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과거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과거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상대적으로 공정성과 객관성은 확보되었을지 모르지만, 반면 창의적이고 독창적이며 또한 실용적인 인재를 선발하는 데는 성공했다고 할 수 없었다. 국가 경영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방면의 실용적 실무적 능력을 가진 자들이 부족한 현상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래서 이미 송대부터 과거제 대신 학교제도를 통해서 관리를 선발하려는 개혁안들이 나타나기도 했다(왕안석의 변법). 여하튼 명청대에는 이와 같은 시행착오을 거쳐 학교제와 과거제가 밀접하게 연계되게 되었다.
명청대의 중요한 공립학교로는 수도에 국자감이 있었고, 각 지방 행정 단위마다 한 개 씩의 관학이 존재했다. 그래서 부에 있는 것을 부학이라고 했고, 주에 있는 것은 주학이라 했으며, 현에 있는 것은 현학이라 했다. 국자감의 학생을 감생이라 했으며, 지방 관학의 학생은 생원이라 했다. 명초에는 국자감의 학생인 감생은 생원들 가운데서 우수한 자로 선발되어 국가의 장학금을 받아 공부했고, 또한 바로 관리로 선발될 정도로 그 명망이 높았다. 그러나 점차 감생은 명목상의 국자감 학생이 되었고, 결국은 돈을 주고 살 수 있는 것이 되었다.
그래서 처음 공부를 시작하여 제일 처음 통과해야 하는 관문은 각 학교의 학생 즉 생원이 되는 관문이었다. 이것을 동시(童試)라 한다. 그리고 생원은 학교에서 실시하는 계속적인 시험에 참가해야 하는 의무가 있었다. 생원들 가운데서 세고나 세시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자가 본격적인 과거 관문인 각 성에서 실시하는 예비시험인 향시(鄕試, 省試)에 참여하게 되는데, 여기서 합격한 자를 거인(擧人)이라 했다. 거인의 지위는 영구적인 것으로서 다시는 향시에 응할 필요가 없었고, 이 거인들이 북경인 수도에서 회시(會試)를 치루고 회시에 합격한 공사(貢士)들이 황제 앞에서 전시를 치고 나면 진사가 되었다. 진사 가운데 1갑에 속하는 우수한 자는 중앙의 문서 학문 연구기관인 한림원에 남게 되고 나머지는 현의 지현으로 발령받아 나갔다. 생원이 아닌 자로서 향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는 소위 예감생(감생)들이었다.
교육제가 시험제에 예속되면서 많은 폐단이 노출되었는데, 학교는 더 이상의 교육기관이 아니라 생원들의 학적을 관리하는 행정적 기구처럼 되었고, 또한 생원들의 공부는 전적으로 과거 시험을 대비한 매우 기술적이고 방법론적인 것에 그치게 되었다. 학교에서는 사상의 발전이나 혹은 실무 능력을 가진 실제적 인재 양성 어느 것도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키워드

중국,   과거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21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