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부가가치(EV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제적부가가치(EV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ationale Superieure des Telecommunications(ENST)에서 수행한 유럽연합의 지식과 정보의 양을 측정하는 연구는 우리가 사용하는 지식과 정보가 무엇인지, 지식과 정보의 양을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중요한 것은 지식정보자원총량 조사의 결과물을 어떻게 활용하여 국가의 지적 자본표에 가치로 환산하여 나타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지속적인 고민이다.
지식정보총량은 국가 혹은 기업의 지적자본표의 한 구성요소인 지식정보 DB 평가에 있어서 의미 있게 반영되어야 하며 지적자본표에서 사용된 지식활동 및 프로세스 측정 방법이 기업 내부 활동 뿐 아니라 공공 분야에도 거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방법론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해외의 지적자본표 도입 사례와 국내에서의 기업의 무형자산을 비롯한 지식활동을 측정하려는 노력은 기업의 지적자본 파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지식정보역량 평가의 중요한 밑그림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식기반경제의 도래에 따라 기업의 경쟁우위나 국가 경제 성장에서 지적자본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 주도로 지적자본표 작성지침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덴마크 정부와 일본 정부 사례를 살펴본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금까지 해외에서 개발된 모델을 국내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업의 지식자산 측정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으나 최근 중소기업청/산업연구원 주도로 중소서비스업을 대상으로 지식기반화 실태조사를 위한 지식기반화 지수(SMBK index) 측정이 이루어졌다. 지식기반화지수(SMBK Index) 조사를 비롯한 물론 국내 기업 주도의 지적자산을 측정하려는 노력은 아직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지식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한편 다양한 지식경영 수단을 관리, 활용하도록 지적자본표의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제는 지식기반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지식관련법률 또는 지식이전기본법 및 제도 등의 제정 등 기존 대기업중심의 산업사회적 정책 및 지원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정책 개입을 통한 지식정보 인프라 구축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지식정보 역량 강화를 위한 인프라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 각 부처의 계속적인 노력을 국가/기업/개인의 범위까지 확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독립적으로 국가지식정보의 소재파악과 경제성 평가를 담당하고 국가적 관점의 전략수립을 전담하는 기관이 필요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6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