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운동과 에너지 대사
2. 근육기능과 운동
3. 신경계와 운동
4. 운동과 호흡기능
5. 운동과 순환기능
6. 유산소 능력의 검사
7. 운동과 피로
8. 운동과 내분비 기능
9. 운동과 신체구성
10. 운동과 환경
2. 근육기능과 운동
3. 신경계와 운동
4. 운동과 호흡기능
5. 운동과 순환기능
6. 유산소 능력의 검사
7. 운동과 피로
8. 운동과 내분비 기능
9. 운동과 신체구성
10. 운동과 환경
본문내용
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인체의 체지방량 측정방법에는 수중체중측정법, 피하지방두께 측정법, 생체전기저항 측정법(BIA) 등이 있다.
피하지방두께 측정법(skinfold measurement)에는 추정식에 의한 방법과 노모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단기간의 과다한 체중감량은 근력저하, 운동지속시간 및 혈액량의 감소, 심폐기능의 저하, 산소섭취량의 감소, 간 글리코겐의 감소, 그리고 전해질의 감소 등을 초래한다.
선수가 체중을 감량할 때 1주일에 0.5에서 1.0kg 정도를 점진적으로 감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주일에 0.5kg의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하루에 500kcal 적게 섭취해야 한다.
체급경기 선수는 시합일 24-48시간 전에 음식물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자기체중의 2-3% 이상 감량해서는 안 되고, 사우나에 의한 방법으로는 5%이상 감량해서는 안 된다.
운동선수의 체지방량은 일반적으로 일반인보다 낮지만 선수의 종목과 포지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선수가 필요이상으로 체지방이 높으면 경기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10. 운동과 환경
인간은 더운 날씨나 추운 날씨, 고지대나 물 속 깊은 곳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활동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운동할 때 인체는 생리적으로 추가적인 부담을 지게 되고 이에 따른 반응도 평상시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적인 자극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은 운동수행능력의 향상은 물론 안전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인간은 심부온도를 비교적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외부기온이 높거나 낮으면 체열을 발산시키거나 보존시키려는 체온조절기전이 작동한다.
더운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체온조절기능의 적응이 이루어져 운동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운 환경에서 운동할 때는 체계적인 열순응과정을 거쳐야 한다.
인체는 더위보다 추위에 대한 생리학적 적응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추운 환경에서 운동할 때는 의복에 의한 체온보존이 중요하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산소분압도 낮아진다. 따라서 인체의 산소섭취능력이 저하됨으로써 유산소능력이 감소된다.
고지훈련은 유산소능력을 향상시켜 지구성 운동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를 지지하는 연구결과는 많지 않다.
스쿠버 다이빙과 같은 수중운동시에는 잠수에 따른 압력의 증가와 수면으로 되돌아올 때의 압력감소에 의하여 위험이 따르므로 이해와 주의가 필요하다.
피하지방두께 측정법(skinfold measurement)에는 추정식에 의한 방법과 노모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단기간의 과다한 체중감량은 근력저하, 운동지속시간 및 혈액량의 감소, 심폐기능의 저하, 산소섭취량의 감소, 간 글리코겐의 감소, 그리고 전해질의 감소 등을 초래한다.
선수가 체중을 감량할 때 1주일에 0.5에서 1.0kg 정도를 점진적으로 감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주일에 0.5kg의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하루에 500kcal 적게 섭취해야 한다.
체급경기 선수는 시합일 24-48시간 전에 음식물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자기체중의 2-3% 이상 감량해서는 안 되고, 사우나에 의한 방법으로는 5%이상 감량해서는 안 된다.
운동선수의 체지방량은 일반적으로 일반인보다 낮지만 선수의 종목과 포지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선수가 필요이상으로 체지방이 높으면 경기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10. 운동과 환경
인간은 더운 날씨나 추운 날씨, 고지대나 물 속 깊은 곳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활동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운동할 때 인체는 생리적으로 추가적인 부담을 지게 되고 이에 따른 반응도 평상시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적인 자극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은 운동수행능력의 향상은 물론 안전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인간은 심부온도를 비교적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외부기온이 높거나 낮으면 체열을 발산시키거나 보존시키려는 체온조절기전이 작동한다.
더운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체온조절기능의 적응이 이루어져 운동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운 환경에서 운동할 때는 체계적인 열순응과정을 거쳐야 한다.
인체는 더위보다 추위에 대한 생리학적 적응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추운 환경에서 운동할 때는 의복에 의한 체온보존이 중요하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산소분압도 낮아진다. 따라서 인체의 산소섭취능력이 저하됨으로써 유산소능력이 감소된다.
고지훈련은 유산소능력을 향상시켜 지구성 운동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를 지지하는 연구결과는 많지 않다.
스쿠버 다이빙과 같은 수중운동시에는 잠수에 따른 압력의 증가와 수면으로 되돌아올 때의 압력감소에 의하여 위험이 따르므로 이해와 주의가 필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