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와 수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목재와 수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내부가 완전히 결합수로 포화되어 있으며 아울러 세포내강 등의 빈 공간에도 액상의 자유수가 일부 존재하는 경우 생재상태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살아있는 나무 또는 벌채 직후의 나무의 수분 함유상태를 나타내게 되며 목재 내부 전체, 즉 세포벽과 세포내강 등의 빈 공간이 결합수와 자유수로 완전히 충만되어 있는 경우 포수상태라고 부르고 있다. 생재의 수분은 수종, 변재와 심재, 계절 등의 차이에 따라 변화되지만 일반적으로 침엽수의 쪽이 활엽수보다도 수분 함유율이 높고 변재와 심재 사이의 차이도 큰 편이다.보통 변재는 심재보다도 수분이 많으나 변재보다도 수분이 많은 심재의 경우 다습심재라고 부르게 되는데 느릅나무 등이 그 예가 되고 있다.
한편, 어떤 온도 및 습도 조건의 공기중에 목재를 나두게 되면 더 이상 수분을 흡습하거나 또는 탈습하지 않는 평형상태에 목재가 도달하게 되는데 이 때의 함수율을 평형함수율이라고 부르게 된다.그러나 어느 주어진 조건 아래에서 목재의 평형함수율은 그 평형이 낮은 함수율로부터 흡습에 의해 도달되느냐 또는 높은 함수율로부터 탈습에 의해 도달되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이력현상을 보이게 되는데 항상 흡습에 의한 평형함수율이 탈습, 즉 건조에 의한 평형함수율보다 낮은 편이다(그림 4).이러한 이력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이유는 생재로부터 건조가 일어나기 시작하면 세포벽에서 물 분자가 빠져나가 수산기들이 가까워지게 되어 셀룰로오스와 셀룰로오스 사이에 결합이 일어나게 되는데 건조후 다시 흡습하여도 본래만큼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점(수산기, -OH)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키워드

목재,   수분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75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