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본문내용
이의 표시일 수도 있다. 대개의 경우 선입견이 관련 행동의 결정 혹은, 이를 기술하는 언어에 영향을 준다. 볼비의 이론을 모르는 관찰자라면 아기가 옆방 문으로 기어가는 행동은 기록해도, 엄마와 아기 사이의 거리는 기록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자연 상황에서 행동을 관찰하는 주된 이유가 그 행동의 기능을 발견하는데 있지만, 언제나 기능을 추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애착의 기능 중 하나는 이후에 있을 탐험의 든든한 기지로서 엄마를 정립하는 것이지만, 행동의 기능이 연기되어 그 효과가 훨씬 뒤에 나타날 수도 있다.
Content Limitation (내용적 제한점)
어떤 발달 현상은 행동 생물학적 관점에서 연구하기가 어렵다. 자발적 행동에 반영되지 않는 흥미로운 심리적 이벤트도 많다. 찰스워스는 그의 지성에 대한 연구를 드러난 행동, 예를 들면 원하는 물건을 손에 넣기 위해 장애물을 무너뜨리는 등의 경우에만 국한시켜야할 필요성을 발견했다. 많은 정신 작용들은 관찰하기 어렵다. 나이가 들수록, 행동은 점점 더 인지적인 조정을 받고, 동기는 복잡해지고, 따라서 관찰은 나이 많은 아동보다는 유아나 걸음마쟁이 들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인간 행동의 중재적 속성의 또 다른 시사점은 동물 연구에서는 유용했을 고정된 행동 패턴, 욕구, 자극 등이 아동들에게는 별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행동 생물학 연구의 내용에 있어서, 종족 내의 개인차보다는 종족의 모든 멤버가 보이는 행동을 찾으려 했다는 것이 또하나의 제한점이다. 양쪽의 정보 모두가 발달 연구에는 중요하다. 사실 행동 생물학 이론이나 방법론이 개인적 변수에 대한 초점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에인즈워스는 아이들이 정립한 애착이 아이들마다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게다가 그녀는 특정인에게 애착이 형성되는 나이의 차이도 기록했다. 새로운 행동 획득에서의 차이는 유전적인 영향이나 환경적 영향 혹은 둘 다 때문일 수도 있다. 자연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행동의 개인차를 관찰함으로써, 행동 생물학은 개인차에 대한 전통적 정보를 보충할 수 있다.(인성, 지능, 학업성취, 적성 등을 평가할 테스트의 기준을 만든다. )이런 잠재적 공헌점들이 아직 실용화 된 것은 아니지만, 발달 심리학자들은 자연적 상황에서 개인차의 역할을 새롭게 보게 되었다. 주제는 아동 학대 및 무심의 효과, 교육의 질, 영양 상태, 건강 체질, 그리고 아동기 동안의 심리적 안녕, 성인기의 재생 성공 등의 효과를 포함한다.
SUMMARY
행동 생물학은 동물학이 발달 심리학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이다. 수천 시간 동안 동물을 관찰하여 행동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얻었다. 인간을 포함한 각 종족은 그 종족만의 특유고도 선천적인 행동을 타고난다. 이 행동들은 각자의 환경에서 종족의 생존 가능성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계통 발생적으로 진화해왔다. 가장 중요한 행동 중에는 짝짓기 의식, 각인 찍기, 지배행동, 의사소통 등 사회적 행동이 있다. 표시 자극sign stimuli에 의해 유발되는 고정된 행동 패턴이 특히 관심을 끈다. 학습된 행동에도 강한 유전적 요소가 있다. 왜냐하면, 각 종족별로 민감한 시기, 학습능력 등 특유의 학습 전제조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행동은 자연적 상황에서도, 실험실의 연구 상황에서도 관찰되었다.
애착 연구에 있어서, 행동 생물학적 관점은 발달 심리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갓난아기와 부모와 서로 반응하기 위해 사전 조율을 거친다는 증거도 있다. 이 연구는 엄마로부터 분리의 효과, 아버지의 역할, 탐험 기지로서의 엄마, 신생아의 동맹관계(bonding)등의 효과를 포함하는 연구로 확장되었다. 포유류 및 다른 동물의 지배위계(dominance hierarchy)관찰은 인간 동료그룹(특히 취학전 아동의 동료그룹)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다. 다른 연구는 인간과 다른 동물들 사이에 얼굴 표정 및 신체 움직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최근에는 자연적 상황에서 아동들이 어떤 종류의 문제를 풀고, 이를 위해 어떻게 노력하는가에 대한 조사도 있었다.
