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모나 다른 가족 및 친구들과 터놓고 얘기할 수 있도록환경을 만들어준다. 주변사람에게 고민이나 고충을 이야기함으로써 아이는 기분이 곧 풀릴 수 있기 때문이다.▶긍정적인 측면에 대해 말하고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준다. 사물의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 중 좋은 일과 긍정적인 일을 생각하게 만드는 일은 아이가성장했을 때도 인생의 난관을 헤쳐나가는데 큰 도움이 된다.어린이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부모가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를 향해‘웃는 것’이다. 이때 억지 웃음은 안 된다. 아이가 곧 알아챈다. 엄마는 아이를 보면 기분이 좋아야 한다. 아이가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돌아오면 반갑고, 웃음이 절로 나고, 아이와 함께 놀고 싶고, 안아주고 싶고, 등을 두드려주고 싶어야 한다. 그러면 아이도 편안해진다.우울증은 마음의 병이다. 집이 가난하냐 부유하냐는 것은 문제도 아니다. 뇌의 구조상 유전적으로우울증에 취약한 아이도 있지만, 성장발달과정에서 건강하고 즐겁게 자란 아이는 우울증에 안 빠진다. 반대로 유전적으로 취약하지 않아도 부모가 학대, 구박을 하는 가정에서 자란 아이는 우울증에 빠질 수 있다. 부모의 관심과 사랑만이 아이의 우울증을 막을 수 있다.
추천자료
<사춘기 우울증의 원인 및 증상과 부모의 도움 및 대처방법>에 관하여
사춘기 우울증 및 부모로서 도와줄 수 있는 대처방법
사춘기 우울증의 원인과 부모가 해야 할 일
사춘기(청소년) 우울증과 부모의 역할
우울증 (우울증 정의, 종류, 원인, 증상, 치료방법, 치료방안, 경과, 치료법, 예후, 정의, 종...
우울증 (우울증 정의, 종류, 원인, 증상, 치료방법, 치료방안, 경과, 치료법, 예후, 정의, 종...
청소년기 장애인(청각장애)의 우울증, 인터넷 중독 사례 (사춘기장애인, 청소년기장애인, 장...
[아동상담] 부적응 행동 이해 - 짜증내고 우울한 아동에 관한 보고서 {우울증의 정의, 아동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