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소에 대한 관심
제2장 생태환경
제3장 시간과 공간
제4장 정치체계
제5장 출계체계
제6장 연배체계
제2장 생태환경
제3장 시간과 공간
제4장 정치체계
제5장 출계체계
제6장 연배체계
본문내용
잘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화이트나 거프 등은 이러한 관점의 몰역사성과 구조-기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시간적인 맥락 속에서 누에르족을 분석하는 작업을 시도하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에번스-프리처드 스스로가 래드클리프-브라운의 구조-기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사회사로서의 사회인류학을 주창하고 나섰다. 그리고 인류학자는 다른 사회를 제대로 이해하여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도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충실히 번역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연과학적인 엄밀성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의미와 상징성을 발견하는 것이 한층 중요하다고 보았다. ≪The Nuer≫는 역사와 개인의 중요성을 강조한 학자의 저술이면서도 상대적으로 역사적인 관점이 결여돼 있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사회인류학에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고전으로 읽히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