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아의 관세특혜국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어업협정 체결로 러시아 수역 내 한국의 어획권을 확보하였다. 또한 한국은 러시아와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설치하여 첨단분야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러시아가 보유한 첨단기술의 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1993년부터 한국은 자원개발과 사회간접자본건설 등 러시아의 각종 대규모 프로젝트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1998년 한국과 러시아는 양국 외교관을 맞추방하는 최악의 외교갈등을 일으켰다.
러시아 정부는 7월 러시아주재 한국대사관의 조성우 참사관을 '주재국정부가 기피하는 외교관'으로 지목하고조 참사관에게 기밀정보를 건네준 혐의로 러시아 외무부 바라렌틴 모이세예프 아주1국 부국장을 국가 반역죄로 기소하는 등 갈등이 심각했다. 1998년 현재 대(對)한국 수출은 9억 9857만 9천달러이고, 대(對)한국 수입은 11억 1380만 5천달러이다. 주요 수출품은 광물, 연료 등이고, 수입품은 자동차, 전자제품, 의류 등이다. 한국과 러시아 간에는 서울과 러시아의 모스크바·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토크를각각 연결하는 정기항로가 운영되고 있다. 또한 러시아 영공을 통과하는 시베리아 횡단항로가 열려 유럽의 주요 도시를 보다 쉽게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과 러시아 간의 해운은 부산과 러시아의 보스토치니를 거쳐 나홋카로 연결되는 정기노선이 주 2회 운항되고 있다. 1998년 러시아정부가 모라토리엄을 선언함에 따라 러시아 진출의 국내기업들은 투자대금 회수가 불투명하나 러시아는 현물로 상환하겠다고 밝혔다. 1998년 현재 교민 10만여명과 체류자 2,000명이 살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7월 러시아주재 한국대사관의 조성우 참사관을 '주재국정부가 기피하는 외교관'으로 지목하고조 참사관에게 기밀정보를 건네준 혐의로 러시아 외무부 바라렌틴 모이세예프 아주1국 부국장을 국가 반역죄로 기소하는 등 갈등이 심각했다. 1998년 현재 대(對)한국 수출은 9억 9857만 9천달러이고, 대(對)한국 수입은 11억 1380만 5천달러이다. 주요 수출품은 광물, 연료 등이고, 수입품은 자동차, 전자제품, 의류 등이다. 한국과 러시아 간에는 서울과 러시아의 모스크바·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토크를각각 연결하는 정기항로가 운영되고 있다. 또한 러시아 영공을 통과하는 시베리아 횡단항로가 열려 유럽의 주요 도시를 보다 쉽게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과 러시아 간의 해운은 부산과 러시아의 보스토치니를 거쳐 나홋카로 연결되는 정기노선이 주 2회 운항되고 있다. 1998년 러시아정부가 모라토리엄을 선언함에 따라 러시아 진출의 국내기업들은 투자대금 회수가 불투명하나 러시아는 현물로 상환하겠다고 밝혔다. 1998년 현재 교민 10만여명과 체류자 2,000명이 살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