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공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교육공학이란 무엇인가?

본문내용

레슨이나 모듈과 같은 미시적 차원에서 전략과 산출물을 만들어 내고자 하는 것이다. 설계영역은 수업체제설계, 메시지 설계, 수업전략 고안 및 학습자 특성 분석과 같은 네 가지 연구 분야를 포함한다. 수업체제설계(Instructional Systems Design: ISD)는 수업을 분석, 설계, 개발, 실행 및 평가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조직화된 절차를 말한다. 메시지 설계(Message design)는 주의, 지각, 파지의 원리들을 활용하여 메시지를 물리적 형태로 조작하기 위한 계획을 포함한다. 수업전략의 고안은 하나의 단위 수업내에서의 사태와 활동들을 선정하고 계열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자 특성 분석은 학습과정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경험적 배경에 대한 사실들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은 설계의 결과를 물리적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인쇄공학, 시청각공학, 컴퓨터기반 공학, 통합 공학 등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진다. 인쇄공학(print technologies)은 가장 기본적인 공학으로서 주로 인쇄과정을 거쳐 책이나 정적인 시각자료등을 제작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청각공학(audiovisual technologies)은 시각/청각 메시지를 제시하기 위하여 어떤 장비를 활용하여 자료를 제작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교수과정에서 활용하는 시청각 매체의 제작 및 전달을 포함한다. 컴퓨터기반 공학(computer-based technologies)은 컴퓨터를 활용하는 자료를 제작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한다. 통합공학(integrated technologies)은 컴퓨터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매체들을 통합하여 제시하는 자료들을 제작하고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합공학으로는 최근의 멀티미디어, 하이퍼미디어, 네트워크 기반 매체등을 포함한다.
활용은 교육공학의 영역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20세기초의 시각교육운동과 함께 시작되었다. 활용은 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을 활용하는 행위로서, 매체활용(media utilization), 혁신의 보급(diffusion of innovation), 실행과 제도화(implement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그리고 정책 및 규제(policies and regulations) 등의 네 가지 하위 범주로 이루어진다. 매체활용은 학습자원을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으로 수업설계에 근거한 의사결정과정의 일종이다. 즉, 학습자의 특성에 기초하여 기대하는 학습 결과를 성취하기 위하여 매체가 어떻게 활용되어져야만 하는가를 연구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혁신의 보급은 교육공학의 연구결과들이 교육현장에 채택되어지도록 계획된 전략을 통하여 의사소통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Rogers(1983)이 제시하는 지식, 설득, 결정, 실행, 확인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특정 교수방법이나 과정, 또는 변화를 정착시키고자 한다. 실행은 실제 상황에 수업자료나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며, 제도화는 조직의 구조와 문화에서 수업혁신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행과 제도화는 개인과 조직의 차원에서의 변화에 의존하지만, 실행의 목적은 조직에서 개인적인 차원에서 적절한 활용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정책과 규제는 교육공학의 보급과 활용에 영향을 주는 사회의 규칙과 행위들에 관한 것이다. 정책과 규제는 일반적으로 윤리적, 경제적 이슈들에 의해 제한되어진다. 예를 들어, 교육방송, 지적재산권, 장비와 프로그램의 표준화, 수업공학을 지원하기 위한 행정단위 등에 관한 정책을 통하여 교육공학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관리는 계획, 조직, 조정, 감독 등을 통하여 교육공학을 통제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프로젝트관리(project management), 자원관리(resource management), 전달체제관리(delivery system management), 그리고 정보관리(information management)의 네 가지 하위 범주로 이루어진다. 프로젝트관리는 수업설계 및 개발 프로젝트를 기획, 점검, 조정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전통적인 관리와는 의미가 다르다. 자원관리는 자원지원체제와 서비스를 기획, 점검, 조정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연구영역이다. 여기에서 자원이라 함은 인사, 예산, 물품, 시간, 시설, 그리고 수업자원들을 모두 포함하며, 비용효과성 및 학습에 대한 효과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특성이 된다. 전달체제관리는 수업자료들의 보급이 조직화되어지는 방법들을 기획, 점검,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원격학습프로젝트등이 전달체제관리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관리는 학습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의 저장, 전이, 처리 등을 기획, 점검,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평가는 수업과 학습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문제분석(problem analysis), 준거지향측정(criterion-referenced measurement),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 그리고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의 네 가지 하위 범주로 이루어진다. 문제분석은 평가의 첫단계로서, 정보수집과 의사결정 전략을 통하여 문제의 본질과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준거지향측정은 사전에 결정된 내용을 학습자가 달성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기법을 포함한다. 형성평가는 수업자료 및 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차후 개발을 위한 기초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수업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총괄평가는 수업자료 및 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가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수업이 끝난 후에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육공학의 다섯 가지 연구영역은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 및 활용 영역이 다양함을 시사한다. 즉, 교육공학은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모든 영역에 관여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분야임을 알 수 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18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