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응 ; HLA항원과 관련, 조직 적합성의 차이에 의해 주조직적합성 유전자가 다르면 불가역성의 이식편 거부 발생.(T-cell과 macrophage의 반응 으로 이물조직주위에 침윤).
종합!
과민반응 또는 알레르기란 용어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항원을 체내에서 면역반응에 의해 제거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반응과는 달리 host에 오히려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될 때를 일컫는 말입니다. 과민반응은 항상 정상적인 반응보다 증가됐을 때를 말하는 것은 아니고 포괄적으로 항원에 대한 부적절한 면역반응도 모두 포함합니다.
이들 면역작용기들은 항원 비특이적어서, 그 반응이 적절하게 나타나지 않으면 국소적인 또는 전신적인 정상조직의 손상을 유발되는데 이를 과민반응(hypersensitivity reaction)반응이라고 합니다. 과민반응은 그 과정에서 생성되고 관여하는 effector molecules에 따라 여러가지의 형태로 나뉜다.
급성과민반응(Immediate hypersensitive reaction)의 경우 antibody isotypes에 따라 다른 immune effector molecule을 유도한다. 즉, IgE는 mast cell의 탈과립을 유도하여 히스타민을 비롯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effector molecules을 생성시키며, IgG 와 IgM은 보체 (complement)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과민반응을 유발한다.
후자의 경우 주된 effector molecules은 membrane-attack complex 나 보체 활성화 과정의 산물들인 C3a, C4a 그리고 C5등이다.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의 경우 관련 T cell에서 분비되는 여러가지 cytokine들이 effector molecules에 해당된다.
이처럼 과민반응은 서로 다른 기전에 의해 일어나는데 Gell 과 Coombs는 관련된 기전, 세포 그리고 분자요소등에 따라 여러가지의 과민반응을 크게 4개의 그룹 (type I, II, III &IV) 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Fig 2) 급성과민반응이 일어나는 과정. 특정한 B cell에서 만들어진 특정한 IgE 급의 항체가 mast cell이나 basophil의 세포 표면에 결합하고, 이 항체에 특정한 항원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반응으로, 혈관확장, 염증반응, 근육수축 등의 반응이 유도된다.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종합!
과민반응 또는 알레르기란 용어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항원을 체내에서 면역반응에 의해 제거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반응과는 달리 host에 오히려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될 때를 일컫는 말입니다. 과민반응은 항상 정상적인 반응보다 증가됐을 때를 말하는 것은 아니고 포괄적으로 항원에 대한 부적절한 면역반응도 모두 포함합니다.
이들 면역작용기들은 항원 비특이적어서, 그 반응이 적절하게 나타나지 않으면 국소적인 또는 전신적인 정상조직의 손상을 유발되는데 이를 과민반응(hypersensitivity reaction)반응이라고 합니다. 과민반응은 그 과정에서 생성되고 관여하는 effector molecules에 따라 여러가지의 형태로 나뉜다.
급성과민반응(Immediate hypersensitive reaction)의 경우 antibody isotypes에 따라 다른 immune effector molecule을 유도한다. 즉, IgE는 mast cell의 탈과립을 유도하여 히스타민을 비롯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effector molecules을 생성시키며, IgG 와 IgM은 보체 (complement)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과민반응을 유발한다.
후자의 경우 주된 effector molecules은 membrane-attack complex 나 보체 활성화 과정의 산물들인 C3a, C4a 그리고 C5등이다.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의 경우 관련 T cell에서 분비되는 여러가지 cytokine들이 effector molecules에 해당된다.
이처럼 과민반응은 서로 다른 기전에 의해 일어나는데 Gell 과 Coombs는 관련된 기전, 세포 그리고 분자요소등에 따라 여러가지의 과민반응을 크게 4개의 그룹 (type I, II, III &IV) 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Fig 2) 급성과민반응이 일어나는 과정. 특정한 B cell에서 만들어진 특정한 IgE 급의 항체가 mast cell이나 basophil의 세포 표면에 결합하고, 이 항체에 특정한 항원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반응으로, 혈관확장, 염증반응, 근육수축 등의 반응이 유도된다.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