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삼으심을 예루살렘 사도들이 인정하였다고 말하고 있다.
【3】마지막 부분으로 2:11-21에서는 안디옥 사건을 언급하고 있다. 이 사건은 바울의 도전자들에 대한 사도적 권위를 변호하는 데 역시 기여하고 있다. 동시에 이것은 복음과 율법의 관계가 충분히 다루어지고 있는 본서의 대 중심부로 넘어가는 전환 부분이기도 하다.
① 11절에서 자신이 기둥같이 여기는 베드로는 책망할 일이 있어 면책했다고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 그가 베드로와 같은 권위를 가진 사도이며, 자신의 복음을 변증함에는 사도라 할지라도 예외일 수 없음을 암시하고 있다.
② 식탁교제는 이방인들과 베드로에게 친밀감을 주는 교제였을 것이다. 그러나 베드로가 야고보를 따르는 어떤 자들이(그들은 유대인의 규칙을 엄격하게 지키는 것을 고집했다)옴으로, 그 자리에서 슬그머니 일어나 물러갔을 때, 베드로와 이방인 그리스도인들 사이에는 친교 대신에 갈라지는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그 동기는 유대인들이 베드로를 율법의 범법자로 생각할까 두려웠다는 것이었다. 바울은 두 번이나 이런 태도를 본심을 속이는 외식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것은 베드로만이 아니라 같은 행동을 한 것으로 보이는 안디옥의 유대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들 가운데 특별히 바나바는 그 이름이 밝혀져 있다.
③ 14절은 분명하게 그 자리에서 바울이 베드로와 다른 사람들에게 한 언급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5절부터 21절까지는 분명하지가 않다. 다만, 바울이 지금 의도적으로 이 구절을 사도권의 마지막 부분에 삽입함으로, 다음에 나올 대 주제와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3】마지막 부분으로 2:11-21에서는 안디옥 사건을 언급하고 있다. 이 사건은 바울의 도전자들에 대한 사도적 권위를 변호하는 데 역시 기여하고 있다. 동시에 이것은 복음과 율법의 관계가 충분히 다루어지고 있는 본서의 대 중심부로 넘어가는 전환 부분이기도 하다.
① 11절에서 자신이 기둥같이 여기는 베드로는 책망할 일이 있어 면책했다고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 그가 베드로와 같은 권위를 가진 사도이며, 자신의 복음을 변증함에는 사도라 할지라도 예외일 수 없음을 암시하고 있다.
② 식탁교제는 이방인들과 베드로에게 친밀감을 주는 교제였을 것이다. 그러나 베드로가 야고보를 따르는 어떤 자들이(그들은 유대인의 규칙을 엄격하게 지키는 것을 고집했다)옴으로, 그 자리에서 슬그머니 일어나 물러갔을 때, 베드로와 이방인 그리스도인들 사이에는 친교 대신에 갈라지는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그 동기는 유대인들이 베드로를 율법의 범법자로 생각할까 두려웠다는 것이었다. 바울은 두 번이나 이런 태도를 본심을 속이는 외식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것은 베드로만이 아니라 같은 행동을 한 것으로 보이는 안디옥의 유대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들 가운데 특별히 바나바는 그 이름이 밝혀져 있다.
③ 14절은 분명하게 그 자리에서 바울이 베드로와 다른 사람들에게 한 언급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5절부터 21절까지는 분명하지가 않다. 다만, 바울이 지금 의도적으로 이 구절을 사도권의 마지막 부분에 삽입함으로, 다음에 나올 대 주제와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