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가족의 역할과 기능과 전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사회에서 가족의 역할과 기능과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의 특성에 적합한 기능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물론 가족은 가족이 지니고 있는 제도적 특성으로 인하여 과거와 현대를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수행하는 공통적인 기능이 있기도 하지만 현대가족에서는 특히 정서적 지지 기능이나 애정의 기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다음으로, 가족기능과 관련된 이론들로는 구조기능론, 교환론, 갈등론, 체계론, 마르크스주의론, 여성해방론 등을 들 수 있다. 각 이론별로 가족의 주요한 기능을 요약 또는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체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능적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구조기능론(강신택정홍익, 1988, 185-193)에서는 가족이 사회의 문화적 양식을 보존하는데 핵심이 되는 자녀의 사회화 기능과 직업과 같은 사회적 참여에 따른 긴장과 피로를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고 한다. 그리고 가족관계와 같은 지속적인 관계에서는 오랜 시간을 통한 호혜적인 교환이 요구된다는 교환론(한국가족학연구회, 1991, 23-58)으로부터는 가족구성원의 상호성장 기능을 도출할 수 있으며, 갈등의 긍정적 기능을 강조하는 기능주의적 갈등론(한국가족학연구회편, 1991, 113-152)으로부터는 문제에 대한 효과적 대처 및 해결 기능을 유추할 수 있겠다. 또한 사회체제의 구성요소들간에는 상호의존성이 존재한다는 일반체제론(강신택·정홍익, 1988, 238-252)에 의해서는 가족내·외적 환경에 대한 적응 기능을 제안할 수 있다. 한편, 좌파이론적인 마르크스주의론(이효재, 1988, 98-114)에서는 특히 자본주의체제의 가족은 여성억압을 통한 안식처로서의 기능을 강조하고있다고 하며,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로 인하여 가족은 여성 억압의 장소라고 비판하는 여성해방론(김정희, 1983)에서는 남녀 성역할을 형성 및 내면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한다. 이 중 마르크스주의론과 여성해방론은 가족기능에 대하여 부정적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즉 마르크스주의론에서는 안식처로서의 기능은 자본주의경제체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여성해방론에서는 전통적인 남성성과 여성성을 답습하게 하는 남녀불평등을 재생산한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가족의 협동을 통한 안식처 기능이나 남녀 평등한 성역할이 내면화될 수 있다면 마르크스이론이나 여성해방론에서 부정적이라고 하는 가족기능도 긍정적인 가족기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현대가족의 특성과 이론적 관점에 따른 가족의 주요 기능, 그리고 전술된 가족의 보편적 기능을 종합하여 현대가족이 수행하여야 할 기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해 본다.
가족의 본질적 기능은 성적 기능과 자녀의 사회화 기능 그리고 가족구성원간의 정서적 유대 기능이어야 한다. 이 세 가지 기능을 제안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 기능은 유사이래 계속해서 관심사가 되어온 성욕 충족의 문제는 부부라는 돌파구로 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며, 둘째, 사회화의 기능은 자연발생적인 부성애나 모성애로서 자녀를 양육할 때 자녀의 성장이 가장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며, 셋째, 정서적 유대기능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 중의 하나인 소속감을 충족시켜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성적 기능이 가족으로 한정된다면 출산 기능 역시 가족의 기능이 되어야하며, 자녀의 사회화 기능에는 인성적 측면의 교육 기능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가족원간의 정서적 유대 기능은 경제적 협동 기능과 병행하여 이루어질 때 더욱 배가될 수 있을 것이므로 출산 기능, 인성교육 기능, 경제적 협동 기능도 가족의 기본적 기능으로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전문적 지식을 위한 교육 기능이나 종교, 보호 등의 기능은 사회전문기관의 상당한 협조를 받거나 전문기관으로 위탁되어야 하겠다. 물론 가족기능에 대해서도 多多益善이 적용될 수도 있겠으나 가족기능을 수행하는 가족원 즉 개인은 가족기능 외에 수행하여야 할 또 다른 사회적 역할들이 많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가족기능을 제한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현대가족의 다양성에 근거하여 가족 기능의 다양성도 인정한다. 그러나 가족 기능의 수행에 있어서 가족마다의 특수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다보면 기준 없는 규범을 제시하게되고, 이것은 자칫 혼란의 상태를 야기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상과 같이 나름대로의 가족 기능의 규준을 제안해 본 것이다.
제안한 가족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가족의 기능을 분담할 수 있는 사회적 전문기구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져야하며, 아울러 가족의 기능 수행을 위한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겠다.

키워드

가족,   기능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2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