들이 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는 것을 사회문제.
(4) 다수의 사람들이 그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며 사회적 차원의 조처(국가개입, 사회운동)으로 연결.
바커(R. L. Barker, 1995) - 사회문제는 사람들의 가치와 규범을 침해하고 정서적 또는 경제적 고통을 야기하여 사회성원의 사회적 대응을 이끄는 상태.
예: 노령문제에 대한 대비책요구 (사회보험, 기초연금)
(4-3) 3) 현대사회의 주요 사회문제
(1) 사회적 위험: 소득 (소득결핍, 불균등한 배분), 질병 (육체적 질병, 정신질환),
노동 (노동환경, 고용, 실업)
(2) 사회적 약자: 노인, 아동, 청소년, 가족, 여성(성차별, 성폭력), 장애인 등
(3) 기타 사회환경 및 사회보장: 주거, 교육, 범죄, 인구, 환경, 약물남용, 폭력 및 학대, 문화적 삶의 질 문제 등 다양
4)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정책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회가 발전시킨 사회복지제도 및 프로그램은 사회복지정책의 산물.
사회문제의 해결은 거시적으로 사회복지정책 / 미시적으로는 사회복지실천영역에서 다룸.
유기적인 관계- 사회복지정책을 기초로 하여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진다.
사회복지정책이 사회문제를 해결할 때 두가지 차원이 고려.
a. 한정된 자원
b. 한정된 자원을 사회문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투입하고 분배하는 문제
5)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정책의 의미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정책에서 이론적으로 다루고 있는 다양한 접근방법과 특성들을 이해
복지정책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클라이언트를 더욱 광범위하게 도울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실천은 사회복지정책의 틀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 홈페이지 : http://www.kuic.co.kr
■ 다음카페 : http://cafe.daum.net/bankkei
■ 싸이월드 : http://club.cyworld.com/jonjori
그러나 국민의 삶의 질과 연관하여 생각할 때 이러한 서비스의 경계는 모호.
2. 사회복지정책의 객체
전통적: 사회적으로 불행한 자나 낙오자
현대사회: 사회적 욕구와 사회문제.
1) 사회적 욕구와 사회문제
(1) 사회적 욕구
Maslow : 생리, 안전, 사랑, 존경, 자아실현의 욕구.
욕구가 만족되지 못하면 역기능이 발생.
개인적 욕구 / 사회적 욕구.
사회적 욕구 - 요구자의 집단적 행동이 사회적으로 나타나게 될 때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2) 사회문제
역사적으로 사회복지정책의 출현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필요성에 의해 발달.
예: 독일 / 영국
사회복지정책이 발전하는 첫번째 과정은 문제의 인식으로부터 시작.
2) 사회문제의 성격
(1) 사회문제의 원인이 사회적.
사회구조나 제도의 결함으로부터 발생한 사회적 현상.
예: 경제불황에 따른 가난, 자살 또는 알콜중독.
사회적 결함에 의해 발생한 문제를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사회적 규정을 내려야 한다.
(2) 사회의 규범이나 가치에 위배:
사회의 대다수가 가지는 공통된 가치의 합의를 바탕으로 하는 규범에 위배.
예: 마약, 매춘 등의 문제
(3) 영향력이 사회성원 다수에 영향을 끼친다.
밀 즈 - 개인적 곤란이란 개인의 성격 때문에 야기되거나 그를 둘러싼 가까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사적인 문제를 말하고 그것이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사회가 그 문제를 많은 사람들 또는 전체 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할 때 사회문제.
마리스(R. W. Maris. 1988) - 다수의 사회성원, 영향력 있는 집단, 또는 카리스마를 지닌 개인들이 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는 것을 사회문제.
(4) 다수의 사람들이 그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며 사회적 차원의 조처(국가개입, 사회운동)으로 연결.
바커(R. L. Barker, 1995) - 사회문제는 사람들의 가치와 규범을 침해하고 정서적 또는 경제적 고통을 야기하여 사회성원의 사회적 대응을 이끄는 상태.
예: 노령문제에 대한 대비책요구 (사회보험, 기초연금)
(4-3) 3) 현대사회의 주요 사회문제
(1) 사회적 위험: 소득 (소득결핍, 불균등한 배분), 질병 (육체적 질병, 정신질환),
노동 (노동환경, 고용, 실업)
(2) 사회적 약자: 노인, 아동, 청소년, 가족, 여성(성차별, 성폭력), 장애인 등
(3) 기타 사회환경 및 사회보장: 주거, 교육, 범죄, 인구, 환경, 약물남용, 폭력 및 학대, 문화적 삶의 질 문제 등 다양
4)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정책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회가 발전시킨 사회복지제도 및 프로그램은 사회복지정책의 산물.
사회문제의 해결은 거시적으로 사회복지정책 / 미시적으로는 사회복지실천영역에서 다룸.
유기적인 관계- 사회복지정책을 기초로 하여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진다.
사회복지정책이 사회문제를 해결할 때 두가지 차원이 고려.
a. 한정된 자원
b. 한정된 자원을 사회문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투입하고 분배하는 문제
5)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정책의 의미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정책에서 이론적으로 다루고 있는 다양한 접근방법과 특성들을 이해
복지정책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클라이언트를 더욱 광범위하게 도울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실천은 사회복지정책의 틀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 홈페이지 : http://www.kuic.co.kr
■ 다음카페 : http://cafe.daum.net/bankkei
■ 싸이월드 : http://club.cyworld.com/jonjori
추천자료
우리나라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사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사례를 기술하여 제출하시오.
사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사례를 기술하여 제출하시오
사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사례를 기술
우리나라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개선과제
사회복지서비스에서 전달체계가 중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주요원칙에 대해 논의
우리나라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현황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공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본인의 생각을 중심으로 기술.
우리나라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분석하고, 각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전략...
한국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어있으며 개선할 사항이 있다면 어떤 방향으...
최근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연계성과 복잡성이 확대되면서, 전달체계의 통합과 책임성, ...
사회복지서비스의 질,TQM의 구성요소,고객지향,지속적 개선,리더십,교육훈련,TQM을 적용한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