발달적 주제와 관련하여, 행동 생물학자들은 인간을 나름의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진화한 종족으로 여긴다. 이러한 진화가 능동적인 것이었는지, 수동적인 것이었는지에 대한 의견은 학자마다 분분하다. 행동은 발달 동안 내재적, 외부적 환경 요소와 상호작용하며, 질적으로도 양적으로도 변화한다. 그 결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유기체가 된다. 행동 생물학자들은 가끔 통제 시스템 혹은 hydraulic drive-reduction system 등의 모델을 고안한다.
행동 행물학은 현재의 발달 심리학에 몇 가지 강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이 이론은 행동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조사자들이 아동 행동의 기능 연구하도록 했다. 둘째, 특정 행동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행동 생물학자들은 자연적 상황에서의 관찰을 옹호한다. 마지막으로 발달에서 중요한 내용적 영역을 몇 개 발견했는데, 예를 들면, 지배 위계, 애착, 비언어적 의사소통 등이다.
행동 생물학은 약점도 있다. 민감한 시기(sensitive period)같은 이론적 개념은 아직 실험적 단계에도 이르지 못했다. 방법론에서 관찰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있는데, 인간에게는 박탈실험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발달의 몇몇 측면, 즉 언어, 보다 나이 많은 아동들의 추상적 사고 등에는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행동생물학은 ‘어떤 행동이 중요한가‘, 그리고 ’그런 행동을 어떻게 획득하는가‘에 대한 가설에 영양가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 행동 생물학적 태도는 조사자들의 눈을 더 넓은 맥락으로 돌려 시, 공간 및 다양한 분석 수준으로 확장시켰다. 특히, 행동 생물학에 근거한 관찰은 연구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후일 통제 가능한 실험실 상황에서 연구할만한 행동의 “보다 큰 그림”을 제시할 수 있다. 이 이론에도 극복 불가능한 약점이 있지만, 이론의 다양한 가능성이 아직 실현되지도 않았다. 발달의 상황에 대한 새로운 관심 때문에, 행동 생물학에서 영감을 얻고, 이를 밑바탕으로 삼기에 적절한 시기다.
넷째, 자연 상황에서 행동을 관찰하는 주된 이유가 그 행동의 기능을 발견하는데 있지만, 언제나 기능을 추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애착의 기능 중 하나는 이후에 있을 탐험의 든든한 기지로서 엄마를 정립하는 것이지만, 행동의 기능이 연기되어 그 효과가 훨씬 뒤에 나타날 수도 있다.
Content Limitation (내용적 제한점)
어떤 발달 현상은 행동 생물학적 관점에서 연구하기가 어렵다. 자발적 행동에 반영되지 않는 흥미로운 심리적 이벤트도 많다. 찰스워스는 그의 지성에 대한 연구를 드러난 행동, 예를 들면 원하는 물건을 손에 넣기 위해 장애물을 무너뜨리는 등의 경우에만 국한시켜야할 필요성을 발견했다. 많은 정신 작용들은 관찰하기 어렵다. 나이가 들수록, 행동은 점점 더 인지적인 조정을 받고, 동기는 복잡해지고, 따라서 관찰은 나이 많은 아동보다는 유아나 걸음마쟁이 들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인간 행동의 중재적 속성의 또 다른 시사점은 동물 연구에서는 유용했을 고정된 행동 패턴, 욕구, 자극 등이 아동들에게는 별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행동 생물학 연구의 내용에 있어서, 종족 내의 개인차보다는 종족의 모든 멤버가 보이는 행동을 찾으려 했다는 것이 또하나의 제한점이다. 양쪽의 정보 모두가 발달 연구에는 중요하다. 사실 행동 생물학 이론이나 방법론이 개인적 변수에 대한 초점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에인즈워스는 아이들이 정립한 애착이 아이들마다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게다가 그녀는 특정인에게 애착이 형성되는 나이의 차이도 기록했다. 새로운 행동 획득에서의 차이는 유전적인 영향이나 환경적 영향 혹은 둘 다 때문일 수도 있다. 자연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행동의 개인차를 관찰함으로써, 행동 생물학은 개인차에 대한 전통적 정보를 보충할 수 있다.(인성, 지능, 학업성취, 적성 등을 평가할 테스트의 기준을 만든다. )이런 잠재적 공헌점들이 아직 실용화 된 것은 아니지만, 발달 심리학자들은 자연적 상황에서 개인차의 역할을 새롭게 보게 되었다. 주제는 아동 학대 및 무심의 효과, 교육의 질, 영양 상태, 건강 체질, 그리고 아동기 동안의 심리적 안녕, 성인기의 재생 성공 등의 효과를 포함한다.
