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모두 관심을 가지고 지역사회교육을 제대로 경험해 보는 기회를 만들어야 겠다.
http://cafe.daum.net/kennyj
김남선, 《지역사회교육론》형설출판사, 2003
http://cafe.daum.net/memorysungmin
지역사회의 교육 사례
[교육벨트 프로그램 사례]
-의제에 있어서 환경은 빠질 수 없다 그 중에서도 환경이 중요한 요소이다.
-문화를 매개체로 지역 공동체의 무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사회에 있어서 문화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이를 교육벨트롤 엮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 예술이 지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효과가 있을까.
▶여주 밀머리 학교- 미술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즉 문화 예술적으로 창작을 요구한다. 폐교를 개조하여 미술 학교를 만듦, 아이들이 주체적이 되어 수업을 진행, 미술을 매개채로 한 장애/비장애 어린이 들을 위한 학교
=>따뜻한 왼손 프로그램
-정신 지체 어린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자폐아, 다운증후군)
-지역내 실업계 고등학생과 장애인, 대학생, 동아리 등 지역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아이들의 참여를 통하여 변화를 가져옴.
-‘반응에 반응하라’
=>고구마 프로젝트
-일종의 방과후 프로그램으로 역사, 문화, 예술, 환경 등 지역 물적/인적 자원을 활용
-희소성있는 그림에 투자하고 지원을 받지 못하면 운영이 어려움.
=>무지개 대문집
-동네 답사를 통해 옛 이야기를 듣고 문패도 만들어 보는 시간.
=>기타 이정표 만들기, 공작소, 뷰지컬, 소리놀이터,편보다 편
▶아힘나 학교- 아이들이 직접 발로 뛰며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진행하면서 시행착오와 문제점을 보완.
=> 삼죽다큐- 아힘나 평화학교의 아이들이 삼죽마을로 이동하여 직접 마을 주민들과 소통하고 친해지려 노력하는 과정을 담았다. 마을의 역사를 찾고 어르신의 증언을 통해 직접 옛이야기를 들어본다. 부침개를 직접 만들어 동네 어른신들과 나눠 먹으며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 이 작품을 통하여 마을과 아이들간의 소통을 또 하나의 역사적 문화로 남길 수 있다.
=>소리 없는 소리- 배를타고 부산에서 후쿠호카로 이동하여 돌아오지 못한 조선인들을 위하여 아이들만에 프로젝트를 완성. 석탄 박물과 무궁화당을 견학하고 자신들만에 보고서를 완. 우리민족의 아픔을 잘 나타내주고 아이들이 직접 움직이며 배우고 교육하는 모습이 나타남.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9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