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빠른 속도입니다. 이렇게 빠른 속도를 통해 인터넷 뿐 아니라 HDTV(19Mbps) 나 다양한 VOD 서비스등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VDSL은 현실적으로 각 가정마다 광섬유를 설치(FTTC)하지 않는 한 가장 빠른 전송속도를 보여줄 수 있는 초고속 인터넷 기술입니다.
하지만 VDSL이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아직 넘어야할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VDSL의 가장 문제가 되는 요소는 서비스 할 수 있는 거리가 짧다는 데 있습니다. ADSL이 4.5 ~ 5.5 km 정도거리의 가입자들까지 서비스를 할 수 있는데 비해 VDSL은 기술상 1.4 ~ 2.5 km 정도가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한계 거리입니다. VDSL은 대칭형 서비스의 경우 1.4 km 가 한계이고 비대칭형 서비스의 경우 2.5 km 가 서비스 지역의 한계입니다. 또한 VDSL의 최대 장점인 52Mbps 의 전송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서비스 거리 지역이 300m에 정도로 줄어드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서비스 거리의 문제는 아파트나 오피스텔, 호텔등의 MDU(집단가입자)환경에서는 별 문제가 없지만 일반 주택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VDSL의 또 다른 단점으로 지역별 사용자가 증가할 수록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들 수 있습니다. ADSL이 사용자 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속도를 내는데 비해 VDSL 은 해당 지역의 사용자 수가 늘어나면 그에 따라 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런 기술상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지역별 스트리트 캐비넷(street cabinet)까지 모두 광섬유를 설치해 반경 300M 이내의 모든 지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렇게 한다면 사용자의 서비스 지역이 전화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광섬유 망으로 연결된 스트리트 캐비닛을 통해 VDSL의 최대 속도를 낼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사용자 수가 많아진다고 하더라도 스트리트 캐비넷까지 연결된 광섬유와 충실한 백본망만 있으면 별다른 속도 저하는 없앨 수 있습니다. 또한 좀 더 저렴한 방법으로 VDSL 장치를 맨홀을 통해 도로 아래에 설치해 스트리트 캐비넷없이 사용하는 방법도 시험중입니다.
이런 방식은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게 되겠지만, 아직 VDSL이 아직 표준화되지 않았고 계속 개발, 발전하고 있는 기술인 것을 감안한다면 실제 상용화에 들어갈때 쯤에는 보다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기대해봅니다.
하지만 VDSL이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아직 넘어야할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VDSL의 가장 문제가 되는 요소는 서비스 할 수 있는 거리가 짧다는 데 있습니다. ADSL이 4.5 ~ 5.5 km 정도거리의 가입자들까지 서비스를 할 수 있는데 비해 VDSL은 기술상 1.4 ~ 2.5 km 정도가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한계 거리입니다. VDSL은 대칭형 서비스의 경우 1.4 km 가 한계이고 비대칭형 서비스의 경우 2.5 km 가 서비스 지역의 한계입니다. 또한 VDSL의 최대 장점인 52Mbps 의 전송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서비스 거리 지역이 300m에 정도로 줄어드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서비스 거리의 문제는 아파트나 오피스텔, 호텔등의 MDU(집단가입자)환경에서는 별 문제가 없지만 일반 주택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VDSL의 또 다른 단점으로 지역별 사용자가 증가할 수록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들 수 있습니다. ADSL이 사용자 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속도를 내는데 비해 VDSL 은 해당 지역의 사용자 수가 늘어나면 그에 따라 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런 기술상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지역별 스트리트 캐비넷(street cabinet)까지 모두 광섬유를 설치해 반경 300M 이내의 모든 지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렇게 한다면 사용자의 서비스 지역이 전화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광섬유 망으로 연결된 스트리트 캐비닛을 통해 VDSL의 최대 속도를 낼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사용자 수가 많아진다고 하더라도 스트리트 캐비넷까지 연결된 광섬유와 충실한 백본망만 있으면 별다른 속도 저하는 없앨 수 있습니다. 또한 좀 더 저렴한 방법으로 VDSL 장치를 맨홀을 통해 도로 아래에 설치해 스트리트 캐비넷없이 사용하는 방법도 시험중입니다.
이런 방식은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게 되겠지만, 아직 VDSL이 아직 표준화되지 않았고 계속 개발, 발전하고 있는 기술인 것을 감안한다면 실제 상용화에 들어갈때 쯤에는 보다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기대해봅니다.
추천자료
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비대칭 디지털가입자 회선
ADSL, VDSL은 무엇인가?
[2007년11월]HDSL과 SDSL의 장점을 결합한 SHDSL에 관한 조사보고서입니다.
[ADSL][HDSL][SDSL][SHDSL][UADSL][VDSL][UAWG]ADSL(비대칭디지털가입자회선), HDSL(고속디지...
[ADSL]ADSL(비대칭디지털가입자회선)의 특징, ADSL(비대칭디지털가입자회선)의 추진배경, ADS...
DSL(디지털가입자회선)의 종류 고찰과 ADSL(비대칭디지털가입자회선), CDSL(Consumer디지털가...
ADSL에 대해
ADSL , HDSL , VDSL 전송원리,비교,작동방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