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통해 신경 단백질을 주고 받으며 연결되는 것이 우리의 뇌 구조이고 이 안에 우리의 감정과 기억, 이성과 합리적 판단, 추론, 직관 이 모든 활동들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특히 흥미로웠던 부분은 시냅스의 가소성이었다. 가소성이란 우리가 말랑말랑한 찰흙을 가지고 조물조물 어떤 모양을 만드는 것처럼 그 구조가 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특정하게 형성된 뉴런의 연결망은 변동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여기에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열쇠가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즉 사람에게 학습이란 특정한 뉴런들이 연결망을 이루게 되는 것인데, 이것이 반복적으로 연결이 되기 시작하면 그 연결이 분명해 진다. 즉 습관으로 형성이 되거나 각인이 된다. 하지만 언제든 다른 연결이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마음의 구조와 기능~*
인체가 살아서 활동하면,특히 뇌 신경망이 작동하면 강력한 에너지 흐름, 전기현상이 발생한다.이때 발생한 에너지 장을 정신, 심리, 의식, 영혼, 마음이라고 한다.
부처님은 '따'라고 하고, '마나쓰'라고도 했다.
이 두 단어를 섞어 쓰기도 했고,때로는 분리하여 사용하기도 했다.뇌 작용으로 발생한 에너지 흐름은, 뇌 속에서 가상공간을 형성한다.
전기가 들어오면, 사이버공간이 형성되지만,전기가 끊어지면 사이버 공간은 없어지게 되는 것처럼,사람의 마음도 마찬가지이다.
뇌가 작동하면, 가상공간인 마음작용이 있지만,뇌가 멈추면, 마음작용은 소멸한다.
뇌 활동으로 발생하는 마음작용은 대략 여섯가지의 기본인자로 구성되어 있다.
인식대상을 인지하고 반영해서 상을 맺게 하는 마음거울,인지된 대상이 마음거울에 반영되어 ?센沮? 상, 마음거울에 맺어진 상을 마음공간에 저장하는 기억,접촉한 다음에 일어나는 느낌,마음거울에 반영된 정보를 가공하는 사유과정,그리고 마음거울에 반영된 상이 맺히는 순간을 알아차림하고 마음거울에 맺힌 상들이 다른 정보와 결합하고,특정한 느낌을 일으키고,가공되고,전개되는 전 과정을 지각하고 모니터링 하는 알아차림하는 기능이다.
이 여섯가지 기능이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상호작용하면서 사람의 모든 인지, 반영,저장, 사유, 정서, 자각과정이 끊임없이 되먹임되고, 다양한 마음작용을 일으키고,사람의 모든 마음작용이 이루어진다.
마음을 구성하는 기본 인자와 마음구조,그리고 이들 각 인자들의 상호작용은 머리로,사유하여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몸으로 직접 체험하고 증득하는 것이다.
또 재미있는 부분은 해마의 기능에 대한 것인데, 우리의 뇌에 기억이 되기 위해서는 단기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로 정보가 전달된 후에 수면 중 기억을 담당하는 영역으로 옮겨 저장이 되는데, 해마에 전달이 되는 정보는 두 가지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한다. 편도체와 후주위피질에서 동시에 정보가 들어와야 하는 것이 그 요건인데 이는 감각적인 정보와 함께 어떤 느낌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기억하는, 궁극적으로는 인지하는 일들은 그 해당 사실에 대한 정보와 그에 대한 느낌이 동시에 갖춰질 때만 기억이 되며 그렇지 않은 정보들은 해마에 전달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특정하게 형성된 뉴런의 연결망은 변동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여기에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열쇠가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즉 사람에게 학습이란 특정한 뉴런들이 연결망을 이루게 되는 것인데, 이것이 반복적으로 연결이 되기 시작하면 그 연결이 분명해 진다. 즉 습관으로 형성이 되거나 각인이 된다. 하지만 언제든 다른 연결이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마음의 구조와 기능~*
인체가 살아서 활동하면,특히 뇌 신경망이 작동하면 강력한 에너지 흐름, 전기현상이 발생한다.이때 발생한 에너지 장을 정신, 심리, 의식, 영혼, 마음이라고 한다.
부처님은 '따'라고 하고, '마나쓰'라고도 했다.
이 두 단어를 섞어 쓰기도 했고,때로는 분리하여 사용하기도 했다.뇌 작용으로 발생한 에너지 흐름은, 뇌 속에서 가상공간을 형성한다.
전기가 들어오면, 사이버공간이 형성되지만,전기가 끊어지면 사이버 공간은 없어지게 되는 것처럼,사람의 마음도 마찬가지이다.
뇌가 작동하면, 가상공간인 마음작용이 있지만,뇌가 멈추면, 마음작용은 소멸한다.
뇌 활동으로 발생하는 마음작용은 대략 여섯가지의 기본인자로 구성되어 있다.
인식대상을 인지하고 반영해서 상을 맺게 하는 마음거울,인지된 대상이 마음거울에 반영되어 ?센沮? 상, 마음거울에 맺어진 상을 마음공간에 저장하는 기억,접촉한 다음에 일어나는 느낌,마음거울에 반영된 정보를 가공하는 사유과정,그리고 마음거울에 반영된 상이 맺히는 순간을 알아차림하고 마음거울에 맺힌 상들이 다른 정보와 결합하고,특정한 느낌을 일으키고,가공되고,전개되는 전 과정을 지각하고 모니터링 하는 알아차림하는 기능이다.
이 여섯가지 기능이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상호작용하면서 사람의 모든 인지, 반영,저장, 사유, 정서, 자각과정이 끊임없이 되먹임되고, 다양한 마음작용을 일으키고,사람의 모든 마음작용이 이루어진다.
마음을 구성하는 기본 인자와 마음구조,그리고 이들 각 인자들의 상호작용은 머리로,사유하여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몸으로 직접 체험하고 증득하는 것이다.
또 재미있는 부분은 해마의 기능에 대한 것인데, 우리의 뇌에 기억이 되기 위해서는 단기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로 정보가 전달된 후에 수면 중 기억을 담당하는 영역으로 옮겨 저장이 되는데, 해마에 전달이 되는 정보는 두 가지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한다. 편도체와 후주위피질에서 동시에 정보가 들어와야 하는 것이 그 요건인데 이는 감각적인 정보와 함께 어떤 느낌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기억하는, 궁극적으로는 인지하는 일들은 그 해당 사실에 대한 정보와 그에 대한 느낌이 동시에 갖춰질 때만 기억이 되며 그렇지 않은 정보들은 해마에 전달이 되지 않는다.
추천자료
세계 영화사1: 초기영화의 발전 /미국의 쟝르영화 / 30년대 프랑스영화
정서학설의 4가지 주요 이론
꿈 속으로 빠져봅시다. (꿈에 관한 모든 것)
김광섭 시인의 작품세계 연구
사랑과 철학의 관계(남성과여성의차이, 사랑과중독, 결혼, 감정의 문제)
[우수평가자료]웰니스 독후감상문, 저자가 말하는 핵심내용분석과 느낀 점을 중심으로.
인지과학의 의미와 특징, 등장배경, 관련학문에 대하여
인지과학의 의미와 특징, 등장배경, 관련학문에 대하여
[아동발달] 애착유형 3가지를 설명하시오
우울증&자살충동의 이해 및 예방 - 우울증&자살충동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적시사점, 방송대 교육심...
1) 최근 우리사회에서 남용되고 있는 약물에 관한 내용을 찾아보고 약물의 종류와 특성 등 현...