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과 골격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육과 골격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근육과 골격근
□ 개요

원시적인 수축기관
□ 섬모와 편모
□ 아메바식 이동
□ 척추동물의 근육
□ 횡문근
□ 근섬유
□ 근원섬유
□ 필라멘트
□ 필라멘트의 단백질
□ 액틴 - 미오신 사이의 상호작용
□ 근육의 신경지배
□ 근수축의 화학
□ 근수축의 분자적 메커니즘
□ 심근
□ 평활근
□ 인체의 골격근

본문내용

전달되면 수축을 하거나 전혀 수축을 하지 않게 된다. 인체의 운동에는 어느 한 근육 또는 여러 개의 근육들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운동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 즉 어떤 움직임을 위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근육을 주동근(主動筋)이라 하며 주동근과 반대의 운동을 일으키는 근육을 길항근(拮抗筋)이라 한다. 주동근과 길항근이 대립할 때는 운동이 정지되나 보통 주동근이 수축하게 되면 길항근은 이완을 하여 원활한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그밖에도 수축하는 근육이 부착되어 있는 골격 부위를 고정함으로써 주동근의 작용을 확실하게 해주는 고정근(固定筋)과 주동근이 원하는 단일운동작용 외에 또다른 운동작용을 동시에 나타내려고 할 때 이러한 운동작용을 중화시켜 원하는 운동작용만이 나타나도록 하는 중화근(中和筋)이 있다. 골격근은 골격계에 부착하여 작용하므로 근육의 끝은 골격에 부착점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근육은 한쪽 끝이 어느 뼈에서 시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절을 지나 다른 뼈에 부착되어 있으나, 간혹 안면근의 경우와 같이 한쪽 끝은 안면골에 붙어 있고 다른쪽 끝은 얼굴의 피부에 붙어 있는 것도 있다. 관절을 지나 두 골단에 부착되어 있는 근육은 수축으로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자연히 두 접점이 가까워지므로 관절에 어떤 움직임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관절의 움직임은 인체의 어느 한 부분 또는 여러 부분의 동작이나 공간적인 위치의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 이처럼 근육이 수축할 때 두 근육단 중 어느 한쪽 끝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은 움직이게 되므로, 고정된 근육단의 부착점을 기시점(origin)이라 하고 움직이는 근육단의 부착점을 저지점(insertion)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기시와 저지는 그 개념이 정반대로 되는 수도 있다. 이러한 근육단들은 뼈에 근육조직 그 자체가 부착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근육은 하나의 말단 또는 양단이 섬유조직의 집단으로 바뀌어 부착한다. 이러한 섬유조직을 힘줄이라 하며 그 형태는 둥근 줄 같은 것도 있고 엷은 띠 모양을 한 것도 있다. 큰 근육에서는 힘줄이 넓고 납작하여 근육조직과의 경계가 리본처럼 되어 있는데, 이를 널힘줄(aponeurosis)이라고 부른다. 근섬유와 힘줄섬유는 그 기원에 차이가 있으나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기능단위를 형성하며 양자는 상호보완적으로 일하고 있다. 힘줄이나 널힘줄은 탄력성은 거의 없으나 압력을 견디어내는 힘은 강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76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