SUMMARY
행동 생물학은 동물학이 발달 심리학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이다. 수천 시간 동안 동물을 관찰하여 행동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얻었다. 인간을 포함한 각 종족은 그 종족만의 특유고도 선천적인 행동을 타고난다. 이 행동들은 각자의 환경에서 종족의 생존 가능성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계통 발생적으로 진화해왔다. 가장 중요한 행동 중에는 짝짓기 의식, 각인 찍기, 지배행동, 의사소통 등 사회적 행동이 있다. 표시 자극sign stimuli에 의해 유발되는 고정된 행동 패턴이 특히 관심을 끈다. 학습된 행동에도 강한 유전적 요소가 있다. 왜냐하면, 각 종족별로 민감한 시기, 학습능력 등 특유의 학습 전제조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행동은 자연적 상황에서도, 실험실의 연구 상황에서도 관찰되었다.
애착 연구에 있어서, 행동 생물학적 관점은 발달 심리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갓난아기와 부모와 서로 반응하기 위해 사전 조율을 거친다는 증거도 있다. 이 연구는 엄마로부터 분리의 효과, 아버지의 역할, 탐험 기지로서의 엄마, 신생아의 동맹관계(bonding)등의 효과를 포함하는 연구로 확장되었다. 포유류 및 다른 동물의 지배위계(dominance hierarchy)관찰은 인간 동료그룹(특히 취학전 아동의 동료그룹)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다. 다른 연구는 인간과 다른 동물들 사이에 얼굴 표정 및 신체 움직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최근에는 자연적 상황에서 아동들이 어떤 종류의 문제를 풀고, 이를 위해 어떻게 노력하는가에 대한 조사도 있었다.
발달적 주제와 관련하여, 행동 생물학자들은 인간을 나름의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진화한 종족으로 여긴다. 이러한 진화가 능동적인 것이었는지, 수동적인 것이었는지에 대한 의견은 학자마다 분분하다. 행동은 발달 동안 내재적, 외부적 환경 요소와 상호작용하며, 질적으로도 양적으로도 변화한다. 그 결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유기체가 된다. 행동 생물학자들은 가끔 통제 시스템 혹은 hydraulic drive-reduction system 등의 모델을 고안한다.
행동 행물학은 현재의 발달 심리학에 몇 가지 강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이 이론은 행동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조사자들이 아동 행동의 기능 연구하도록 했다. 둘째, 특정 행동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행동 생물학자들은 자연적 상황에서의 관찰을 옹호한다. 마지막으로 발달에서 중요한 내용적 영역을 몇 개 발견했는데, 예를 들면, 지배 위계, 애착, 비언어적 의사소통 등이다.
행동 생물학은 약점도 있다. 민감한 시기(sensitive period)같은 이론적 개념은 아직 실험적 단계에도 이르지 못했다. 방법론에서 관찰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있는데, 인간에게는 박탈실험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발달의 몇몇 측면, 즉 언어, 보다 나이 많은 아동들의 추상적 사고 등에는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행동생물학은 ‘어떤 행동이 중요한가‘, 그리고 ’그런 행동을 어떻게 획득하는가‘에 대한 가설에 영양가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 행동 생물학적 태도는 조사자들의 눈을 더 넓은 맥락으로 돌려 시, 공간 및 다양한 분석 수준으로 확장시켰다. 특히, 행동 생물학에 근거한 관찰은 연구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후일 통제 가능한 실험실 상황에서 연구할만한 행동의 “보다 큰 그림”을 제시할 수 있다. 이 이론에도 극복 불가능한 약점이 있지만, 이론의 다양한 가능성이 아직 실현되지도 않았다. 발달의 상황에 대한 새로운 관심 때문에, 행동 생물학에서 영감을 얻고, 이를 밑바탕으로 삼기에 적절한 시기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