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주기억장치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DBMS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용량이 더 필요하게 되고, 더 빠른 CPU를 요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시스템 운영비의 오버헤드를 가중시키게 된다.⇒ 자료 처리의 복잡화(DB데이타의 처리방법이 복잡해져 전문화된 프로그래머가 필요.)데이터 베이스에는 상이한 여러 타입의 데이터가 서로 관련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이러한 상황속에서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작성되고 수행될지도 모른다. 다라서, 응용 시스템은 설계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보다 전문적, 기술적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급 프로그머가 필요하게 된다.⇒ 복잡한 예비와 회복데이터베이스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공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일어났을 때 정확한 이유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여기에 대한 예비(Backup, 백업)조치나 사후회복 (Recovery, 복구)기법을 수립해 놓는 것도 매우 어렵다.⇒ 시스템의 취약성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통합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그 일부의 고장이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켜 시스템 신뢰성과 가용성을 저해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데이터베이스에 의존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아주 치명적인 약점이 아닐 수 없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