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타내고 있었다. 에릭슨은 이점을 알아내어 peter에게 해석해줬더니 그 증상은 크게 완화되었다. peter의 행동을 묘사할 때 학생들은 때로 이 증상이 주의를 끌기 위한 수단이라고도 말한다. 이런 해석은 흔희 행동주의자들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나 에릭슨의 접근 방법은 다르다. 근느 peter에게 있어 그 증상의 의미 즉 그 증상을 통해 무엇을 나타내고자 했는지에 관심을 갖는다. peter는 신체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나는 내가 잃었던 것을 간직하고 싶다. 라는 말을 하고자 했다. 에릭슨과 함께 다른 정신분석학자들은 주의를 기울이는 것과 같은 외적 강화를 통해 아동의 행동을 변화시키기보다는 아동의 공포와 그들이 무의식적으로 말하려는 것에 대해 그들에게 직접 얘기해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믿고 있다.
추천자료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을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과 비교(공통점과 차이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에 대한 비교, 분석
[심리학][심리학이론][분트][에릭슨][프로이드]심리학의 정의, 발달, 심리학의 필요성, 관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 이론 비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의 차이점 - 공통점과 차이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 5단계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 8단계를 비교 설명
프로이드, 삐아제, 에릭슨의 아동발달단계표,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단계 8단계,프로이트의 ...
창신-아동발달-프로이드의 심리적 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적 이론의 유사점과 차이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 이론 비교
정신분석적 성격이론에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성격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이론을 비교하고, 설명하시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이론을 비교하고,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