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의 산유화 분석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소월의 산유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 시에서의 저만치의 의미를 생각해 본다. 이 시의 운율적 특성을 진달래꽃과 비교하여 파악한다. 소월 시가 당대 공감을 불러 일으킨 이유를 생각해 보자.

산(구체적인 삶의 현장)에는 / 꽃 피네//
꽃이 피네///(3음보의 율격)
갈(가을. ‘가을’이라고 썼다면, 귀에 거슬리는 산문투의 음향을 유발했을 것이다.) 봄 / 여름 없이//
꽃이 피네.///
1연: 자연의 순환(자연의 끝없는 생성과 순환(자연의 질서)계절의 순서를 바꾼 것은 운율상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산에 /
산에 //
피는 꽃(근원적인 고독의 존재)은 ///
저만치(①공간적 거리를 나타내는 개념 - 세상이나 인생과 동떨어져, 즉 세속의 명리나 현실적인 문제와 떨어져 있는 순수와 고독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말․인간과 자연과의 거리, ②‘저것처럼’, ‘저렇게 나와 같이’- 산유화의 고독을 강조하는 표현) / 혼자서(그것을 바라보는 나와의 거리가 있음을 뜻하는 동시에 그 꽃이 다른 꽃들로부터도 떨어져서 외로이 있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꽃이 좋아 산에서 사는 작은 새 역시 꽃과 어울리지 못하는 존재다. 혼자 피어 외로운 꽃을 좋아하는 새의 짝사랑도 외롭고 고독한 것이기에, 작은 새는 시적 자아와 같은 외로움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연과 인간, 존재와 존재의 상호 격리된, 접근할 수 없는 물리적 거리이자 정감의 거리인 소외의식으로 이해됨) // 피어 있네.///

본문내용

사물의 고독한 숙명으로 확장되고, 시적 자아의 감정은 산유화라는 객관적인 대상에 고스란히 담긴다. 만약 외로움이나 고독을 말로 표현하지 않고 그린다면, 이 시의 풍경과 같은 모습일 것이다.
인간 소외의 상황에서 근원적인 인간의 고독은 더욱 절실하게 느껴진다. 현실과 이상의 거리가 멀어지고 한 인간이 사회적으로 할수 있는 일이 적어지면 적어질수록, 산유화처럼 세속과 저만치 떨어져 홀로 살아가려는 욕구는 강해지는 것이다.
핵심정리
▶ 갈래: 자유시서정시낭만시
▶ 제재: 꽃
▶ 주제: 고독하고 순수한 삶의 모습 자연에 동화될 수 없는 안타까움)
▶ 성격: 민요적전통적관조적낭만적
▶ 특징: 수미(首尾) 쌍관의 구성대칭적 구조 반복과 변조
▶ 시상 전개- 탄생→고독→사멸
▶ 출전: 영대 3호 1924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8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