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한미 칼로카가티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한미 칼로카가티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와 악 또는 배덕(背德)과의 결부가 추구되었던 것이다. 미가 진이나 선과 단절되면, 반대로 부조리나 악과 결합된다. 그만큼 미의 자율성을 확립하기란 곤란한 일이다.
【미의 범주】
아름다움을 순수미, 숭고미, 해학미, 비극미, 희극미, 매혹미로 분류할 수 있다. 순수미는 조화로운 아름다움이다. 조화롭다는 것은 모두 부분들이 상호 모순되지 않고, 주체와 객체의 구별이 없을 뿐만 아니라, 형식과 내용간의 괴리도 없다는 것이다. 순수미는 고귀함, 즐거움, 우아함, 선험성 등을 포괄한다. 숭고미는 어떤 지적이거나 도덕적인 목적을 위해서가 아니고, 그 자체로서 우리에게 만족을 불러일으킨다. 숭고미는 인상적인 장엄함, 거룩함, 감동성을 포괄한다. 비극미는 근본적으로 비극적인 상황을 극복하는 인간의 위대함을 그 원천으로 삼고 있다. 비극미는 악마적인 것, 슬픔, 감동성을 포괄한다. 해학미는 사건의 통상적 질서를 파괴한다는 점에서 비극미와 유사한 점이 있다.
예컨대 정상적으로는 비교할 수 없는 두 대상을 비교함으로써 우리에게 연민과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광대극과 같은 것은 해학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 준다. 그러므로 해학의 본질은 부조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해학미는 순수미의 반대편에 서 있다. 해학미는 우울함과 슬픔, 재미있음과 변덕스러움, 그리고 이상함과 미묘함을 포괄한다. 매혹미는 순수미에 포괄시킬 수 있으며 비극미와 대조되는 것으로 우아함, 흥미 있음, 그리고 자극을 포괄한다. 희극미는 해학미에 포괄시킬 수 있으며, 숭고미와 대조되는 것으로 익살맞음, 즐겁게 해줌, 그리고 저속함을 포괄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6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