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알코올중독자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전략
2. 비협조적인 알코올중독자의 가족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
3.3. 치료에 동의한 알코올중독자의 가족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
4. 사례
2. 비협조적인 알코올중독자의 가족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
3.3. 치료에 동의한 알코올중독자의 가족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
4. 사례
본문내용
매정하게 오히려 내 아들을 정신병원에 집어넣어 환자취급을 한다고 호통을 쳐 시댁과도 단절되었다. 출가외인이라는 전통적인 우리나라의 풍습에 친정에도 마찬가지로 지지 세력이 없었다(친정아버지가 알코올의존이며, 자신이 선택한 결혼에 대한 책임) 그 자매는 유일한 희망은 종교였지만 이는 더욱 부정적이고 술을 마실 수 있는 구실을 증가시킨 결과가 되었다.
주변에서는 일찍 가정을 해체시키는 것이 상책이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공동체를 찾은 그 여성은 "요즈음은 자주 아프고 항상 우울하다"고 호소했다. "남편에게도 깊은 상처와 고통의 연속인데 이제는 주변사람들이 오히려 더 힘들게 하는 군요"라고 위로하자 하염없이 눈물만 흘렸다.
이 여성을 분노와 좌절 속에 몰아넣고 우울하게 만든 것은 무엇일까? 남편의 알코올의존에 대해 가장 가까운 부모형제들의 무관심과 투사 그리고 스스로 남편을 변화시켜 보겠다는 집착과 기대심리의 좌절이 고통의 원인이라 할 수있다. 정서적으로 메말라가고 세상이 원망스러웠다. 특히 결혼 전 역기능 가정 속에서 성장하면서 받은 악순환의 수레바퀴 속에서 빠져나올 길을 잃었다. 하지만 이제는 공동의존 12단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회복의 여정을 가고 있다.
알코올의존자의 문제로 가족들이 주위 사람들과 상의하다 보면 "손을 떼라"와 "그냥 놔두면 안 되고 무슨 대책을 빨리 세워야 한다"라는 ’상반된 충고‘를 받게 된다. "손을 떼라"는 것은 가족이 의존자의 문제를 대신 짊어지지 말고, 가족에게 책임이 있는 것같이 행동하지 말라는 제안이다. 이를 초연이라 하며 의존자의 문제들로부터 가족들이 적당한 거리를 두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가족의 회복을 위해 초점을 맞추라는 의미이다.
반대로 "무슨 대책을 강구해야"한다는 접근 방법을 중재라고 하는데 의존자가 「밑바닥 치기(Hit Bottom)」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의존자 스스로 그들의 문제를 직면하도록 해서 눈을 뜨게 하고 현실을 바로 볼 수 있게 하여 도움을 받아들이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화' 라는 책에서 「우리의 마음은 밭이다. 그 안에는 기쁨, 사랑, 즐거움, 희망과 같은 긍정의 씨앗이 있는가 하면 미움, 절망, 좌절, 시기, 두려움 등과 같은 부정의 씨앗이 있다. 어떤 씨앗에 물을 주어 꽃을 피울지는 자신의 의지에 달렸다」는 글을 인용하며, 가족이 건강한 사고와 행동을 할 때, 그리고 올바른 선택을 할때 의존자의 회복 및 변화는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주변에서는 일찍 가정을 해체시키는 것이 상책이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공동체를 찾은 그 여성은 "요즈음은 자주 아프고 항상 우울하다"고 호소했다. "남편에게도 깊은 상처와 고통의 연속인데 이제는 주변사람들이 오히려 더 힘들게 하는 군요"라고 위로하자 하염없이 눈물만 흘렸다.
이 여성을 분노와 좌절 속에 몰아넣고 우울하게 만든 것은 무엇일까? 남편의 알코올의존에 대해 가장 가까운 부모형제들의 무관심과 투사 그리고 스스로 남편을 변화시켜 보겠다는 집착과 기대심리의 좌절이 고통의 원인이라 할 수있다. 정서적으로 메말라가고 세상이 원망스러웠다. 특히 결혼 전 역기능 가정 속에서 성장하면서 받은 악순환의 수레바퀴 속에서 빠져나올 길을 잃었다. 하지만 이제는 공동의존 12단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회복의 여정을 가고 있다.
알코올의존자의 문제로 가족들이 주위 사람들과 상의하다 보면 "손을 떼라"와 "그냥 놔두면 안 되고 무슨 대책을 빨리 세워야 한다"라는 ’상반된 충고‘를 받게 된다. "손을 떼라"는 것은 가족이 의존자의 문제를 대신 짊어지지 말고, 가족에게 책임이 있는 것같이 행동하지 말라는 제안이다. 이를 초연이라 하며 의존자의 문제들로부터 가족들이 적당한 거리를 두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가족의 회복을 위해 초점을 맞추라는 의미이다.
반대로 "무슨 대책을 강구해야"한다는 접근 방법을 중재라고 하는데 의존자가 「밑바닥 치기(Hit Bottom)」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의존자 스스로 그들의 문제를 직면하도록 해서 눈을 뜨게 하고 현실을 바로 볼 수 있게 하여 도움을 받아들이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화' 라는 책에서 「우리의 마음은 밭이다. 그 안에는 기쁨, 사랑, 즐거움, 희망과 같은 긍정의 씨앗이 있는가 하면 미움, 절망, 좌절, 시기, 두려움 등과 같은 부정의 씨앗이 있다. 어떤 씨앗에 물을 주어 꽃을 피울지는 자신의 의지에 달렸다」는 글을 인용하며, 가족이 건강한 사고와 행동을 할 때, 그리고 올바른 선택을 할때 의존자의 회복 및 변화는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추천자료
한국의 알코올 중독자들에 대한 연구
알코올 중독의 실태와 예방 및 알콜중독 치료를 위한 방안과 프로그램 분석- 현장조사(기관...
[가족복지론] 알코올가족(알콜중독가족)의 서비스 현황 및 자녀의 역기능적 역할 수행, 강점관점
알코올 중독 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알코올 중독과 인지행동치료기법
알코올 중독에 대한 치료적 접근
[A+평가 레포트]알코올 중독 현황과 치료
(A+평가 레포트)알코올 중독 가족의 문제점과 가족복지 대책
알코올 중독자 가정의 자녀문제.ppt
[정신간호학] 알코올 중독(알콜 중독 / alcoholism)의 사례관리, 문헌고찰, 간호과정
[중독과 사회복지] 알코올, 약물중독 사례연습
알코올 중독 부모 가족
[이상심리학] 물질관련 장애의 원인(알코올 중독의 원인, 정신역동적 요인, 그 밖의 원인)과 ...
50대 초반 알코올 중독자가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을 다양한 인간발달 이론적 관점과 발달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