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 절차의 변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혼인 절차의 변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를 가려 혼인예식의 날로 정해 남자측에 보내는 절차이다. 남자측에서는 사주를 보내놓고 여자측의 길조(吉兆)가 나오기만을 기다리며 마침내 택일 이 와야 혼인날짜가 정해지는 것이다.
연(涓)은 꼭 맞는다, 고른다의 뜻으로서 연길(涓吉)은 "좋은 길일을 골랐다"는 뜻이 되어 중국 주육례의 납 길(納吉)과 같은 의미도 된다.
④ 납폐(納幣)
여자측에서 사주를 보낸 남자와의 길조가 나왔다면서 혼인할 날짜를 보내왔으므로 혼인이 완전히 정해진 것이다. 남자측에서는 그 여자를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 성의를 다해 예물을 보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예 물, 즉 폐백(幣帛)을 보낸다는 뜻의 납폐이다.
⑤ 예식(禮式)
대례(大禮)라고도 한다. 이것이 남자가 장가드는 의식이다. 여자를 데려다가 신랑의 집에서 혼인예식을 올 리는 중국의 친영(親迎)과 달리 우리 나라의 전통관습혼은 남자가 여자집으로 가서 혼인예식을 함으로써 장가(丈家·아내의 집)드는 것이다.
인간의 평생을 사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의례절차라는 뜻에서 대례(大禮)라고 하는 것이다.
혼인의 정신인 삼서(三誓)의 절차가 이 예식을 전후해 치뤄지며 또 하나의 정신인 평등정신도 여자의 집에 서 첫날밤(合宮)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⑥ 우귀(于歸)
신부우례(新婦于禮)라고도 한다. 이 우귀야 말로 신부가 시집가는 절차이다.
신랑이 신부의 집에서 혼인예식을 해 부부가 한 몸이 된(合禮) 다음에야 남편의 집인 시집에 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 나라의 전통관습의 혼인례는 남녀가 평등하고,
어떤 면에서는 주도권이 여자에게 있는 혼인례 절차였음을 알 수 있다.

키워드

혼인,   절차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9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