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l-1) 과 같은 대자율이 알려진 표준물질에 주어지는 힘을 측정하면 실험이 쉬워진다. 표준물질(s)과 미지 물질(u)에 동일한 자기장과 구배가 적용되면 정확한 값을 알 필요는 없다.
=
이므로 미지 물질의 대자율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 .
χM = χMW이므로 몰대자율 χM은 에서 구할 수 있다.
상자기성 물질의 χM의 실험치가 구해지면 분자 또는 이온에 몇 개의 짝지워지지않은 전자가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실험결과에서 짝지워지지않은 전자의 수를 계산하려면 우선 몰대자율 측정치에 상자기성과 반자기성 모두의 영향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비록 반자기성이 작기는 하지만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은 언제나 옳지는 않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몰대자율 측정치에서 반자기성에 의한 영향을 보정하는 것이다. 반자기성 물질들의 몰대자율에 대한 측정 데이터가 많으므로 보정치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 11. 24에 나와 있는 원자, 이온, 및 결합들의 보정치를 합하면 반자기성 물질들의 몰대자율을 구할 수 있다. 이 과정의 기본 개념은 개별 원자 또는 결합에 의한 반자기성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며 유용하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
이므로 미지 물질의 대자율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 .
χM = χMW이므로 몰대자율 χM은 에서 구할 수 있다.
상자기성 물질의 χM의 실험치가 구해지면 분자 또는 이온에 몇 개의 짝지워지지않은 전자가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실험결과에서 짝지워지지않은 전자의 수를 계산하려면 우선 몰대자율 측정치에 상자기성과 반자기성 모두의 영향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비록 반자기성이 작기는 하지만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은 언제나 옳지는 않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몰대자율 측정치에서 반자기성에 의한 영향을 보정하는 것이다. 반자기성 물질들의 몰대자율에 대한 측정 데이터가 많으므로 보정치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 11. 24에 나와 있는 원자, 이온, 및 결합들의 보정치를 합하면 반자기성 물질들의 몰대자율을 구할 수 있다. 이 과정의 기본 개념은 개별 원자 또는 결합에 의한 반자기성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며 유용하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